다보스, 스위스 2025년 1월 24일 / 다양한 산업 분야 기업에 기술 컨설팅과 디지털 솔루션을 제공하는 글로벌 선도 기업 테크 마힌드라가 월스트리트 저널 인텔리전스와 함께 '기술 도입 지수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전 세계 기술 도입 동향에 심층 분석을 제공한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에서 마힌드라 그룹의 그룹 CEO 겸 MD 아니쉬 샤(Anish Shah) 박사, 테크 마힌드라의 CEO인 모히트 조시(Mohit Joshi) 전무이사, 월스트리트 저널의 부사장인 조쉬 스틴치콤(Josh Stinchcomb) 최고 수익 책임자, 테크 마힌드라의 피유시 두베이(Peeyush Dubey) 최고 마케팅 책임자가 공개했다. 이 보고서는 북미, 유럽ㆍ중동ㆍ아프리카(EMEA), 아시아 10개국의 연 매출 미화 5억 달러 이상 기업에 속한 1000여 명의 글로벌 C-레벨 경영진과 업계 리더의 의견을 종합해 분석했다. 월스트리트 저널의 조쉬 스틴치콤 최고 수익 책임자는 "가장 성공적인 기업은 속도, 규모, 투자 대비 수익(ROI)을 높이면서 시스템을 원활하게 통합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테크 마힌드라의 디지털 전환 전문성은 연구 과정에 큰 도움이 됐고, 복잡한 문제를 더 깊이 파고들 수 있도록 했다"고 밝혔다. 이 보고서는 월스트리트 저널 웹사이트 내 테크 마힌드라 전용 공간에서 운영되는 독자적인 벤치마킹 도구를 함께 제공한다. 이를 통해 기업은 자사의 기술 포트폴리오가 업계 표준에 얼마나 부합하는지 평가해 더 나은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다. 테크 마힌드라의 피유시 두베이 최고 마케팅 책임자는 "기술 도입 지수는 디지털 성숙도가 단순히 기술을 따라잡는 것을 넘어 회복력, 미래를 내다보는 능력, 경쟁력을 가늠하는 중요한 지표라는 점을 보여준다. 월스트리트 저널 인텔리전스와 협력은 기업이 디지털 전환 과정을 더욱 명확하게 이해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현명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겠다는 양사의 비전과 노력을 나타낸다"고 말했다. 기술 도입 지수는 테크 마힌드라가 월스트리트 저널과 디지털 인프라 구축을 위한 핵심 요소를 심층 분석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실시하는 연구 결과물이다. 이 보고서는 다운로드 가능한 백서 형태로 제공하며, WSJ와 테크 마힌드라의 전용 포털에서 하는 벤치마킹 설문 조사 종료 후 확인할 수 있다.
도쿄 2025년 1월 23일 / 딥루트닷에이아이(DeepRoute.ai)의 맥스웰 저우(Maxwell Zhou) 최고경영자(CEO)가 오토모티브 월드 도쿄 2025(Automotive World Tokyo 2025)에 초대되어 '엔드투엔드 모델로 강화한 자율 주행 패러다임 변화'를 주제로 기조 연설을 한다. 한 해 동안 이룬 강력한 비즈니스 성장, 고객 성공, 기술 발전을 기반으로 딥루트닷에이아이는 미디어와 업계 파트너를 초대하여 심도 있는 토론을 한다. 이 토론은 도쿄 빅사이트(Tokyo Big Sight) 이스트 홀 #E55-23에서 실시한다. 딥루트닷에이아이는 중국의 유명 자동차 제조업체인 스마트 오토모빌(smart Automobile)과 선도적인 중국 다국적 대기업 등 여러 파트너를 확보했다. 딥루트닷에이아이는 2024년 9월부터 12월까지 단 4개월 만에 두 대의 협업 스마트 주행 자동차를 통해 도시형 NOA에서 10%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며 최고 스마트 주행 솔루션 제공업체로 자리매김했다. 2025년에는 SUV, MPV, 오프로드 차량 등 10개 이상의 차량 모델이 딥루트의 스마트 주행 플랫폼인 DeepRoute IO와 함께 출시될 예정이다. 이 플랫폼을 탑재한 20만 대 이상의 차량이 소비자 시장에 출시되어 딥루트닷에이아이는 스마트 주행 솔루션의 선두 업체로서 입지를 확고히 할 것으로 기대한다. 딥루트닷에이아이는 자동차 제조업체와 협력하여 베스트셀러 차량 개발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DeepRoute IO와 통합된 한 모델은 비스마트 주행 모델보다 판매량이 3배 더 많아, 동급에서 가장 많이 팔린 차량으로 등극했다. 딥루트닷에이아이는 올해 유럽 사무소를 설립하고 글로벌 도로 주행 테스트를 시작하여 스마트 주행 기술을 해외 시장에 도입하기 위해 노력할 예정이다. 딥루트닷에이아이는 미래 지향적 기술 비전을 바탕으로, 소비자 차량에 VLA 모델을 최초로 배치하여 보다 투명하고 이해하기 쉬우며 신뢰할 수 있는 스마트 주행 결정을 주도할 것이다. 딥루트닷에이아이의 맥스웰 저우 최고경영자는 "오토모티브 월드 도쿄의 초대를 받아 기술 발전을 공유하게 된 것을 영광으로 생각한다"며 "이 전시회는 일본 파트너와 교류하고 향후 협력을 모색할 멋진 기회"라고 밝혔다. 이어서 그는 "2025년에는 최첨단 VLA 모델을 배포와 DeepRoute IO 스마트 주행 플랫폼의 채택 확장을 통해 리더십을 강화한다"며 "ADAS 분야에서 선택 받는 공급업체가 될 수 있는 유리한 위치에 있다. 글로벌 자동차 제조업체와 협력하여 스마트 주행 차량을 전 세계에 선보이겠다"고 덧붙였다.
정저우, 중국 2025년 1월 22일 / 아시아를 대표하는 상용차 제조업체 유퉁버스(Yutong Bus, 이하 '유퉁')가 버스 기술의 빠른 성장과 혁신을 지속하며 전기화, 지능형 네트워킹과 같은 전략적 개발을 추진했다. 2024년 여객 버스 판매량은 전년 대비 28.48% 증가한 4만 6918대를 기록했다. 유퉁은 2024년 멕시코, 카자흐스탄, 몽골 등에서 개최된 행사를 통해 듀얼 모드 변속기(DMT) 하이브리드 시스템, 새로운 C시리즈 대형버스, 밴 6, DMT 하이브리드 H10 등 다양한 지속 가능한 운송 혁신 기술을 선보이며 글로컬 전략을 한층 더 발전시켰다. 유퉁은 국제 네트워크를 확장해 유퉁 버스의 제조 역량, 연구 개발 능력, 첨단 신에너지 기술력을 소개했다. 카타르에 첫 번째 신에너지 부품 조립 공장을 설립했으며, 2024년 기준 전 세계 16개국에서 현지 생산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2024년에 유퉁은, 칠레에 E12 버스 214대, 그리스에 E12 버스 250대, 스페인에 공항 셔틀버스 46대, 몽골에 ZK6116HG 버스 600대, 멕시코에 하이브리드 버스 274대, 카자흐스탄에 트롤리버스 100대, 라틴 아메리카에 V6 소형 버스 500대를 공급했다. 유퉁 버스는 극한 환경에서도 탁월한 성능을 입증했다. 2024년 1월 E18PRO는 카자흐스탄의 영하 25℃ 혹한 속에서 374km를 주행했다. U12는 북극권에 진출한 유일한 중국산 신에너지 버스가 됐다. E11PRO는 지상 온도가 60°C에 달하는 상황에서 킬로미터당 0.74kWh만을 소비하며 놀라운 에너지 효율을 보여주었다. T15E는 핀란드의 영하 20℃ 추위 속에서 609km를 주행하며 성능을 입증했다. 지난해 10월에는 C12E가 호주에서 한 번 충전으로 555km를 주행하는 기록을 세웠다. 유퉁은 세계 시장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적극적으로 실천하고 있다. 지난해 3월에는 카자흐스탄 홍수 피해 지역에 구호 물품을 지원하고, 차량 부품을 교체해주는 활동을 펼쳤다. 유퉁은 AWCPD에서 브리즈번 녹색 여행 주간에 환경 보호 인식을 높이고 여성과 어린이를 지원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아울러 현지 딜러인 펠리칸(Pelican)과 협력해 영국에서 탄소 제로 숲 조성 사업을 시작했다.
다보스, 스위스 2025년 1월 22일 / 세계 최고의 APA(Agentic Process Automation) 플랫폼인 오토메이션 애니웨어(Automation Anywhere Inc., AAI)와 PwC 인도(PwC India)는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오토메이션 애니웨어의 고급 에이전틱 AI 기능을 PwC 인도의 독점 ISMS(Intelligent Spend Management Suite)에 통합했다. PwC 인도의 ISMS는 기업이 지출을 관리하고 지급 업무를 운영하는 방식을 혁신하도록 설계된 에이전틱 AI 플랫폼이다. 이 제품은 이제 오토메이션 애니웨어에서 지원하게 될 생성형 AI 에이전트의 기능을 활용한다. 이를 통해 ISMS는 지능적인 구매 결정을 내리고, 비접촉식 지급 계정을 처리하며, 중요한 결과를 개선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 모듈식 에이전틱 AI 플랫폼은 기존 시스템과 API 통합을 통해 운영 효율성, 투명성, 인사이트를 크게 개선하여 더 나은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지원한다. 2024년, 오토메이션 애니웨어는 주요 비즈니스 운영 혁신을 목표로 생성형 AI 기반 솔루션 개발을 위해 PwC 인도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발표했다. 오토메이션 애니웨어의 고급 에이전틱 AI 기능을 PwC 인도의 ISMS에 통합한 것은 이 파트너십에서 매우 중요한 이정표로 기록된다. 오토메이션 애니웨어와의 발표에 대해 산지브 크리샨(Sanjeev Krishan) PwC 인도 회장은 "오토메이션 애니웨어의 고급 에이전틱 AI 기능과 PwC 인도의 ISMS 통합은 오늘날 기업이 직면한 가장 시급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한 걸음 더 나아간 것"이라며 "우리의 깊은 업계 통찰력, AI, 기술 전문성, 도메인 이해를 애니웨어 오토메이션 에이전틱 AI 플랫폼과 결합하여 조직이 효율성을 높이고 의사 결정을 개선하며 지출, 지급 운영에서 큰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라고 설명했다. 조 앳킨슨 (Joe Atkinson) PwC 글로벌 최고 AI 책임자는 "에이전틱 AI는 AI 혁명에서의 획기적인 변화를 의미하며, 전 세계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재창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AI는 산업 전반에 걸쳐 가치 사슬을 흔들기 시작했으며, ISMS를 통한 기업의 가치 실현은 현실화되고 있다. 오토메이션 애니웨어와 협업으로 이러한 변화를 보게 되어 매우 기쁘다"고 덧붙였다. 안쿠르 코타리 (Ankur Kothari) 오토메이션 애니웨어 최고운영책임자는 "업계를 선도하는 APA 플랫폼은 생성형 AI를 통해 실제 고객 문제를 해결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는 독보적인 능력을 갖추고 있다"며 "우리는 PwC 인도의 시장 잠재력을 인식하고 있다. 이는 AI 에이전트의 배포를 크게 확대하여 고객에게 우수한 비즈니스 성과를 제공하기 위한 장기적인 전략적 비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만프리트 싱 아후자 (Manpreet Singh Ahuja) PwC 인도 최고디지털책임자 겸 파트너는 "에이전틱 AI를 활용하는 PwC 인도의 ISMS는 AI를 시험 단계에서 엔터프라이즈급 배포로 전환하려는 노력을 보여준다"며 "이 제품은 지급 관리의 스마트화와 효율화에 해결 방안 제시한다. 오토메이션 애니웨어와 협력을 통해 두 기업의 공동 전문성을 활용하여 고객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PwC 인도 ISMS의 주요 기능은 고급 프로세스 인사이트, 검증, 작업 실행을 위한 생성형 AI 에이전트와 기존 시스템과 원활한 통합을 위한 모듈식 설계, 더 빠른 구현과 확장성을 위한 API 우선 아키텍처 그리고 강력한 데이터 기본 레이어, 검증, 워크플로 구현으로 구성되어 있다. 오토메이션 애니웨어와 PwC 인도는 공동 노력을 통해 여러 비즈니스 업종에서 작업 방식을 혁신할 획기적인 솔루션 개발 준비를 마쳤다. 오토메이션 애니웨어는 조직 전반에서 AI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세계 최고의 APA(Agentic Process Automation) 플랫폼이다. 오토메이션 애니웨어의 플랫폼은 전문 AI, 생성형 AI로 구동되며 보안, 거버넌스 우선 접근 방식을 통해 프로세스 검색, RPA, AI 에이전트, 엔드투엔드 프로세스 오케스트레이션, 문서 처리, 분석을 제공한다. 오토메이션 애니웨어는 전 세계 조직이 생산성을 높이고 고객 경험을 개선하며 새로운 수익원을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미래 업무를 혁신하겠다는 비전에 따라 AI 기반 자동화로 인간 잠재력을 발휘하는 데 전념한다. PwC는 152개국에 32만 7천 명 이상의 직원이 양질의 회계 감사, 자문, 세무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 네트워트다. PwC는 PwC 네트워크와 하나 이상의 회원사를 의미한다. 각 회원사는 별도 법인이다.
주광덕 남양주 시장은 22일 시청 여유당에서 신년 기자회견을 열고 "2025년을 남양주 산업 생태계 대전환의 해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주광덕 시장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새해 시정 방향을 발표하기에 앞서 2025년 중점 사업인 '이패동 일원 도시 개발 사업'을 소개했다. 왕숙2지구와 다산2동 사이에 위치한 이패동 일원은 신도시를 잇는 요충지임에도 불구하고 그린벨트로 묶여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남양주시는 올해 '이패동 일원 도시 개발 사업'을 중점 추진해 도시를 하나의 생활권으로 연결하는 토대를 마련할 계획이다. 이어 주 시장은 "남양주가 지난 30년간 이뤄낸 성장을 기반으로 슈퍼 성장을 위한 변화와 혁신을 통해 지속 가능한 도시로 도약하겠다"고 말하며 교통·산업·복지·문화 등 전반에 걸친 시정 운영 방향을 제시했다. 먼저, 교통 분야에서는 광역 교통망 확충과 효율적인 내부 연결망 구축을 통한 수도권 교통 허브 도시로 거듭난다. 남양주시는 GTX-B 노선 착공과 본격적인 토지 보상을 시작으로 경춘선-수인분당선 연결 사업, 9호선 연장 등 광역 교통망 구축에 행정력을 집중하기로 했다. 왕숙 지구와 진접 지구 등 신도시 개발에 따라 추가적인 버스 차고지 확보, 전기·수소 충전 인프라 확충 등도 계획에 포함됐다. 산업 분야에서는 왕숙 도시 첨단 산업 단지를 기반으로 기업과 인재가 모여드는 혁신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기로 했다. 남양주시는 AI, 팹리스 산업 등 첨단 융·복합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2030 기업 유치 마스터 플랜'을 마련하고, 왕숙 신도시를 중심으로 한 대규모 복합 상업 시설 유치를 추진한다. 왕숙2지구에는 대형 공연장, 문화 공원, 청년예술 공간 등을 포함한 문화 벨트를 조성하고, 오는 2026년까지 약 400억 원을 투입해 수소 도시로 탈바꿈할 계획이다. 남양주시는 다산 정약용 선생의 철학과 가치를 중심으로 한 정약용 브랜드 사업을 추진하고, 경의중앙선(도농∼양정) 철도 복개 구간 상부에 가칭 정약용 공원을 조성해 날씨에 구애받지 않고 즐길 수 있는 미래형 도시 공원으로 도시 품격을 높일 계획이다. 주광덕 시장은 "74만 시민 시장 시대를 시작한 민선 8기도 어느덧 절반이 지났다"며 "공렴 정신을 기치로 미래형 자족 도시, 누구나 살고 싶은 도시 남양주 실현을 위해 2025년을 산업 생태계 대전환의 해로 만들겠다"는 각오를 밝혔다.
부산광역시 수영구(구청장 강성태)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주관한 '2025-2026 한국 관광 100선'에 '광안리 해변 & SUP존'이 2회 연속 선정됐다고 밝혔다. '한국 관광 100선'은 2012년부터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공동으로, 국내 여행 수요 창출과 지역 관광활성화를 위해 한국인과 외국인이 꼭 가볼 만한 대표 관광지 100개소를 2년에 한 번씩 선정해 홍보하는 사업이다. 이번 '한국 관광 100선'은 누리 소통망(SNS) 검색량 등 빅데이터 분석과 3차에 걸친 관광 분야 전문가 서면·현장 평가를 거쳐 선정했다. 부산의 광안대교와 아름다운 조화를 이루는 광안리 해변과 대한민국 최고의 패들보트(SUP) 메카이자 부산 해양스포츠 랜드마크인 SUP존이 부산경남의 대표 관광지로 2회 연속 '한국 관광 100선'에 선정되는 명예를 얻었다. 강성태 수영구청장은 "광안리 해변&SUP존이 '2025-2026 한국관광 100선'에 또 한 번 선정된 만큼 더 많은 관광객이 대한민국 대표 명소 광안리를 찾을 수 있도록 다양한 관광 콘텐츠를 적극 발굴하여 세계적 관광지로 발돋음하겠다"고 밝혔다.
상하이 2025년 1월 22일 / 몽타주 테크놀로지(Montage Technology)가 22일, AI와 클라우드 컴퓨팅과 같은 까다로운 고대역폭 애플리케이션의 연결 성능을 강화하도록 설계한 PCIe® 6.x/CXL® 3.x Retimer(M88RT61632)의 샘플링을 발표했다. 이로써 몽타주 테크놀로지는 성공적인 PCIe 4.0과 PCIe 5.0/CXL 2.0 Retimer 솔루션에 기반해 자사의 PCIe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장했다. PCIe 6.x/CXL 3.x Retimer는 PCIe 5.0의 두 배인 최대 64GT/s의 데이터 속도로 뛰어난 성능을 제공한다. 몽타주 테크놀로지의 독점 PAM4 SerDes IP로 구동되는 이 칩은 낮은 지연 시간을 유지하면서 최대 43dB의 링크 버짓으로 뛰어난 신호 무결성을 달성한다. 혁신적인 DSP 아키텍처는 크로스토크와 신호 반사를 포함한 PCIe 6.x 시스템 설계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한다. 이 칩은 고급 링크 트레이닝과 향상된 텔레메트리 기능을 갖추고 있어 고신뢰성 AI 클러스터 배포를 위한 포괄적인 링크 모니터링과 오류 진단이 가능하다. PCIe 6.x와 CXL 3.x 사양을 준수하고 메인스트림 패키지를 활용하는 Retimer는 CPU, 테스트 장비와 엔드포인트 장치와 강력한 상호 운용성을 입증하여 클라우드 컴퓨팅과 데이터 센터 인프라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배포할 수 있는 입지를 다졌다. 스티븐 타이(Stephen Tai) 몽타주 테크놀로지 사장은 "AI와 클라우드 컴퓨팅의 급속한 성장은 PCIe/CXL 기술과 제품 진화를 가속하여 Retimer 애플리케이션에 상당한 시장 기회를 창출했다"며 "최고의 제품과 서비스를 통해 AI, 머신 러닝,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주도하기 위해 CPU와 PCIe/CXL 장치 제조업체와 긴밀히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몽타주 테크놀로지는 고객 및 파트너를 대상으로 PCIe 6.x/CXL 3.x Retimer 샘플링을 시작했으며, AI 서버, 액티브 전기 케이블(AEC), 스토리지 시스템을 포함한 주요 애플리케이션에 포괄적 기술 지원을 제공한다. 지원 패키지에는 M88RT61632 기반 레퍼런스 설계, 평가 보드, 소프트웨어 툴을 포함하여 고객이 개발 주기와 제품 출시를 앞당길 수 있다. 몽타주 테크놀로지는 전략적 로드맵의 일환으로 PCIe 7.0 Retimer 개발을 추진하여 차세대 인터커넥트 솔루션에서 리더십을 강화하고 제품군을 다양하게 확장하고 있다.
벵갈루루, 인도 2025년 1월 19일 / 글로벌 디지털 전환을 선도하는 기업 마이크로랜드(Microland)가 ISG 프로바이더 렌즈 연구(ISG Providers Lens Study) 2024의 '지능형 자동화 서비스(Intelligent Automation Services)' 부문 '인공지능을 활용한 IT 운영(AIOps)' 쿼드런트(사분면) 평가에서 미국 지역 내 선두 기업으로 인정 받았다. ISG 프로바이더 렌즈 연구 2024는 진화하는 기술적 역량의 전사적 확장에 대한 잠재력 보유 여부를 중심으로 지능형 자동화 서비스 제공업체가 제공하는 포괄적인 자동화 전략에 주목한다. 이 연구는 차별화 성과 지표를 구축하려면 고객 중심 설계, 목적에 맞게 구축된 자동화, 비즈니스 경험이 중요하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 마이크로랜드의 AIOps 플랫폼 인텔리제니(Intelligeni)는 IT 운영, 실시간 분석에 필요한 AI 기반 자동화를 통해 하이브리드 IT 관리를 강화하고, 사고 해결 효율성을 높이고, 확장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낸다. 이 인텔리제니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마이크로랜드의 혁신적인 자동화 운영 모델은 끊임없이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탄력적인 IT 환경을 구축한다. 인텔리제니는 포괄적 관찰이 가능한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범위의 모니터링 소스와의 풀스택(full-stack) 통합을 지원하고 IT 운영에 대한 정확한 상태 평가와 전체적인 가시성을 제공한다. 마이크로랜드 수석 부사장인 사티시 수쿠마르(Satish Sukumar) 플랫폼 부문 글로벌 책임자는 "지능형 자동화 서비스 부문에서 ISG 프로바이더 렌즈 연구 2024의 리더로 인정 받아 영광"이라며 "IT 복원력과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혁신적인 AI 기반 솔루션을 통해 고객에게 확실한 경험을 제공하고 비즈니스 성장을 촉진하려고 노력하고 있다는 사실을 입증했다"고 말했다. 샘 매튜(Sam Mathew) 마이크로랜드 사장은 "이번 수상으로 IT 운영 최적화뿐 아니라 지속 가능하고 확장 가능한 디지털 전환의 기반을 마련해줄 지능형 AI 기반 솔루션으로 기업에 힘을 실어주기 위해 끊임없이 주력해온 우리의 노력이 인정 받았다"며 "고객이 복잡한 상황을 헤쳐 나가고 자신 있게 회복 탄력성을 이뤄낼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애쉬윈 가이드하니(Ashwin Gaidhani) 선임 연구원은 "마이크로랜드는 AIOps를 구현하는 고객이 IT 인프라에 종합적 통찰력을 갖추도록 완비된 플랫폼과 지침을 제공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ISG 프로바이더 렌즈 연구 2024는 비즈니스 및 IT 의사 결정권자에게 중요한 의사 결정의 근거로, 관련 제공자의 강점과 약점에 대한 투명한 정보, 세그먼트별 차별화된 포지셔닝 전략, 미국과 유럽 등 다양한 시장에 대한 심도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이 연구는 또한 다양한 기술과 역량을 겸비한 인재에 대한 높은 수요와 책임감 있는 자동화 관행의 중요성에 대한 통찰도 제공한다. 마이크로랜드는 인도 벵갈루루에 본사를 둔 선도적인 IT 인프라 서비스, 컨설팅 회사로 35년 동안 가시적인 비즈니스 성과를 입증해왔다. 오늘날 기업이 네트워크가 현대 디지털 시스템의 기능과 효율성을 뒷받침하고 혁신을 지원한다는 것을 인식함에 따라 마이크로랜드는 AI와 운영 자동화 및 플랫폼 기반 솔루션 같은 차세대 기술을 제공하여 전 세계 조직의 운영 우수성과 민첩성, 생산성 향상을 지원하고 있다. 4600명이 넘는 전문가로 구성된 팀은 아시아, 호주, 유럽, 중동, 북미의 100여개 국가에서 네트워크,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 사이버 보안, 서비스 관리, 애플리케이션과 자동화 분야의 최첨단 솔루션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수의 업계 분석가에게 혁신 전략으로 인정받은 마이크로랜드는 강력한 거버넌스와 환경 지속가능성, 다양한 인재가 넘쳐나는 포용적인 직장을 육성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 마이크로랜드와 협력하는 기업은 최고의 인재, 기술, 솔루션과 연결되어 최고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선전, 중국 2025년 1월 21일 / 통합 정보 통신 기술 솔루션 제공 분야의 글로벌 기업 ZTE 코퍼레이션(ZTE Corporation)이 에코바디스 2024 지속가능성 성과 개요 보고서 (EcoVadis 2024 Sustainability Performance Overview)에서 권위 있는 골드 메달을 수상했다. 이번 수상으로 ZTE는 지난 12개월 동안 에코바디스가 평가한 전 세계 기업 중 상위 4%에 속하게 됐다. ZTE는 통신 장비 제조업계에서 상위 2%에 속하는 기업으로 선정되어 지속 가능성 측면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뒀다. 에코바디스는 회사의 백분위수 순위에 따라 메달을 수여하며, 골드 메달은 상위 5%에 해당하는 기업에게 수여한다. ZTE는 탁월한 성과를 인정 받아 이 엘리트 그룹에 속한다. 이는 지속 가능한 관행에 강력한 의지를 반영한다. ZTE는 통신 장비 제조업계에서 상위 7%에 속하는 기업으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보여주고 있다. 노동과 인권 분야에서 ZTE 성과는 상위 3% 기업에 속하며, 이는 공정한 노동 관행과 인권 기준을 보장하기 위한 ZTE의 헌신을 반영한다. 책임감 있는 조달에 대한 ZTE의 노력은 이 범주의 평가 대상 기업 중 상위 3%에 속한다. 윤리 부문에서는 상위 3%에 속하며, 강력한 거버넌스 관행과 비즈니스 운영의 투명성, 청렴성에 헌신을 강조한다. 에코바디스 메달 또는 배지는 에코바디스 데이터베이스에서 다른 평가 대상 기업과 비교하여 성과를 인정 받은 것이다. 이는 지속 가능성 경영에 대한 기업 의지를 보여주는 긍정적인 지표다. 이 평가의 완료를 기념하기 위해 에코바디스는 원트리 플랜티드(One Tree Planted)와 파트너십을 통해 ZTE를 대신하여 나무를 심을 예정이다. ZTE는 유엔글로벌콤팩트(United Nations Global Compact, UNGC)와 글로벌 지속가능성 이니셔티브(Global Enabling Sustainability Initiative, GeSI)의 회원사로서 2009년 이후 16년 연속 지속가능성 보고서를 적극적으로 발표해 왔다. 지속 가능한 개발에 대한 ZTE 업적은 널리 인정받고 있다. ZTE는 중국 최초의 대규모 ICT 기업으로, SBTi(Science Based Targets initiative)에서 이중 목표 승인을 받은 동시에 CDP A List에도 이름을 올렸다. FTSE4Good 지수 시리즈에 9년 연속 편입됐으며, 13년째 항셍 기업 지속가능경영 지수 시리즈(Hang Seng Corporate Sustainability Index Series) 구성 기업으로 선정되었다. ZTE는 제6회 BDO ESG 어워드 2024에서 '테마상(Theme Award)'과 'H주 기업 우수 ESG 성과상(Outstanding ESG Performance of H-Share Companies)' 등 2관왕에 오르며 더욱 두각을 나타냈다. 이러한 수상은 혁신적인 실천과 기업 책임을 통해 지속 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데 전념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번 에코바디스 골드 메달 수상은 지속가능성 표준에 중점을 두고 혁신을 촉진하는 데 전념하는 업계 리더로서 ZTE 입지를 더욱 강화한다. 혁신적인 기술과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ZTE는 유무선과 디바이스, 전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더 나은 미래를 위한 지속적인 혁신으로 전 세계를 연결하고 있다. 현재 전 세계 인구의 4분의 1 이상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디지털, 지능형 생태계를 조성하고 모든 곳에서 연결과 신뢰를 실현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 ZTE는 홍콩과 선전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다.
평택시(시장 정장선)는 20일, 경기도 평택시 서재8로 30, 지제역 푸르지오 엘리아츠 주민 편의 시설 내에 '평택시 다함께돌봄센터 10호점'을 개소했다. 다함께돌봄센터는 방학과 방과 후 돌봄이 필요한 초등학생에게 다양한 아동 돌봄 프로그램 등을 제공하는 사회복지 시설이다. 평택시는 안전하고 쾌적한 방과 후 초등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2020년부터 다함께돌봄센터 9개소(송탄동 2개소, 청북읍 2개소, 비전동 2개소, 고덕동, 원평동, 동삭동)를 연차적으로 설치, 운영 중이다. 이번에 문을 연 평택시 다함께돌봄센터 10호점은 아동 돌봄의 전문성을 갖춘 센터장 1명과 돌봄 교사 3명이 근무하고 있다. 이용 시간은 학기 중에는 오전 9시∼오후 8시, 방학 중에는 오전 9시∼오후 7시로 운영하며, 현재 이용 아동을 모집하고 있다. 입소를 희망하는 가정은 센터로 직접 문의하면 된다. 개소식에 참석한 김대환 복지국장은 "아동이 행복하고 부모가 안심할 수 있는 초등 돌봄 기관인 다함께돌봄센터를 확대하겠다"며 "아이 키우기 좋은 평택시를 만드는 데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