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의회 정책복지 위원회(위원장 이상식)는 24일 도의회 정책복지 위원회 회의실에서 국민 간병비 부담 경감 방안 마련을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다. 박지헌 의원(청주4) 주재로 진행된 간담회에는 충청북도 보건복지국장, 복지 부서 관계자 등이 참석해 충북 간병지원 관련 사업의 현황과 사업 확대 방향을 모색했다. 간담회에서는 ▲저소득층 간병 서비스 확대 ▲간호·간병 통합 서비스 확대 지정 ▲복지부 요양병원 시범 사업 응모 ▲간병인 후불제 도입 검토 등 간병 지원 확대를 위한 다양한 의견이 나왔다. 박지헌 의원은 "고령화로 인해 간병 부담이 증가하고 있지만 간병인 서비스 관리 체계 부재로 전 국가적인 간병 부담 경감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며 "이번 간담회를 통해 간병비 사적 부담 완화 정책 마련에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오는 3월 12일 충북도의회 제424회 임시회 1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 발언을 통해 "병원 환자 간병 지원 사업 확대 필요"를 주문할 예정이다.
지난해 시민 주도로 열린 '2024 세종 빛 축제'가 25일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에서 열린 '2025년 제13회 대한민국 축제 콘텐츠 대상'에서 축제 예술·공연 부분 대상을 수상했다. 한국 축제콘텐츠 협회가 주최하는 '대한민국 축제콘텐츠 대상'은 축제 콘텐츠산업에 기여한 지역 축제를 선정해 자긍심을 높이고, 한국의 지역 축제가 세계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독려하기 위한 시상식이다. 올해는 축제·관광 관련 학계와 업계 등으로 구성된 분야별 전문가 60명 중 무작위로 선정된 15명이 심사를 맡아 축제의 차별성, 독창성, 발전성 등 7개 부문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은 35개 축제를 선정했다. 2024 세종 빛 축제는 예산이 전액 삭감되어 겨울철 관광객 유입 감소, 소상공인 매출 하락 등 지역 경제 위축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시민이 직접 시민 추진단을 구성해 개최했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깊다. 특히 시민이 자발적인 모금을 통해 지난해 12월 13일부터 올해 1월 15일까지 한 달간 세종시 이응다리와 금강수변 일원에서 완성도 높은 축제를 펼쳐 방문객과 소상공인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임인택 상임대표는 "2024 세종 빛 축제는 시민의 힘으로 개최한 특별한 축제로, 사회적 자본을 형성한 계기이자 세종 사랑 운동을 시작한 큰 계기가 됐다"며 "세종 빛 축제의 대한민국 축제 콘텐츠 대상 수상은 시민의 저력으로 이뤄낸 결과물이다"고 말했다.
트리젠, 리히텐슈타인 2025년 2월 25일 / 글로벌 교육 네트워크 에드히어로즈(EdHeroes)가 지난해 '에드히어로즈 교육 문화 유산에 관한 글로벌 포럼(EdHeroes Global Forum on Cultural Heritage in Education)'을 성공적으로 개최한 여세를 몰아 전 세계 교육에 문화 유산을 통합하기 위한 새로운 이니셔티브인 '에드히어로즈 교육 문화 유산 위원회(EdHeroes Cultural Heritage in Education Committee)를 출범한다. 이 이니셔티브는 문화 전통, 언어, 역사가 다음 세대를 위한 교육의 필수적인 부분이 되도록 만들기 위한 국경을 초월한 협력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2023년 유네스코 국제 모국어상(International Mother Language Award) 수상자이자 LLF 국가 고문이면서 에드히어로즈 문화 유산 교육 위원회 위원인 마헨드라 미슈라(Mahendra Mishra) 박사는 "전통 문화의 급속한 쇠퇴가 아동의 미래에 영향을 미치고, 사회를 정체 상태로 만들었다"면서 "이런 면에서 위원회는 문화적 다양성을 활성화하기 위한 글로벌 연대를 지지한다"고 말했다. 이번 이니셔티브는 다양성 속의 통일성, 문화 유산의 지속 가능성, 모두에게 공평한 교육, 평생 학습, 목적 지향적 혁신, 글로벌 협력이라는 6가지 핵심 가치를 중심으로 추진된다. 이 원칙은 다양성을 존중하면서 교육의 공통 과제를 해결하는 영향력 있는 글로벌 프로젝트의 개발을 안내해줄 것이다. 이러한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에드히어로즈는 글로벌 교육 교류 프로그램(Global Education Exchange Program: GEEP), 유산 보존, 활성화 프로젝트, 커뮤니티 중심의 커리큘럼 개발, 세계 시민 학습, 에드히어로즈 액션 위크 등 몇 가지 핵심 프로그램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 프로그램은 상호 학습을 보장하고 모든 문화 유산이 교육 과정 내에서 존중되고 기념되는 협력을 촉진하는 학습 환경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에드히어로즈는 정부, 비영리 단체(NGO), 교육자, 기업, 지역 사회 지도자가 교육을 통해 문화 유산을 보호하는 이 세계적인 운동에 동참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모두가 함께 협력하면 교육이 여러 문화를 이어주는 다리가 되어 단합과 공통된 이해를 촉진하는 포용적이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실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둥잉, 중국 2025년 2월 24일 / 둥잉(東營)은 2024년 투자 유치의 질과 효율성을 개선하여 투자 유치 사업에 상당한 진전을 이뤄냈다. 전체적으로 둥잉의 투자 유치 사업은 투자 기여도가 증가하고, 투자 프로젝트의 질이 향상되며, 산업 관련 투자 프로젝트 비율이 높았다. 둥잉은 지난해 총 526개의 신규 투자 프로젝트를 확보하였으며 계약 금액은 2,370억 4,900만 위안(약 46억 7,565만 원)에 달하였다. 현재는 425개의 프로젝트가 추진 중이며, 투자 금액은 924억 2,600만 위안에 달하였다. 둥잉은 또한 상하이전기(Shanghai Electric), 궈화에너지(Guohua Energy) 등 '포춘 글로벌 500대 기업'과 국영 기업의 61개 프로젝트를 유치하였으며 총투자액은 430억 6,900만 위안에 달하였다. 둥잉의 전체 투자 프로젝트에서 산둥(山東)성과 둥잉시 핵심 프로젝트로 선정된 산업 투자 프로젝트는 122개로, 둥잉시 전체의 56.5%와 58.3%를 차지하였으며 총투자액은 2,144억 3,000만 위안에 달하였다. 2025년 둥잉은 산업 투자 강화, 대규모 프로젝트 추진, 투자 모델 혁신, 서비스 개선, 투자 유치 능력 강화 등 5개 특별 행동계획에 주력하여 투자 유치 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둥잉은 전통 산업의 고도화를 촉진하기 위해 산업 선도 기업을 통해 업·다운스트림 기업과 산업 생태계 파트너를 유치하여 대중소기업 통합 발전의 산업 클러스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2025년에 유치하는 산업망 핵심 프로젝트가 전체 프로젝트의 65% 이상을 차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저고도 경제, 신에너지 저장, 수소 에너지 등 산업 분야에 주력하여 미래 산업 경쟁력을 육성할 예정이다. 올해 둥잉은 투자 규모가 10억 위안 이상인 프로젝트를 40개 이상을 유치하고, 전력적 신흥 산업 분야에서 새로운 성과를 거두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또한, '자원+시장+응용 방식'의 새로운 투자 유치 모델을 활용하여 다양한 프로젝트를 추진할 계획이다. 둥잉시는 2월 12일 6개 분야의 70개 핵심 프로젝트를 포함한 제1차 프로젝트 협력 리스트를 발표하여 330억 위안 이상의 투자를 유치할 예정이다. 둥잉은 또한 핵심 프로젝트 추진에 필요한 동적 관리 시스템을 도입하고, 프로젝트 추진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구축하여 중국 투자 유치 서비스의 '둥잉 모델'을 선보일 계획이다. 둥잉은 장기적이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고품질 투자를 유치하고, 산업 혁신을 주도하며, 신흥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리야드, 사우디아라비아 2025년 2월 24일 / 모빌리(Mobily)가 사우디아라비아의 모바일 연결성 강화를 위한 주요 단계로 밸리드(Valid)의 첨단 원격 SIM 프로비저닝(RSP) 플랫폼을 성공적으로 구축했다. 소비자와 IoT 서비스 모두를 위해 설계된 이 온-프레미스(on-premises) 솔루션은 모빌리가 가입자의 SIM과 eSIM 프로필을 관리하는 방식을 간소화한다. 이 프로젝트는 통합 RSP와 OTA(Over-the-Air) 솔루션 배포에 대한 밸리드 전문성을 보여준다. 이 프로젝트의 핵심은 사용자가 매장을 직접 방문할 필요 없이 eSIM 프로필을 활성화하고 관리할 수 있는 밸리드의 원격 SIM 프로비저닝 솔루션이다. 이러한 변화 덕분에 고객은 기기 연결 방식에 변화를 주면서 모바일 네트워크에 더 빠르고 유연하게 접근할 수 있다. 이 솔루션은 빠르고 안전한 연결이 필수적인 IoT와 M2M 애플리케이션에 특히 중요하다. 이 솔루션에는 모빌리가 SIM과 eSIM 프로필을 원격으로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밸리드의 OTA 플랫폼도 포함한다. 이 기술은 가입자 경험을 간소화해 더 빠른 연결 업데이트를 제공하고 전반적인 보안을 강화한다. 모빌리 가입자는 끊김 없는 연결, 더 빠른 프로필 전환, 강화된 보안 등 더 원활한 네트워크 경험을 누릴 수 있다. 소비자용 스마트폰부터 IoT 장치까지 모두 지원하는 유연성을 갖춘 이 플랫폼은 M2M, 물류, 의료, 스마트 시티 분야의 기업을 위한 강력한 솔루션이다. 모빌리는 이 플랫폼을 통해 프로필 관리, 업데이트 배포, 보안 유지 등을 원격으로 수행할 수 있어 시간과 노력을 줄이고 운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모빌리의 오마르 알로마(Omar Alomar) 최고네트워크책임자는 "모빌리는 고객에게 직접적인 혜택을 주는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면서 "사물인터넷 분야의 선구자로서 디지털 혁신을 주도하는 첨단 연결 솔루션을 제공하면서 사우디 시장을 계속 선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밸리드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고객의 요구를 충족하는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며 밸리드의 전문성과 요구에 맞게 조정하는 역량 덕분에 이번 프로젝트가 성공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살바도르 카브레라(Salvador Cabrera) 밸리드 최고운영책임자는 "모빌리와의 이번 협업은 원격 SIM 프로비저닝과 OTA 플랫폼의 온-프레미스 배포를 제공할 수 있는 밸리드의 역량을 보여주는 중요한 이정표"라며 "밸리드는 글로벌 eSIM 환경에서 혁신을 주도하겠다는 약속에 따라 모빌리의 소비자와 IoT 서비스를 향상시킬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말했다. 밸리드(Valid)는 전 세계에서 상호 운용 가능한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다. 공공과 민간 부문에서 인증, 수익화, 거래 등 다양한 여정을 지원해 삶에 디지털 혁신을 촉진하며 아이덴티티, 모바일, 결제 생태계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 역량을 보여준다. 밸리드는 지난 70년 가까이 쌓아온 전문성을 바탕으로 대용량 데이터와 민감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합 솔루션을 제공한다. 밸리드 목표는 고객이 더 편리하고 나은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최고의 기술을 통합하고 혁신 기술과 기존 제품, 서비스를 결합하여 혁신을 촉진하는 것이다. 현재 밸리드는 전 세계 15개국에 4천명 이상의 직원을 두고, 보다 유연하고 연결되고 신뢰할 수 있고 안전한 세상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노이, 베트남 2025년 2월 24일 / 밴티지 재단(Vantage Foundation)이 하노이에 소재한 국립 화상 병원 레 흐우 찌악(National Burn Hospital Le Huu Trac)과 제휴하기로 합의했다. 국립 화상 병원 레 흐우 찌악은 중증 화상 치료를 받는 모든 환자에게 도움과 재정적 지원을 제공하고 있는 선도적인 화상 치료, 재활 전문 병원이다. 국내에서 화상 환자가 증가함에 따라 국립 화상 병원 레 흐우 찌악은 도움이 필요한 환자에게 긴급 치료, 재활, 지속적인 의료 지원을 제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환자 중 다수는 회복 기간이 길고, 가족은 의료비 부담과 심적 어려움 때문에 힘들어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를 잘 알고 있는 밴티지 재단은 특히 위독한 상태의 환자를 위한 재정적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나섰다. 밴티지 재단 팀은 이러한 재정적 지원 외에도 병원을 방문에 환자와 직접 소통하며 격려하고 정서적으로 지원했다. 병원 방문은 어려움에 처한 사람이 물질적·정신적 지원을 모두 받을 수 있게 해주며 다양한 연령대의 취약 계층을 지원하겠다는 재단의 의지를 다지는 계기가 되었다. 스티븐 시에(Steven Xie) 밴티지 재단 전무이사는 방문 경험을 되돌아보면서 "환자가 회복하는 모습을 목격하는 것은 정말 감동적이었다. 밴티지 재단에 소속된 우리는 지역 사회에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고 믿으며, 우리의 작은 행동이 치료를 받고 있는 사람에게 위로와 안도감을 주기를 바란다." 병원 방문을 주도한 병원 행정부서의 두옹(Duong) 부장은 감사의 뜻을 전했다. "많은 환자가 심각한 상태에 처해 있고, 특히 소수 민족 출신 환자응 재정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런 면에서 밴티지 재단과 같은 후원자 지원은 이들이 어려움을 극복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병원을 대표하여 밴티지의 호의에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도움이 필요한 사람을 계속 지원해주시길 바란다." 이번 이니셔티브는 의료, 교육, 사회 복지에 중점을 둔 지역 사회를 돕기 위해 밴티지 재단이 벌이는 광범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밴티지 재단은 병원, 비영리단체(NGO), 지역 사회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도움이 필요한 사람을 위해 긍정적이고 지속적인 변화를 만들어가고 있다. 밴티지 재단은 2023년 영국 맥라렌 테크놀로지 센터(McLaren Technology Centre)에서 출범한 독립 자선 단체다. 재단은 나이지리아의 더 iREDE 재단(The iREDE Foundation), 말레이시아의 티치 포 말레이시아(Teach For Malaysia), 브라질의 클라렛 연구소(Instituto Claret) 등 전 세계 여러 자선 단체와 협력하며 사회적 영향력이 큰 프로젝트를 추진해 왔다.
시드니 2025년 2월 24일 / 오라이트(Olight)가 후지필름(Fujifilm) 주관으로 2월 22일부터 23일까지 시드니 루나 파크(Luna Park)에서 열리는 콘텐츠 창작 축제 '크리에이터 서밋(Creator Summit)'에 지원 파트너로 참여한다. 크레이이터 서밋은 호주에서 활발히 활동 중인 크리에이터가 모여 이틀 동안 영감을 나누고 인맥을 쌓고 실습 워크숍을 하는 행사이다. 오라이트는 휴대용 조명 기술과 디자인을 향한 끝없는 혁신하기로 유명한 기업이며, 후지필름은 크리에이터를 위한 획기적인 이미징 기술과 시각적 예술성을 개발하는 기업으로 정평이 나 있다. 이번 파트너십은 두 브랜드가 혁신을 매개로 의기투합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오라이트는 이번 후원의 일환으로 공식 크리에이터 서밋 기프트 백에 공동 브랜드 i1R 2 Pro EDC 플래시라이트 2,400개를 협찬했다. i1R 2 Pro는 오라이트에서 특히 큰 인기를 끌고 있는 키체인 손전등으로 고성능 CSP LED와 TIR 광학 렌즈에서 나오는 부드럽고 고른 빔(5-180루멘)이 특징이다. 간단히 돌리는 조작으로 출력이 조절되며, 130mAh 대용량 배터리가 최대 12시간 수명을 보장한다. i1R 2 Pro는 2024년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Red Dot Design Award)와 iF 디자인 어워드(iF Design Award)에서 수상한 제품이기도 하다. 행사 기간에 후지필름은 루나 파크 수변 공간을 참가자가 교류하고 전문가에게 기능 향상에 관한 조언을 얻을 수 있는 콘텐츠 네트워킹 전용 허브인 후지필름 그린으로 탈바꿈시켰다. 이 이벤트에는 15명이 넘는 유명 크리에이터가 참여하며 사진, 영상 제작, 콘텐츠 제작을 주제로 한 워크숍과 강연 30여 건이 열린다. 참가자는 몰입감 넘치는 체험과 더불어 대관람차 워크숍에서 시드니 하버 인생샷 촬영법을 배울 수 있다. 오라이트 부스에서는 최첨단 조명과 인터랙티브 경험을 통해 오라이트 제품이 저조에서 사진과 영상 촬영의 질을 어떻게 끌어올리는지 확인할 수 있다. 하이라이트는 세계 최초 3-in-1 스마트 충전 스테이션으로 장시간 촬영 시 필요한 전원을 공급해 주는 Ostation X와 백색광, 자외선, 녹색 레이저를 결합해 빛과 그림자 효과를 다양하게 연출해 주는 Arkfeld Ultra다. 오라이트는 이번 창의적 행사를 지원할 예정이다. 이번 파트너십은 경계를 넘어 혁신과 창의력 증진에 기여한다는 오라이트 기업 철학의 발로이다. 오라이트는 미국 고등학교 로봇 경진 대회를 비롯해 STEM 사업을 후원했다. 이번에는 후지필름 크리에이터 서밋과 협업해 고품질 조명 솔루션으로 크리에이터 지원, 디지털 스토리텔링과 예술 분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2007년에 설립된 오라이트는 전 세계 아웃도어 애호가가 믿고 사용하는 혁신적인 휴대용 조명 제품을 공급하는 세계적인 기업이다. 오라이트는 조명 기술 한계를 넓혀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고 있다.
글로벌 명소 애기봉 평화생태 공원에서 웅장한 조강 파노라마를 배경으로 한 해병대 군악대 공연을 펼쳐 또 한 번 세계인을 감동시켰다. 김포시는 지난 22일, 애기봉 평화생태 공원에서 '어메이징 코리아!어메이징 애기봉!'이라는 주제로 해병대 군악대 공연을 선보여 관람객의 큰 호응을 이끌었다. 평소 쉽게 접할 수 없었던 해병대 군악대의 웅장한 선율과 강렬한 퍼포먼스를, 북한을 조망할 수 있는 민통선 지역에 위치한 애기봉에서 접한 관람객은 "잊지 못할 절경과 공연"이라며 뜨거운 박수를 멈추지 않고 깊은 감동을 표했다. 매번 색다른 프로그램으로 관람객을 맞은 애기봉이 이번 행사를 통해 글로벌 문화 거점으로서 역량을 또 한 번 입증했다. 이날 해병대 군악대와 함께 마련된 버블 아이스크림 만들기 체험은 남녀노소 모두가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인기를 끌며 행사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현재 세계적으로 큰 주목을 받고 있는 애기봉 평화생태 공원은 급증하는 방문객의 원활한 출입 관리를 위해 매표 창구를 증설하는 등 편의 증진에 힘쓰고 있다. 주차장 공사와 종합 안내서 설치 등 기반 시설을 정비하여 더욱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계획이다. 애기봉은 개관 이래 꾸준한 관심을 받으며 현재 누적 방문객 50만 명을 돌파했다. 이를 기념하기 위해 김포문화재단은 3월 마지막 주 토요일 연장 운영 특별 문화 행사 시 50만 돌파 기념 이벤트를 실시할 예정이다.
도쿄 2025년 2월 22일 / 히티움(Hithium)이 2월 19일부터 21일까지 열리는 스마트 에너지 위크 2025(Smart Energy Week 2025)에 처음으로 참가해 최신 기술 혁신을 선보였다. 도쿄에는 새로운 일본 지사를 공식 개설했다. 이러한 전략적 움직임은 글로벌 청사진 움직임을 가속하고 아시아ㆍ태평양 지역에서 장기적인 파트너십을 강화하려는 히티움 의지를 보여준다. 아시아ㆍ태평양 지역 최고의 재생 에너지 행사인 도쿄 에너지 위크 2025에서 히티움은 제품과 인사이트를 통해 기술적 리더십을 입증했다. 레비 리우(Levi Liu) APAC&MEA 애플리케이션 엔지니어링 이사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노이즈 감소 전략과 사례'라는 제목으로 기조 연설을 했다. 그는 "히티움의 노이즈 감소 전략은 단순히 방음벽을 추가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이는 소음 원인 제어에서 전파 차단, 경량 통합에 이기는 시스템 혁신이다. 일본 운송 표준을 준수하는 제품을 제공해 현지 고객의 부합하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목표는 아시아ㆍ태평양 지역 파트너와 협력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이며 친환경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다"고 말했다. 전시회와 동시에 개최된 히티움 일본 지사 개소식은 글로벌 확장 전략에서 중요한 이정표가 됐다. 이번 행사에는 스티븐 루(Steven Lu) 히티움 그린 에너지 회장, 리첸(Lee Chen) APAC 총괄 매니저, 벤 비안(Ben Bian), A/S 담당 수석 이사 등을 비롯한 중요 경영진이 참석했다. 개소식은 히티움이 현지화된 운영을 통해 아시아ㆍ태평양 시장에서 확실히 자리 잡겠다는 강한 의지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행사였다. 일본 지사 개설로 히티움은 현지 팀과 공급망을 통해 일본, 아시아 지역 고객을 위해 배송 기간 단축, 애프터서비스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 아시아ㆍ태평양 지역의 재생 에너지 이해 관계자와 지속 가능하고 상호 이익이 되는 파트너십을 구축하여 향후 공동 혁신과 시장 성장을 장기간 주도할 수 있다. 현장 전문성을 바탕으로 실시간 지원과 맞춤형 프로젝트 실행을 통해 보다 신속한 지원을 보장하며 아시아ㆍ태평양 전역의 파트너십을 강화하여 국제적 영향력과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다. 리첸 APAC 총괄 매니저는 "일본 지사 출범은 지역 파트너와 함께 성장하려는 확고한 의지를 보여준다"며 "일본 시장에서 강력한 입지를 구축하여 아시아 태평양을 넘어 그 외 지역까지 지속적인 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힘쓰고 있다. 장기적인 협력과 기술 혁신을 통해 더 깨끗하고 스마트한 글로벌 에너지 미래를 만들어가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설명했다. 2019년에 설립된 히티움은 대규모 유틸리티용은 물론 상업, 산업용 고품질 고정식 에너지 저장 제품을 제조한다. 4개의 R&D 센터와 다수의 '지능형' 생산 시설을 갖춘 히티움은 리튬 이온 배터리의 안전성 개선과 수명 연장 등 혁신을 거듭하고 있다. 설립자와 고위 경영진이 수십 년간 쌓아온 업계 경험을 바탕으로 BESS 분야 전문성을 활용해 파트너와 고객에게 독창적인 에너지 저장 솔루션을 제공한다. 히티움은 중국 샤먼에 본사를 두고 있다. 선전, 충칭, 뮌헨, 두바이, 뉴욕, 캘리포니아, 댈러스에는 지사가 있다. 현재까지 히티움은 60GWh 이상의 BESS 제품(셀, 시스템 등)을 출하했고, 1티어 BESS 공급업체이댜. 2024년 글로벌 에너지 저장 배터리 출하량에서 상위 3위를 기록했다.
애틀랜타 2025년 2월 22일 / 리퀴드 웹(Liquid Web)이 캘리포니아 산호세, 버지니아 애슈번, 호주 시드니, 영국 런던 등 4곳에 새로운 베어메탈 서버 지점을 개설했다. 리퀴드 웹은 전용 서버, WordPress, VPS, GPU, 클라우드 호스팅 솔루션 분야의 선도 기업이다. 이번 확장을 통해 수요가 많은 이 지역에서 지연 시간을 줄이고 네트워크 성능을 개선하며 더 빠른 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 비즈니스가 확장함에 따라 고속의 안정적인 호스팅은 원활한 디지털 환경을 제공하는 데 필수적이다. 이번 신규 서버 개설을 통해 리퀴드 웹은 기존 데이터 센터인 미시간주 랜싱, 애리조나주 피닉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을 넘어 사용자와 더욱 가까운 위치에서 보다 안전하고 고성능의 호스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주요 이점은 네트워크 지연 시간 감소로 웹사이트, 애플리케이션 속도와 미션 크리티컬 워크로드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하고 주요 글로벌 시장과의 원활한 연결성을 확보하며 성장 기업을 위한 지리적 확장 기회를 제공한다. 장애 조치와 비즈니스 연속성 개선으로 운영 중단을 방지하고 안전하고 탄력적인 운영을 위한 철저한 재해 복구 준비다. 리퀴드 웹의 라이언 맥도날드(Ryan MacDonald) 최고기술관리자(CTO)는 "속도, 안정성, 확장성은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라며 "데이터 센터 확장을 통해 이러한 약속을 지속적으로 이행할 수 있게 되었다. 이번 신규 서버 개설을 통해 기업은 더 높은 성능, 더 낮은 지연 시간, 더 큰 글로벌 접근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는 앞으로 더 많은 혁신을 위한 기반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확장으로 리퀴드 웹은 신뢰할 수 있는 호스팅 제공업체로서 입지를 강화했다. 또한, 기업 수준의 안정성을 갖춘 전용 서버를 경쟁력 있는 가격에 제공하고, 전문적인 지원을 뒷받침할 수 있게 되었다. 해당 지역 고객은 고성능 서버로 까다로운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고 주요 글로벌 지역 간 더 빨리 연결할 수 있으며 플랫폼 오버헤드 없이 최대 성능을 제고할 수 있다. 클라우드원 디지털(CloudOne Digital)의 브랜드인 리퀴드 웹은 비즈니스를 지원하는 최고 수준의 인프라와 클라우드 솔루션을 제공한다. 25년 이상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SMB, 개발자, 디자이너, 에이전시를 위한 미션 크리티컬 사이트, 스토어,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한다. 리퀴드 웹은 신뢰성, 전문가 지원, 우수성에 대한 헌신으로 잘 알려져 있다. 리퀴드 웹은 연중무휴 24시간 서비스를 제공하며 INC. Magazine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기업으로 인정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