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베이 2024년 12월 12일 / 대만의 반도체, 마이크로프로세서, IP 라이선스, 관련 기술 솔루션 제공업체인 Microip이 9일, 대만 신흥 주식 시장(Emerging Stock Market)에 주당 60신대만 달러의 기준 가격으로 상장됐다. 상장 후 주가는 74.5신대만 달러에서 시작해 103신대만 달러까지 상승하며 72% 가까운 상승률을 나타냈다. 콩코드 증권(Concord Securities)이 주관한 이번 상장으로 대만 반도체 분야에도 새로운 모멘텀이 생겼다. Microip은 핵심 사업인 '초고속 IC 디자인 플랫폼'을 통해 반도체 디자인,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Microip은 여러 글로벌 대기업에서 NFC, 보안 모듈, 무선 충전 모듈을 포함한 다수의 NRE(Non-Recurring Engineering) 프로젝트를 확보했다.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 자동화, 스마트 시티와 같은 AI 분야로도 진출 중이다. AI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ASIC 칩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일명 'CUDA와 유사한 소프트웨어 플랫폼(CUDA-like Software Platform)'도 도입했다. Microip의 납입 자본금은 2억 2963만 신대만 달러다. 성장하는 AI와 AIoT 시장의 혜택을 누리고 있는 이 회사의 'IC 디자인 서비스'와 'AI 소프트웨어 서비스 플랫폼'은 점점 더 많은 글로벌 고객을 끌어모으고 있다. NFC와 AI 소프트웨어 솔루션이 NRE 수익 창출에 기여하면서 2024년 상반기 총순이익은 2023년 연간 총순이익을 뛰어넘는 1504만 신대만 달러를 기록했다. 11월까지의 올해 누적 매출도 전년 대비 183% 증가한 6493만 신대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11월 매출은 무려 1312.40%란 기록적인 증가율을 나타냈다. 더 비즈니스 리서치 컴퍼니(The Business Research Company)에 따르면 5G, 엣지 컴퓨팅, 의료, 스마트 시티의 영향으로 AIoT 시장은 2023년 75억 2000만 달러에서 2024년 99억 8000만 달러로, 2028년에는 310억 5000만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한다. Microip의 '디자인리스(designless)' 전략은 효율적인 디자인과 개방적 파운드리의 선택을 통해 고객이 맞춤형 ASIC을 개발할 수 있게 지원하여 미디어텍(MediaTek), WT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WT Microelectronics), 퀄컴(Qualcomm)을 비롯해 업계 리더의 신뢰를 얻고 있다. Microip은 앞으로도 '초고속 IC 디자인 플랫폼'을 활용해 개발 시간을 단축하고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무선 충전, 산업 자동화, 스마트 시티 기술에 투자를 늘려 반도체 설계와 AIoT 분야에서 영향력을 확대할 예정이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고객이 차세대 제품을 시장에 빠르게 출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대만에서 설립된 Microip은 IC, AI 설계 서비스와 IP 라이선싱을 전문으로 하는 회사다. 기업은 Microip 플랫폼을 통해 유휴 IP를 활용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설계 주기를 단축할 수 있다.
베이징 2024년 12월 12일 / 주요 국제 경제 기구 수장이 '1+10' 대화를 위해 베이징에 모였다. 이 자리에서 중국의 놀라운 경제적 성과를 치하하고 중국이 글로벌 동력 엔진으로 남을 것이라는 확신을 표명했다. 시진핑(Xi Jinping) 중국 국가 주석은 10일, 이들과 만나 중국의 경제 자신감을 재확인하고, 개방을 확대하여 전 세계에 더 많은 발전 기회를 제공하겠다고 약속했다.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인 시 주석은 중국 경제가 40년 이상 지속적이고 빠른 발전을 거듭한 끝에 고품질 발전의 국면에 접어들어 세계 경제 성장에 약 30%를 기여하고 있다며 중국의 경제 성과를 강조했다. 시 주석은 중국이 올해 경제 성장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전적으로 확신하며 세계 경제 성장의 가장 큰 엔진으로서 역할을 계속 수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계은행의 2022년 보고서에 따르면 2013년부터 2021년까지 중국은 세계 경제 성장의 평균 38.6%를 차지하여 G7 국가의 기여도를 합친 것보다 더 큰 비중을 차지하며 세계 경제 성장의 주요 동력이 됐다. 지난 10월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2024년 첫 3분기 중국의 GDP는 94조 9700억 위안(미화 약 13조 9000억 달러)으로 전년 동기 대비 4.8% 성장했다. 시 주석은 중국이 대외 개방을 더욱 확대하고, 높은 수준의 국제 경제, 무역 규칙에 적극적으로 부합하며, 시장 지향적이고 법에 기반하며 국제화된 비즈니스 환경을 구축해 세계 경제 성장을 촉진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시 주석은 또한 지난 10년 동안 일대일로 이니셔티브(BRI)가 상당한 진전을 이뤘다며 이 이니셔티브가 중국과 세계 간 공동 발전을 위한 다리를 놓는다고 언급했다. 시 주석은 모든 국가의 현대화를 촉진하기 위해 국제 경제 기구가 BRI에 참여하는 것을 환영했다. 지금까지 중국은 150개 이상의 국가, 30개 이상의 국제 기구와 BRI 협력 문서를 체결했다. 중국 상무부에 따르면, 2023년 말까지 중국 기업은 BRI 참여국에 1만 7000개의 해외 기업을 설립했다. 직접 투자 규모는 미화 3300억 달러를 넘어섰다. 이 이니셔티브에 따라 건설된 해외 경제무역협력 구역은 53만 개의 현지 일자리를 창출했다. 화요일 회담에서 시 주석은 국제 사회가 직면한 주요 도전 과제를 강조하고, 디커플링과 보호무역주의에 단호히 반대하며, 개방적인 글로벌 경제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글로벌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시 주석은 각국이 혁신을 우선하며, 디지털 경제, 인공지능, 저탄소 기술과 같은 분야에서 기회를 포착하고, 지식, 기술, 인재의 국경 간 흐름을 지원해 경제 성장의 새로운 동력을 창출할 것을 촉구했다. 그는 '높은 벽을 가진 작은 마당'을 짓는 것과 '공급망을 분리하고 단절하는 것'과 같은 접근 방식은 자국은 물론 타국에도 해를 끼칠 것이라며 강하게 반대했다. 세계 무역이 보호무역주의와 지정학적 긴장으로 역풍에 맞고 있는 가운데, 중국은 지속적으로 개방 정책을 확대하여 자국 경제와 세계 시장을 통합하는 데 더 큰 진전을 이뤘다. 주요 조치 중 하나는 2020년에 새로운 외국인 투자법이 시행된 것이다. 이 법은 지식재산권 보호를 강화하고, 외국 기업을 위한 공평한 경쟁의 장을 보장하며, 보다 투명하고 공정한 비즈니스 환경을 촉진한다. 최근 몇 년 동안 중국은 금융 서비스 산업에 외국인 자본 제한을 대폭 완화하여 은행, 증권, 보험, 자산 관리 부문에 외국인 참여를 확대했다. 제조업 부문에 외국인 투자 제한을 완전히 철폐하고 통신, 의료 산업에서 시범 프로젝트를 시작하여 외국인 투자 기회를 확대하여 개방적이고 포용적이며 평등한 글로벌 경제를 구축하려는 중국 의지를 표명하고 있다. 시 주석은 개방적 세계 경제 구축의 중요성을 거론하면서 중국과 미국 관계를 언급했다. 그는 중국이 대화를 유지하고, 협력을 확대하며, 미국 정부와 이견을 관철할 용의가 있다면서 양국 관계의 안정적이고 건강하며 지속 가능한 발전에 희망을 드러냈다. 시 주석은 "관세 전쟁, 무역 전쟁, 과학 기술 전쟁은 역사의 흐름과 경제 법칙에 역행하는 것"이라며 "승자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선양, 중국 2024년 12월 11일 / '눈 덮인 풍경 속 햇살의 따스함에서 육체적·정신적 즐거움 찾기(Seeking Physical and Mental Pleasure from Sunlit Warmth Amidst Snow)'를 주제로 2024-2025 빙설 시즌(Ice and Snow Season)이 8일, 랴오닝성 성도 선양의 동북 아시아 스키 리조트(Northeast Asia Ski Resort)에서 성대한 개막식과 함께 막을 올렸다. 이번 행사의 목표는 선양의 '빙설 경제' 성장을 촉진하고, 겨울 관광에 새로운 동력을 불어넣으며 2028년 열리는 제15회 전국 동계 체전(National Winter Games)을 완벽하게 준비하는 것이다. 국내외 관광객은 너무 춥거나 멀지 않으면서도 편리하고 저렴한 선양에서 겨울 관광의 진수를 만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번 행사는 '사람이 동경하는 곳 선양(Shenyang, the place people yearn for)'이라는 슬로건에 어울리는 선양의 브랜드 이미지를 한층 더 높이면서 선양이 동북 아시아의 국제화 중심 도시로 부상할 수 있도록 박차를 가하는 데 기여할 전망이다. 선양시 인민 정부(Shenyang Municipal People's Government)는 개막식에서 2024~2025 빙설 시즌에 할 일련의 활동 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에 따르면 올겨울 선양은 ▲눈과 꽃 ▲눈과 등불 ▲눈과 열정 ▲눈과 친구 ▲눈과 느린 속도 ▲눈과 놀기에 이상적인 도시를 테마로 300여 가지 겨울 액티비티를 세심하게 마련했다. 선양은 2028년 제15회 전국 동계 체전 개최지로 완벽한 준비를 위해 다양한 '눈과 얼음' 및 '스포츠와 피트니스' 장소를 활용해 중국 남자 아이스하키 프로 리그와 전국 청소년 스키 챌린지뿐 아니라 아이스 드래곤 보트, 아이스 세일링, 얼음과 재미 축제, 스노 빌리지 등 수많은 대회를 2024-2025 선양 동계 스포츠 시즌과 함께 개최할 예정이다. 2025년 춘절 기간에는 선양에서 특별한 등불 축제와 사찰 축제가 열리며 방문객이 축제 분위기를 만끽할 기회를 선사한다. 스파와 목욕탕, 현지 요리, 보행자와 상업 거리, 아침과 밤의 시장 등 선양의 다양한 자원은 다채로운 시나리오를 통해 육체적·정신적으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여유로운 선양 속으로 안내할 것이다. 이번 행사는 선양시 인민 정부가 주최하고 중국공산당 선양시위원회 홍보부(Publicity Department of the CPC Shenyang Municipal Committee), 선양시 문화·관광·라디오·텔레비전국(Shenyang Municipal Bureau of Culture, Tourism, Radio and Television), 선양시 체육국(Shenyang Sports Bureau), 훈난구 인민정부(People's Government of Hunnan District)가 주관하며 선양 치판산 국제 풍경 및 관광 개발구 관리위원회(Administration Committee of Shenyang Qipan Mountain International Scenery and Tourism Development Zone), 선양관광그룹 유한회사(Shenyang Tourism Group Co., Ltd.), 동북아 스키 리조트가 후원한다.
닝더, 중국 2024년 12월 11일 / 글로벌 자동차 제조업체인 스텔란티스와 중국 배터리 업체 CATL이 10일, 합작사 설립을 통해 최대 41억 유로를 투자하여 스페인 사라고사에 대규모 유럽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공장을 짓기로 합의했다. 100% 탄소 중립적으로 설계될 이 배터리 공장은 여러 단계에 걸쳐 시행되며, 단계별 투자 계획에 따라 설립할 예정이다. 스텔란티스의 스페인 사라고사 부지에 2026년 말 생산을 목표로 건설되는 이 공장은 유럽 전기 시장의 발전과 스페인과 유럽연합(EU)의 지속적 지원에 따라 생산 용량은 최대 50GWh에 달할 전망이다. CATL과 50 대 50 합작 투자로 설립하는 이 공장을 통해 스텔란티스는 유럽 내 동급 최고 수준의 LFP 공급을 강화할 수 있다. 스텔란티스는 중간 가격대인 B와 C 세그먼트, 즉 소형과 준준형 부문에서 고품질에 내구성과 경제성까지 갖춘 배터리 전기 승용차와 크로스오버와 SUV를 판매할 예정이다 스텔란티스와 CATL은 2023년 11월 유럽에서 생산되는 전기차에 들어갈 LFP 배터리 셀과 모듈의 현지 공급을 위한 구속력 없는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양사는 스텔란티스의 첨단 배터리 전기 자동차(BEV)를 지원하기 위한 과감한 기술 로드맵 수립과 배터리 가치 사슬을 더욱 강화할 수 있는 기회 발굴이라는 두 가지 전략적 측면에서 장기 협력 관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존 엘칸 스텔란티스 회장은 "스텔란티스는 탈탄소 미래를 위해 최선을 다하면서 경쟁력 있는 전기차를 제공하려고 가능한 모든 첨단 배터리 기술을 수용하고 있다"며 "파트너인 CATL과 함께 할 합작 투자는 이미 청정 재생에너지 분야에서 앞서가고 있는 전기차 제조 현장에 혁신적인 배터리 생산을 이끌면서 전방위적으로 지속 가능한 접근 방식을 추진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는 이어 "지속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은 스페인 당국을 비롯해 오늘 발표를 실현시켜준 데 관여한 모든 관계자에게 감사한다"고 덧붙였다. 로빈 쩡 CATL 회장 겸 CEO는 "이번 합작 투자로 스텔란티스와 협력은 새로운 차원으로 발전했다"며 "우리의 첨단 배터리 기술과 뛰어난 운영 노하우와 사라고사 현지에서 수십 년 간 사업을 운영해온 스텔란티스 경험이 어우러져 업계에서 중대한 성공 사례를 만들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그는 "CATL은 전 세계에 탄소 제로 기술을 보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면서 "더욱 혁신적인 협력 모델을 통해 전 세계 파트너와 협력할 수 있기"를 기대했다. CATL은 현재 가동 중인 독일과 헝가리 공장 두 곳을 통해 유럽에 최첨단 배터리 제조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스페인 배터리 공장은 고객의 기후 목표를 지원하기 위한 역량을 강화하여 유럽과 글로벌 시장에서 e-모빌리티와 에너지 전환 노력을 진전하기 위한 CATL 노력을 뒷받침해줄 것으로 기대한다. 스텔란티스는 모든 고객의 니즈에 맞게 리튬이온 니켈 망간 코발트(NMC)와 리튬 인산철(LFP) 배터리를 함께 채택하는 '이중 화학 전략'을 채택하여 추진하며 혁신적인 배터리 셀과 팩 기술을 모색하고 있다. 스텔란티스는 2038년까지 모든 스코프(scope·온실가스 배출 범위)에서 탄소 순배출 제로 기업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잔여 탄소 배출량을 한 자릿수 비율로 보상할 예정이다. 스텔란티스와 CATL의 협약은 2025년 중에 마무리할 것으로 예상하나 관례적인 규제 조건에 따라 시점이 달라질 수 있다.
광명시(시장 박승원)가 청년층의 주거비 부담 경감과 주거 안정을 도모하고자 월세를 지원한다. 광명시는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층의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내년 2월 25일까지 '청년 월세 특별지원 사업' 신청을 받는다고 11일 밝혔다. 이 사업은 고용 불안 상황에 놓인 청년층에게 학업, 취업 준비 등 본연의 삶을 꾸려가는 데 도움이 되도록 2026년 12월까지 한시적으로 추진하는 사업이다. 지원 대상은 부모와 따로 거주하는 19세부터 34세 이하 무주택 청년이다. 월 최대 20만 원씩, 12개월간 최대 240만 원을 지원한다. 소득 및 재산 기준은 청년 본인이 속한 가구가 중위 소득 60% 이하, 재산가액 1억 2천200만 원 이하이면서, 부모를 포함한 원가구가 중위 소득 100% 이하, 재산가액이 4억 7천만 원 이하이다. 다만, 주택 소유자나 전세 거주자, 직계존속·형제·자매 등 2촌 이내 혈족의 주택을 임차한 경우, 공공 임대 주택 거주 등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한다. 대상자는 2025년 2월 25일까지 월세 지원 신청서, 소득 재산 신고서, 임대차 계약 증빙 서류 등의 필요 서류를 갖춰 주소지 관할 행정 복지 센터에 가서 신청하거나 복지로(bokjiro.go.kr)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하면 된다. 박승원 광명 시장은 "청년 월세 특별 지원이 청년의 주거 비용 부담 해소와 주거 안정을 돕고, 도전과 성장의 발판이 되길 바란다"며 "청년의 꿈과 열정이 실현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으로 든든히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광명시는 2022년부터 청년월세 특별지원 사업을 이어왔으며 그간 266명에게 총 5억 900만 원을 지원했다. 광명시는 청년 주거 수준 향상과 실질적인 생활 기반 지원을 통한 청년 복지를 실현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펼칠 방침이다.
평택시(시장 정장선)는 지난 달 28일, 안정 지역 도시 재생 사업이 한국일보 2024 그린하우징 어워드 그린 도시 재생 특별상을 받았다고 밝혔다. 안정 지역 도시 재생 활성화 사업은 2018년 국토부 도시 재생 뉴딜 사업에 선정되어, 팽성읍 안정리 41-476번지 일원에 공동체 활성화, 지역 환경 개선, 골목 경제 활성화 등 세 가지 비전을 목표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해 왔다. 이중 올해 3월 착공한 안정리 마을공방·목공 제작소는 친환경 설계를 통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인 지속 가능한 거점 시설로 조성되고 있다. 또한 노후 주택 지원 사업을 통해 20년 이상 노후 주택 72호를 선정하여 지붕 보수, 외벽 균열 보수, 도색, 단열 시공 등을 지원해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고 안전한 거주 환경을 제공했다. 평택시 관계자는 "안정리 도시 재생 사업이 마을 경쟁력을 높이는 동시에 급변하는 기후 문제에 대처하며 지속 가능한 발전을 추구한 것을 높이 평가 받아 수상했다"며 "평택시는 도시 재생 사업을 계속 성공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홍콩 2024년 12월 11일 / 세계 최고 권위의 교육상을 후원하는 글로벌 자선 재단인 이단상 재단(Yidan Prize Foundation)이 9일, 홍콩에서 '2024 이단상 서밋(Yidan Prize Summit)'을 개최했다. '미래를 대비하는 교육: 회복탄력성의 필수적 역할(Future-proofing education: the essential role of resilience)'을 주제로 열린 올해 서밋은 전 세계 연구자, 정책입안자, 자선가, 교육 리더가 급변하는 세상에서 회복탄력성을 구축하기 위한 혁신적인 수단에 아이디어를 교환하는 강력한 플랫폼 역할을 했다. 이단상 설립자인 찰스 천 이단 박사는 환영사를 통해 회복탄력성이 자신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공유했다. 그는 "문명과 기술이 함께 발전하고 갈등과 협력이 공존하는 오늘 같은 세계에서 회복탄력성은 희망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면서 "희망은 우리가 더 나은 삶을 추구하고, 잠재력을 실현하며, 결코 포기하지 않게 만드는 원동력"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회복탄력성은 교육의 미래에 필수적인 요소"라며 "회복탄력성이 있는 사람이 회복탄력성 있는 경제와 번영하는 사회를 만든다"고 덧붙였다. 알리시아 허버트 영국 외교·영연방개발청(Foreign, Commonwealth and Development Office) 교육, 성평등 및 평등 담당 국장이자 성평등 특별대사는 기조 연설을 통해 불확실한 미래에 대비하기 위해 교육의 회복탄력성을 체계적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저소득층 학생의 학습 성과를 개선하는 효과적인 방법에 대한 양질의 연구와 증거가 늘어나고 있지만 이러한 방법이 정부 시스템에 내재화되고 대규모로 지속 가능하도록 만드는 데 우선 순위를 둬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효과적인 투자가 중요하지만, 돈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며 "개인과 교육자, 광범위한 시스템이 지속적이고 확실한 혁신적 변화를 이루는 데 필요한 회복탄력성을 구축하려면 협력이 핵심"이라고 덧붙였다. 게스트 공유 세션에서는 우한이공 대학교 총장인 양종카이 교수가 인공지능(AI) 기반 학습을 소개했다. 그는 AI가 교육자의 공동 교육, 데이터 분석, 문제 해결을 지원하고, 학생은 AI로 인한 향상된 기술 개발을 통해 미래에 대비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서밋에서는 또 올해의 이단상 수상자인 볼프강 러츠 교수와 워차일드연합(War Child Alliance)의 마크 조단스와 마르와 자르, 루크 스타나드 교수가 노변 대담도 했다. 볼프강 교수는 자신의 인구통계학적 연구를 바탕으로 기후 회복탄력성 강화에 교육의 긍정적 역할을 소개했다. 그는 기후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견고한 인프라도 필요하지만 기후 적응력을 개발하기 위한 인적 자본에 투자해야 한다고 말했다. 워차일드연합 팀은 연합이 시행하고 있는 '캔트 웨이트 투 런(Can't Wait to Learn)' 디지털 학습이 분쟁과 기후 충격으로 혼란에 빠진 학습자에게 양질의 교육 기회를 확대해줄 뿐 아니라 그들의 복지와 회복력을 향상하여 미래의 정상화와 미래에 대한 희망을 선사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교육 기술 프로그램의 중요한 성공 조건으로 교사 역량 강화와 어린이와 파트너, 교육부와 협력을 통한 학습 콘텐츠의 맥락화를 꼽았다. 이단상 재단의 루시 레이크 글로벌 참여 담당 이사는 서밋을 마무리하며 교육과 회복탄력성의 관계의 본질을 설명했다. 그는 "교육은 개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회복탄력성을 키우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지만 교육 자체가 회복탄력적이 되도록 만들어야 한다"며 "이를 위해 우리 모두 각자 역할을 맡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는 교육이 공익적 활동임을 인식하고 교육에 대한 집단적 책임을 지는 것을 의미하며, 교육이 회복탄력성을 가지려면 공공 자금을 통해 적절하게 자금을 조달하고 교육 결과에 집단적으로 책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12월 8일 열린 2024 이단상 시상식에서는 다양한 상황에서 공평한 양질의 교육을 위해 노력한 2024 이단상 수상자를 축하했다. 이들은 이단상 재단의 글로벌 교육 체인지메이커 커뮤니티에 합류하게 된다. 이단상 재단은 교육을 통해 더 나은 세상을 만든다는 사명을 표방하는 글로벌 자선 재단이다. 이단상과 혁신가 네트워크를 통해 교육 분야의 아이디어와 실천, 특히 인류의 삶과 사회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힘을 가진 아이디어와 실천을 지원한다. 이단상은 교육 이론과 실천에 크게 기여한 개인이나 팀에게 수여하는 세계 최고 권위의 교육상이다. 이단상은 서로 조화를 이루는 이단 교육 연구상(Yidan Prize for Education Research and)과 이단 교육 개발상(Yidan Prize for Education Development)으로 이루어진다. 수상자에게는 연구 성과를 확대할 수 있도록 3년 동안 쓸 수 있는 1500만 홍콩달러의 무제한 프로젝트 기금이 지원된다. 수상자는 이 외에도 금메달과 1500만 홍콩달러의 상금도 받게 된다. 프로젝트 기금과 상금은 팀에게 균등하게 분배한다.
휴스턴 2024년 12월 11일 / 게이트 에너지(GATE Energy)는 쉘 오프쇼어(Shell Offshore, Inc.)에서 스파르타(Sparta) 반잠수식 프로젝트의 시운전 관리와 실행 계약을 수주했다. 소유자의 엔지니어링, 건설 관리, 턴키 시운전과 초기 스타트업을 아우르는 역량을 갖춘 게이트 에너지는 구상에서부터 시운전에 이르기까지 프로젝트 성공을 보장하기 위해 전체 프로젝트 생애 주기 지원을 제공한다. 게이트 에너지의 시운전 부문 사장인 마크 마이어(Mark Myhre)는 "스파르타 프로젝트를 통해 쉘과의 오랜 파트너십을 연장하게 되어 영광"이라며 "지난 몇 년 동안 게이트는 글로벌 역량을 활용하여 비토(Vito), 웨일(Whale) 등 이 모델을 기반으로 한 여러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했다"고 밝혔다. 이어서 그는 "스파르타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게 되어 기쁘다"며 "순수 전기 상부 압축 기술은 해상 운영의 지속 가능성을 위한 중요한 진전을 의미하며, 우리는 성공적으로 시운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게이트 에너지 CEO 리 조던(Lee Jordan)은 "미국과 싱가포르에 있는 우리 팀은 쉘과 다시 한 번 협력하여 업계 최고의 멕시코만 저탄소 심해 생산 원유를 전 세계 에너지 시장에 성공적으로 공급할 수 있기"를 기대했다. 스파르타의 설계는 하루 10만 배럴의 비토와 웨일 설계를 거의 복제한다. 게이트 에너지는 비토와 웨일 시운전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스파르타 시운전을 통해 쉘과의 긴밀한 관계가 지속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 프로젝트는 쉘의 복제 가능한 프로젝트 중 최초로 자체 운영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순수 전기 상부 압축 장비를 적용한 프로젝트가 될 것이다. 100% 종업원 소유의 ESOP인 게이트 에너지는 에너지 분야에 예측 가능한 프로젝트 실행 서비스를 제공한다. 파라메트릭 예측 모델을 사용하고, 프로젝트를 엄격하게 관리하며, 프로젝트 설계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운영 문제를 적극 해소하여 비용 초과와 일정 지연 없이 에너지 시설과 자산을 안전하게 설계, 구축, 시운전하고 가동한다.
아부다비, 아랍에미리트 2024년 12월 11일 / ADGM이 주최하는 주요 행사인 아부다비 금융 주간(Abu Dhabi Finance Week, ADFW)이 2024 에셋 아부다비(Asset Abu Dhabi) 행사와 함께 이튿날을 맞았다. ADCB, 무바달라(Mubadala), PGIM 글로벌 자산 관리(Global Asset Management) 주제 파트너와 조직한 이 포럼은 차세대 기술 투자, 사모 펀드, 신용 투자 기회, 미래의 도시 투자와 같은 주제를 논의했다. 에셋 아부다비는 총합 42.5조 달러 이상의 자산을 관리하는 자산 배분자, 자산 관리자, 투자 은행가, 벤처 캐피탈리스트, 사모펀드, 패밀리 오피스, 기타 기관 투자자를 모아 세계에서 가장 큰 헤지펀드에 대한 관점을 제공하고 식견을 나눴다. 브리지워터 어소시에이츠(Bridgewater Associates)의 창립자 겸 CIO인 레이 달리오(Ray Dalio)는 변화하는 세계 질서의 원칙(Principles of a Changing World Order)에 통찰력 있는 세션을 이끌며 분위기를 주도했다. 그의 기조 연설에서 가장 격동했던 경제적, 정치적 시기를 다루며 왜 미래가 최근 역사와는 다를 가능성이 높은지 설명했다. 2023년 자산 관리 산업의 AUM 규모가 거의 120조에 달하고 다수의 조 단위 자산 관리자가 전체 산업 자산의 약 61%를 보유한 가운데, 조 단위 자산 관리자의 시장 전망(The Market View of Trillion Dollar Asset Managers) 세션에서는 UBS 자산 관리(Asset Management)의 사장 알렉산더 이바노비치(Aleksander Ivanovic), PGIM의 사장 겸 CEO 데이비드 헌트(David Hunt), Nuveen의 CEO 빌 허프만(Bill Huffman) 등 자산 관리 전문가가 참여하여 최고 수준의 시각에서 시장 통찰을 제공했다. 재무 투자 분야에서 저명한 인물인 비스타 에쿼티 파트너스(Vista Equity Partners)의 창립자이자 회장 겸 CEO인 로버트 스미스(Robert Smith)와 브레반 하워드(Brevan Howard)의 CEO 아론 랜디(Aron Landy) 또한 주목할 만한 기조 연설을 했다. 다룬 주제로는 팰컨 경제에 대한 최신 정보, 세계적 기회를 포착하고 성장시키는 방법, 부동산의 큰 그림, 아부다비의 주요 국부펀드에 대한 간략한 가이드가 있다. ADGM의 회장 겸 아부다비 경제 개발 부서(ADDED) 의장인 아흐메드 자심 알 자아비(Ahmed Jasim Al Zaabi)는 이 행사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자산 관리 분야의 가장 큰 이름을 한자리에 모은 에셋 아부다비는 이 역동적인 산업의 미래를 형성하고 통찰을 공유할 수 있는 비할 데 없는 플랫폼"이라며 "이 플랫폼을 통해 우리는 차세대 기술과 투자 기회의 새로운 영역을 분명히 보여주고 진화하는 세계 질서 속에서 향후 10년 간 투자를 변화시킬 지역적, 세계적 경제 전망에 대한 중요한 관점을 제공한다"라고 말했다. 그는 또한 "에셋 아부다비는 ADGM의 팰컨 경제 성장 촉진에 대한 변함없는 노력을 강조한다"라고 덧붙였다. ADFW에서 지금까지 양해각서 4건이 체결되었다. 오늘 ADGM이 체결한 주요 양해각서에는 이스탄불 금융센터(Istanbul Financial Centre), 베이징 금융거리 서비스국(Beijing Financial Street Services Bureau), 폴리곤(Polygon) 등이 포함되었다. 써클(Circle)과 룰루 파이낸셜 홀딩스(Lulu Financial Holdings) 간 협약 체결도 이번 행사의 주요 하이라이트였다. 아부다비 투자청(ADIO)은 PGIM, EXIM 은행, 마스터카드와 같은 주요 기관과 MoU를 체결했다. 에셋 아부다비와 동시에 ADFW는 아랍에미리트와 중국 간 40년 관계를 기념하며 HSBC와 협력하여 아랍에미리트-중국 투자 포럼의 첫 번째 특별판을 개최했다. 이 행사에서는 상호 무역과 번영을 위한 기회를 탐구하며 힐하우스 인베스트먼트(Hillhouse Investment)의 파트너 Carl Ge, Nasser Saidi & Associates의 회장 Dr. Nasser Saidi, 트리아타(Triata)의 CIO 션 호(Sean Ho), Raffles Family Office의 창립자 겸 CEO인 Chi-Man Kwan, WInd Information의 그룹 부사장 겸 최고 전략 책임자 Casey Ge와 같은 인물이 참석했다. ADFW는 둘째 날 RESOLVE, UBS 투자 포럼, 국제 패밀리 오피스 회의, 턴어라운드 구조조정 및 부실(Turnaround Restructuring & Insolvency, T.R.I.) 서밋, 스피어스 서밋(Spears Summit) - 프라이빗 웰스 포럼(Private Wealth Forum), 재능의 미래 포럼(Future of Talent Forum) 등 여러 특별한 행사를 주최했다. ADFW의 이벤트 시리즈는 이틀 간 계속되며, 핀테크 아부다비(Fintech Abu Dhabi), 아부다비 지속 가능한 금융 포럼(Abu Dhabi Sustainable Finance Forum)과 같은 주요 행사를 통해 업계 최고 인사를 국제 무대에 모을 예정이다.
청두, 중국 2024년 12월 11일 / 중국 남서부 쓰촨성의 성도(省都)인 청두는 기술 성과의 상업화를 촉진하고 산업, 학계, 연구, 응용의 통합을 지원하기 위해 기술 이전 서비스 플랫폼 구축을 가속화하고 있다. 이는 실험실에서 생산 라인까지 전 과정을 연결하며 기술 성과의 수집, 전시, 매치메이킹, 로드쇼, 상업화를 목표로 한다. 최근 발표된 과학 기술 성과 매치메이킹과 상업화 활동 계획에 따르면, 청두시는 기업의 제품 혁신을 돕고 매치메이킹 자본 시장에서 기업가 프로젝트를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홍보 활동을 할 예정이다. 최근 청두 과학기술국이 개최한 주요 기술 성과 매치메이킹 행사에서 시-구-현은 대학, 연구 기관, 기업과 17개의 주요 프로젝트 협력 협약을 체결했다. 6개 대학에서 400개 이상의 기술 성과를 발표했다. 미게 랩(Mige Lab)의 얀 팡량(Yan Fangliang) 최고경영자(CEO)는 청두가 기술 성과와 기기 공유 상업화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미게 랩은 청두 과학기술 혁신 생태섬(Chengdu Sci-Tech Innovation Eco-Island)에 공동연구실 설립을 준비하고 있으며, 2025년 6월 또는 7월에 운영을 시작해 연간 약 100개 기업에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독일에 본사를 둔 기술이전 업체인 스타인바이스(Steinbeis)의 마주안(Ma Juan) 중국 본사 책임자는 스타인바이스가 청두에 기술 이전 센터를 설립할 계획이며 이번 행사에 참가하는 목적은 청두의 산업 기반과 기술 혁신을 조사하기 위해서라고 밝혔다. 많은 청두 기업은 매치메이킹을 위해 정기적으로 대학을 방문하는 일이 기본 활동이 되었다. 지난 3년 동안 청두는 500회 이상의 매치메이킹 활동을 조직했고 이를 통해 8000개 이상의 청두 기업이 80개 이상의 대학과 연구 기관을 방문했다. 이 행사는 5000건의 기술 성과를 발굴하고 1300건 이상의 협력 계약을 추진하여 청두 기업과 대학, 연구 기관 간 성과를 혁신했다. 청두 과학기술국에 따르면 이러한 활동은 다양한 기관에서 긍정적 반응을 얻었으며 2025년 6월까지 이러한 활동은 일정이 잡혔다고 설명했다. 한 관계자는 "두 달에 한 번씩 주요 행사를 진행하고 매주 정기적인 활동을 진행할 계획"이라며 "이번 활동을 통해 국내외 자원을 한데 모아 글로벌 영향력을 가진 기술 거래 시장을 창출할 것"이라고 공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