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창군은 2024년 고향사랑기금으로 '학생의 희망을 꽃 피우는 미래 인재 양성 프로그램'과 '거창한 우리 동네 공부방' 2개 사업에 수요자 맞춤형으로 1억 5,000만 원을 지원했다. 거창군은 2023년 고향사랑기부금 모금액 4억 6,700만 원 중 1억 5,000만 원을 기금 사업으로 편성해, 3개 고등학교 특성화 프로그램과 소규모 환경 개선 사업에 1억 원을, 16개 지역아동센터에 교재·교구 등의 구입비로 5,000만 원을 지원했다. '학생의 희망을 꽃 피우는 미래 양성 인재 프로그램'은 관내 8개 고등학교 중에서 타 지역 학생이 많은 대성고, 연극고, 승강기고의 '걸어서 거창 속으로', '지역민 초청 연극 공연', '맞춤형 진로지도 프로그램' 등에 고향사랑기금을 지원해 거창을 알고 애정을 심어주는 계기를 만들었다. 특히, 지역 명소를 찾는 '걸어서 거창 속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은 수승대, 항노화힐링랜드, 거창사건 사업소 등을 방문해 거창의 역사와 정취를 느끼고 감상하는 좋은 기회가 됐다고 소감을 밝혔다. 또한, 지역아동센터 학습 공간 조성을 위한 비품 구입비를 지원해 보다 향상된 교육 프로그램과 환경을 제공하여 학생과 학부모의 만족도를 높였다. 군은 지난 9월 전국거창향우연합회 한마음 체육 대회에 고향사랑기부제 홍보 부스를 설치해 기금 사업을 알리고 수혜자가 직접 작성한 소감문과 편지글 형식의 감사장을 전시해 기부자의 따뜻한 마음에 감사를 표했다. 이남열 전략담당관은 "거창군 고향사랑기부제에 동참해 주신 모든 분께 감사드린다"라며 "소중한 기부금을 지역 주민과 기부자가 공감하는 기금 사업에 사용하겠다"라고 말했다. 거창군은 2025년에도 청소년과 청년, 어르신까지 아우르는 3개의 일반 기금 사업과 2개의 지정 기금 사업을 고향사랑기금 운용 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거창군 의회 승인을 앞두고 있다.
두바이, 아랍에미리트 2024년 12월 15일 / 화웨이 컨슈머 비즈니스 그룹(Huawei Consumer Business Group, CBG)이 12일, 두바이에서 열린 화웨이 플래그십 런칭 행사에서 화웨이 사운드(HUAWEI SOUND) 브랜드의 첫 번째 TWS 이어버드인 HUAWEI FreeBuds Pro 4를 공개했다. 클래식한 디자인과 오디오 혁신을 향한 화웨이 헌신에서 영감을 얻은 HUAWEI FreeBuds Pro 4는 '캐치 더 사운드(Catch the Sound)'를 목표로 무손실, 순수, 몰입형 청취 경험을 제공한다. 이 이어버드는 듀얼 드라이버 트루 사운드(Dual-driver True Sound)와 독점 알고리즘을 포함한 강력한 하드웨어를 탑재하여 주변 소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며 안정적이고 선명한 통화를 보장한다. HUAWEI FreeBuds Pro 4는 디지털 크로스오버 기술과 함께 작동하는 듀얼 드라이버 트루 사운드를 통합하여 풍부하고 진정한 사운드 경험을 선사한다. 듀얼 인디펜던트 사운드 출력 시스템(Dual Independent Sound Output System)은 오디오 신호를 각 드라이버에 정밀하게 할당하며, 11mm 쿼드 마그넷 다이내믹 드라이버 유닛(Quad-Magnet Dynamic Driver Unit)은 안정적이고 정확한 실시간 오디오 재생을 보장한다. 폴라 코드(Polar Code) 기술과 화웨이 독점 L2HC 4.0 코덱을 적용해 2.3Mbps 무손실[2] TWS 오디오 전송을 실현하고 48kHz/24비트 고해상도 오디오를 지원한다. 사용자는 클래식(Classic)과 밸런스드(Balanced)를 포함하여 전문적으로 튜닝된 EQ 모드 중에서 선택해 라이브 음악의 본질을 정확하게 재현할 수 있다. 화웨이의 AI 노이즈 캔슬링 알고리즘이 탑재되어 최대 100dB의 외부 통화 소음을 제거한다. 다중 채널 심층 신경망(DNN) 알고리즘과 결합된 쿼드 마이크 시스템은 사람의 음성과 주변 소리를 정확하게 구분한다. 콘서트, 스포츠 경기, 카페 등 어디서든 사용자 목소리를 지능적으로 분리한다. 헤드 모션 컨트롤(Head Motion Control)을 통해 고개를 끄덕이거나 머리를 흔들어 전화를 받고 거부할 수 있다. 형상 기억 폼(Shape Memory Foam) 이어팁을 적용하여 이전 세대에 비해 소음을 30% 줄였다. 인텔리전트 다이내믹 ANC(Intelligent Dynamic ANC)는 실시간 환경을 기반으로 맞춤형 노이즈 캔슬링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몰입감 넘치는 청취 환경을 제공한다. 스펨트럼 실버 스트링(Spectrum Silver Strings) 디자인을 채택해 블랙, 화이트, 산뜻한 그린 색상으로 제공한다. 각 이어버드는 세심한 6중 보호 래커 코팅을 적용했고, 표면에 플래그십 품질을 상징하는 황금색 HUAWEI SOUND 엠블럼을 새겼다.
리야드, 사우디아라비아 2024년 12월 13일 / 제19회 유엔 (UN) 인터넷 거버넌스 포럼 (IGF)이 다음 주에 열린다. 2024년 12월 15일부터 19일까지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소재 킹 압둘아지즈 국제 컨퍼런스 센터에서 열리는 이번 행사는 전 세계 이해 관계자가 한자리에 모여 혁신과 거버넌스 등 인터넷 미래 구축을 위한 주요 이슈를 논의하는 플랫폼이다. IGF 리야드 2024에는 175여개국 1만여 명 이상이 참석할 것으로 보며, 1,000명 이상의 해외 연사가 특별 세션, 워크숍, 패널 토론 등을 이끈다. 메타(페이스북), 세계은행, 국제전기통신연합 (ITU), 레노버, 위프로, 디지털네이션(Digital Nation), 국제 인터넷 주소 관리 기구(ICANN) 등 주요 글로벌 대표가 참석할 예정이다. 압둘라 알스와하(H.E. Eng. Abdullah Alswaha) 사우디 통신정보기술부 장관은 행사의 중요성을 설명하며 "IGF 리야드 2024는 AI 시대에 정부와 시민 사회, 비영리 부문, 기업가, 혁신가 간의 국제 디지털 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글로벌 플랫폼을 제공한다"며 "전 세계 인류의 경제 성장과 번영을 촉진할 참신한 아이디어를 육성할 수 있는 유일무이한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이해 관계자에게 포럼 참석을 위해 리야드 방문을 독려하며, 해당 행사가 "인류를 돕기 위한 혁신적인 인터넷 거버넌스를 형성하고 지속가능하면서도 번영이 있는 디지털 미래를 지원할 수 있는 기회"임을 강조했다. '멀티 스테이크홀더(multistakeholder) 디지털 미래 구축'이라는 주제로 열리는 IGF 리야드 2024 포럼은 국제 사회가 인터넷 미래에 다양한 이해 관계자 간의 열린 토론에 참여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토론은 글로벌 디지털 논의에 중심이 되는 4가지 주요 주제에 초점이 맞춰질 예정이다. 첫 번째 주제인 "디지털 공간에서 혁신 포용과 리스크 조정"은 성공, 모범 사례에 대한 대화와 지식 교환을 촉진하고, 모두를 위한 디지털 혁신의 혜택을 극대화하는 방안을 강조하는 동시에 급격한 변화에서 기인한 위험 해결을 목표로 한다 두 번째 주제 "평화와 발전, 지속가능성에 대한 디지털 기여 강화"은 디지털화 현상이 현재와 미래 세대 모두를 위한 사회경제적 변화, 발전을 촉진하는 다각적인 방법을 탐색하고자 한다. 세 번째 주제인 "디지털 시대의 인권과 포용성 증진"에서는 디지털 영역에서 인권 보호를 보장하면서 보편적인 의미있는 연결을 가능토록 하는 혁신적인 솔루션, 체계, 추진 계획 등을 깊게 살펴본다. 마지막 주제 "우리가 원하는 인터넷을 위한 디지털 거버넌스 개선"에서는 '우리가 바라는 인터넷'이라는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개방적이고 투명하며 포용적인 상향식 거버넌스 과정을 강화하고 지원할 방법을 탐색할 예정이다. IGF 리야드 2024는 사우디아라비아 통신정보기술부 (MCIT), 통신우주기술위원회 (CST), 왕립과학기술원 (KACST), 디지털 당국 (DGA) 주최로 개최된다. 인터넷 거버넌스 포럼(IGF)은 UN 산하의 국제 기구로, 매년 회원국이 주체하는 행사다. 정부 기관, 국제 기구, 민간 부문, 시민 사회를 포함한 다양한 이해 관계자가 한 자리에 모여 인터넷 거버넌스와 관련한 정책을 논의하는 자리다. 디지털 정부청(DGA)은 2021년 3월 9일, 내각 결정을 통해 설립된 사우디아라비아 정부 기관이다. DGA는 사우디아라비아의 디지털 정부와 관련된 모든 사안을 담당한다. 정부 기관의 디지털 인프라를 개발, 조직하며, 웹사이트와 전자 포털의 효율성을 개선하고, 디지털 정부 운영을 규제하고 있다. 이는 사우디아라비아 비전 2030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노력이다.
포산, 중국 2024년 12월 13일 / 피터 관 메이디 그룹(Midea Group) 부회장 겸 메이디 빌딩 테크놀로지스(Midea Building Technologies·MBT) 사장이 최근 일본의 대표적 냉난방공조(HVAC) 산업 전문지인 'JARN'지와 단독 인터뷰를 하면서 진화하는 글로벌 히트펌프 시장에 통찰력 있는 시각을 공유했다. 관 사장은 유럽의 '공기-물(ATW)' 히트펌프 시장의 성장에 낙관적 전망을 제시하며 북미와 호주에서 유망한 기회가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글로벌 기술 매거진인 'MIT 테크놀로지 리뷰'가 '2024년 10대 혁신 기술'로 선정한 히트펌프 기술은 화석 연료에 대한 전 세계 의존도를 줄이고 탄소 중립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관 사장은 기술 발전, 지원 정책, 소비자 인식 제고에 힘입어 향후 2년 동안 히트펌프 시장이 강력한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메이디 그룹의 핵심 HVAC 부문인 MBT는 특히 유럽에서 전 세계적으로 히트펌프 보급 속도를 높이는 데 앞장서 왔다. 이 회사는 수년 동안 이 지역에서 ATW 히트 펌프 시장 점유율을 적극적으로 확대해 왔다. 유럽연합(EU)은 히트펌프 보급을 촉진하기 위한 강력한 정책을 도입하고 있다. 탄소중립산업법(Net Zero Industry Act)과 같은 이니셔티브는 히트펌프 도입을 촉진하기 위해 승인 절차를 간소화하고, 재정을 지원하고, 인력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독일, 프랑스, 폴란드를 포함한 주요 시장은 보조금 프레임워크를 강화했는데, 관 사장은 이런 움직임이 시장 회복과 성장을 촉진할 것이라고 믿는다. 유럽 히트펌프 협회(European Heat Pump Association)에서 운영하는 히트펌프 액셀러레이터 프로그램(Heat Pump Accelerator Programme)은 2029년까지 1000만 개 가까운 히트펌프 보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 중 ATW 히트펌프가 500만 개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업용 히트펌프 시장은 연평균 12% 성장하면서 2028년까지 시장 규모가 11억 5000만 유로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MBT는 유럽의 성장 잠재력을 활용하기 위해 현지화된 운영을 강화할 목적으로 일련의 전략적 조치를 시행했다. 우선 유럽 내 연구개발(R&D) 센터를 설립해 현지 요구에 맞는 제품을 개발하는 데 주력하고 있으며, 변화하는 시장 수요에 확실히 적응하고 있다. 유통업체와 협업해 온라인과 오프라인 마케팅 캠페인을 강화하고, 주거와 상업용 히트펌프가 가진 장점에 대한 소비자 인식 제고에 힘썼다. 그러면서 지난 2년 동안 700개 이상의 히트펌프 샵인샵(shop-in-hop) 디스플레이를 업그레이드했다. MBT의 시장 영향력은 업계 행사에 참가로 더욱 강화됐다. MBT는 올해 10월 독일 뉘른베르크에서 열린 냉동 공도전인 칠벤타(Chillventa)에서 프랑스의 트레이스 소프트웨어(Trace Software)와 파트너십을 맺고 태양광 시스템, 가정용 축전지, 히트펌프를 통합하는 아이이지에너지(iEasyEnergy)와 에너지 관리 시스템용 소프트웨어 도구인 슈퍼 어드바이저(Super Advisor)를 선보였다. 이 소프트웨어는 가정용 에너지 관리 솔루션의 정확성과 비용 효율성을 크게 향상할 전망이다. MBT는 또한 인력 개발에 우선 순위를 두고, 이탈리아, 독일, 헝가리, 폴란드 등 유럽 국가에 32개의 교육 센터를 운영하여 적격한 히트펌프 설치 전문가를 양성하고 있다. MBT는 2016년 이탈리아 에어컨 회사 클리베(Clivet) 인수를 포함한 인수합병을 통해 산업망을 한층 강화하는 한편, 최근 미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새로운 생산, R&D 시설에 6000만 유로를 넘게 투자했다. MBT는 유럽을 넘어 북미와 호주로도 활동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nternational Energy Agency)에 따르면 북미 히트펌프 시장은 2030년까지 50% 이상 성장하고, 미국 시장은 2023년까지 출하량이 25%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호주에서는 국가 기후 변화 적응 프레임워크와 같은 정부 이니셔티브에 힘입어 2030년까지 히트펌프 사용이 40% 증가할 전망이다. MBT는 이러한 시장의 니즈에 맞춰 지역 수요를 충족하는 고성능 히트펌프와 온수기를 출시했다. MBT는 기술, 서비스 차별화, AS 지원을 강화허요 전 세계적으로 경쟁력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MBT는 자사 제품의 우위를 유지하기 위해 연간 매출액의 5%를 R&D에 투자하고 있다. 이 회사는 전 세계적으로 6개 R&D 센터와 93개 교육 센터를 운영하여 시장 대처와 서비스 유지 능력이 뛰어나다. 관 사장은 "글로벌 히트펌프 산업은 기술 발전과 우호적인 정책에 힘입어 급성장하고 있다"면서 "소비자가 지속 가능성을 점점 더 중요하게 여기면서 이 산업에선 상당한 기회의 문이 열리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유럽과 그 외 지역에서 우리는 이 중요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성장을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데 전략적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덧붙였다.
뭄바이, 인도 2024년 12월 14일 / 세계적인 통신 기술 기업 타타 커뮤니케이션즈(Tata Communications)는 14일, 고객 상호 작용을 재정의하게 될 미래지향형 인공 지능 기반 플래그십 포트폴리오인 칼레이라 AI(Kaleyra AI를 발표했다. 게임 체인저 격인 이 포트폴리오는 전통적인 커뮤니케이션 도구를 넘어서는 세 가지 특별한 기능을 제공한다. 커뮤니케이션 채널, 라이브 에이전트 인터페이스와 쉽게 통합되도록 설계된 이 제품군은 생성형 AI(GenAI)를 활용하여 간소화, 개인화되었으며 매력적인 고객 상호 작용을 통해 경쟁 우위를 제공한다. 우선적으로 제공하는 기능에는 첫째, 왓츠앱 용 생성형 AI 템플릿 생성기가 있다. 이 생성기를 통해 왓츠앱 용으로 개인화된 템플릿과 메시지 변형을 만들 수 있다. 로드맵에는 SMS, 리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RCS)와 같은 기타의 커뮤니케이션 채널에도 유사한 기능을 확장하는 것을 포함한다. 기업은 오디언스의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메시지를 만들고 각 채널의 강점을 활용하여 마케팅 업무를 자동화하고 응답률을 높이는 동시에 고객과 일관된 브랜드 목소리와 연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 둘째, 대화형 AI 데이터 보고 기능이다. 이를 통해 복잡한 데이터 쿼리를 흥미롭고 이해하기 쉬운 시각화로 완성된 통찰력 있는 보고서로 변환할 수 있다. 고객의 자연어 데이터 쿼리를 처리하여 몇 초 만에 AI 기반의 맞춤형 분석을 제공하고 기업은 사업 분석팀에 지나치게 의존하지 않고도 데이터에 기반한 결정을 신속하게 내리고 핵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셋째, 대화형 AI 노코드 빌더 기능이다. 이는 기본적인 상호 작용을 넘어 기업 사용자가 프로그래밍 지식 없이도 텍스트와 풍부한 미디어 형식으로 자연스러운 대화형 응답을 고객, 직원 모두에게 제공하는 '상호 작용 어시스턴트'를 만들어 복잡한 데이터 분석 작업을 간소화하고 의사 결정을 가속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 플랫폼은 기업 고객 지원, 마케팅 팀이 지능적이고 몰입감 있는 참여를 통해 긍정적 관계를 구축하여 전반적인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원한다. 타타 커뮤니케이션즈 고객 상호 작용 제품 책임자 마우로 카로베네 (Mauro Carobene)는 "칼레이라 AI는 강력한 도약을 의미하며 기업이 비즈니스 성장을 가속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고객과 상호작용이 필요할 때 이 포트폴리오가 참여와 상호 작용 비율을 크게 개선할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그는 이어서 "초기 제한된 환경에서 실시한 데모에서, 쿼리 량이 최고조에 달했을 때 평균 응답 시간과 문제 해결 시간이 크게 단축되는 것을 관찰했다"며 "최고책임자급의 의사 결정권자에게는 우리의 생성형 AI 기반의 보고와 정보가 간단한 자연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업 성과에 대한 가시성을 높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칼레이라 AI는 내년 초 일부 타타 커뮤니케이션즈 고객에게 베타 버전으로 제공된다. 일반 제공 버전은 타타 커뮤니케이션즈의 AI 클라우드에서 2025년 상반기에 출시된다. 타타 그룹 계열사인 타타 커뮤니케이션즈(NSE: TATACOMM)는190개 이상의 국가와 지역에서 빠르게 성장하는 디지털 경제를 구동하는 글로벌 디지털 생태계 조성자이다. 협업과 연결 솔루션, 핵심과 차세대 연결, 클라우드 호스팅과 보안 솔루션, 미디어 서비스를 통해 전 세계 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가능하게 한다. 포춘지 선정 500대 기업 중 300개가 고객이며, 전세계 클라우드 대기업의 80%와 기업을 연결한다.
예루살렘과 뉴욕, 2024년 12월 14일 / AI에 기반한 크리에이티브 기술의 글로벌 리더 라이트릭스(Lightricks)는 오늘 셔터스탁와 협력하여 셔터스탁의 방대한 비디오 자산 라이브러리를 사용한다고 발표했다. 라이트릭스는 이번 협력을 통해 고품질 HD, 4K 비디오 자산을 사용하여 오픈 소스 비디오 생성 모델인 LTX 비디오(LTXV)를 학습할 수 있다. 라이트릭스는 오픈 소스 모델 학습의 진입 장벽을 낮추는 독특한 옵션인 셔터스탁의 업계 최초 '연구 라이선스'를 학습하는 글로벌 파트너이다. 연구 라이선스 모델 활용은 창의적인 도구에 접근을 쉽게한다는 라이트릭스의 비전을 반영하는 동시에 고품질의 생성형 AI 결과를 통해 크리에이터가 자신의 콘텐츠를 처음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보장한다. 스타트업과 AI 기업은 연구 라이선스를 먼저 이용하여 프리미엄 라이선스 데이터를 기반으로 AI 도구를 구축하고 개선한 다음에 완전한 상용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이 방식은 연구 개발 단계에서 고품질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비용 효율적인 경로를 제공하여 신생 또는 기존 기업 다수가 이 AI 모델을 학습할 때 직면할 수 있는 핵심 문제를 해결한다. 라이트릭스 공동 설립자이자 CEO 지브 파브만(Zeev Farbman)는 "셔터스탁과의 이 장기 파트너십은 주요 방송사와 핵심 콘텐츠 제공업체의 계약을 포함하여 지난 1년 동안 우리가 진행한 라이선스 활동을 기반으로 한 전략적 성과"라며 "본질적으로 우리는 강력하고 이용 가능한 창작 도구를 개발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 이번 협업은 다양한 프리미엄 비디오 데이터를 통해 AI 모델을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고할 뿐 아니라 성장하는 전문 크리에이터와 기업으로 구성한 우리 커뮤니티를 위한 생성형 비디오 도구의 품질과 관련성을 높인다"고 밝혔다. 이번 파트너십은 창작 도구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 동시에 고품질의 생성형 AI 결과를 이끌어낸다는 라이트릭스의 AI 미션을 지속한다. 라이트릭스는 셔터스탁이 라이선스한 비디오 데이터를 적용하여 그 학습 모델을 강화하여 그 모델이 영화 제작자와 방송사의 창의성을 존중하는 강력하고 업계가 인정하는 데이터셋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음을 보장한다. 이번 발표는 라이트릭스가 2024년 11월 오픈 소스 커뮤니티에 LTXV 0.9를 출시한 데 이은 것이다. 라이트릭스의 목표는 셔터스탁의 프리미엄 HD와 4K 비디오 데이터를 활용하여 동사의 다음 모델 업데이트에서 품질을 최우선으로 사용자 결과를 향상하고 오픈 소스 이니셔티브를 추진하는 일이다. 셔터스탁의 데이터 라이선싱 및 AI 담당 전 세계 책임자 다니엘 만델(Daniel Mandell)은 "우리의 혁신적인 연구 라이선스 모델을 통해 파트너가 처음부터 신뢰할 수 있는 라이선스 데이터를 사용하여 그들의 AI 모델을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며 "그들의 최첨단 비디오 툴에 대해 라이트릭스와 협력하고 장기적으로 성공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 자산 제공에 전념할 수 있게 되어 기쁘다"고 말했다. 이미지, 비디오, 음악, 3D 모델, 템플릿 등 10억 개 이상의 로열티 없는 자산으로 구성된 셔터스탁의 방대한 라이브러리는 멀티모달 모델 학습에 사용할 수 있는 가장 크고 가장 다양한 전 세계의 미디어 데이터셋 중 하나를 제공한다. 라이트릭스는 크리에이터와 기업에 힘을 실어주는 AI 기반 창작 도구 개발 분야의 글로벌 리더이다. 라이트릭스는 페이스튠(Facetune), 비디오립(Videoleap) 그리고 최근 출시된 LTX 스튜디오(LTX Studio)와 같은 혁신적인 제품들을 통해 크리에이티브 지형을 혁신하고 있다. 셔터스탁(NYSE: SSTK)은 혁신적인 브랜드, 디지털 미디어, 마케팅 회사를 위한 최고 파트너로서, 전 세계가 자신감을 가지고 창조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셔터스탁은 전세계 수백만 명의 크리에이터와 제품 혁신에 대한 두려움 없는 방식에 힘입어 고품질의 3D 모델, 비디오, 음악, 사진, 벡터 일러스트레이션의 가장 광범위하고 다양한 컬렉션에서 라이센스를 제공하는 전세계 플랫폼이다. 셔터스탁은 전세계 최대의 콘텐츠 마켓플레이스에서 브레이킹 뉴스와 A급 엔터테인먼트 편집 액세스, 올인원 콘텐츠 편집 플랫폼, 스튜디오 제작 서비스, 최신 혁신 기술 사용에 이르기까지 스토리텔링에 생기를 불어넣을 수 있는 종합적으로 선별한 리소스를 공급한다.
두바이, 아랍에미리트 2024년 12월 14일 / 화웨이(Huawei)가 디스플레이, 카메라, 내구성, 사용자 경험을 업그레이드한 다기능 첨단 스마트폰인 최신 Mate 시리즈 폴더블 HUAWEI Mate X6를 공개했다. 이 신제품을 통해 HUAWEI Mate X6는 폴더블 혁신을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 올리며 업계의 새로운 기준을 세웠다. 리처드 유(Richard Yu) 화웨이 컨슈머 비즈니스 그룹 회장은 HUAWEI Mate X6를 "소비자에게 완전히 새로운 폴더블 스크린 경험을 선사하는 완벽하고 획기적인 기술의 집약체"라고 소개했다. 우주 요소는 HUAWEI Mate X 시리즈 디자인에 자주 사용된다. 특히 HUAWEI Mate X6의 '우주 시대 궤도(Space-Age Orbit)' 카메라 레이아웃은 행성 궤도에서 영감을 받아 미래의 무한한 가능성을 상징한다. HUAWEI Mate X6는 2440×1080 해상도의 6.45인치 OLED 외부 스크린과 7.93인치 2440×2240 초고해상도 OLED 내부 스크린을 탑재하고 있다. HUAWEI X-TrueTM 디스플레이 기술을 통해 사용자는 특별하고 몰입감 넘치는 시청 경험을 즐길 수 있다. HUAWEI Mate X6는 네뷸라 그레이, 네뷸라 레드, 블랙 등 세 가지 색상으로 제공되며, 회전식 스탠드 보호 케이스를 포함한 다양한 액세서리도 함께 구매할 수 있다. 네뷸라 그레이는 비건 파이버(Vegan Fiber)라는 혁신 소재를 사용해 마이크로 나노 3D 지형으로 제작했고, 촉감이 부드러운 성운 질감의 이름을 따서 명명했다. 또한 초고반사 광학 코팅이 빛나는 광채를 선사한다. 혁신적인 분산형 아키텍처는 HUAWEI Mate X6의 네트워크, 냉각, 내구성에서 도약을 이뤄냈다. 신호 기능을 향상하기 위해 HUAWEI Mate X6는 창의적으로 분산 RF 장치를 적용해 전체 신호 강도를 60% 높인다. HUAWEI Mate X6는 외부 스크린에 Kunlun Glass 2세대, 탄소 섬유 내부 스크린 플레이트, 고급 다차원 힌지, 항공 등급 알루미늄 중간 프레임을 적용해 내구성을 강화했다. 초고열 전도율 그래핀과 같은 혁신적인 소재와 열원 분리를 통해 HUAWEI Mate X6는 열 방출 면적이 30% 증가해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모바일 게임을 하면서 동시에 화상 통화를 하는 등 여러 가지 시나리오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보장한다. HUAWEI Mate X6는 TUV 색 정확도, 안정성 인증(TUV Color Accuracy and Stability Certificate)을 획득한 Ultra Aperture XMAGE 카메라 시스템을 도입해 폴더블 스마트폰 시장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한다. 150만 개의 스펙트럼 채널을 갖춘 Ultra Chroma Camera를 통해 HUAWEI Mate X6는 120% 향상된 색상 정확도로 색상을 포착한다. 이 놀라운 카메라 시스템에는 10 크기의 물리적 조리개를 지원하는 50MP Ultra Aperture Camera, 40MP 초광각 카메라, 4배 광학 줌 및 5cm 슈퍼 매크로 모드를 지원하는 48MP 망원 마이크로 카메라도 포함된다. 무빙 픽처(Moving Picture) 기능을 사용하면 다중 노출, 장노출 등 사진에 재미있는 효과를 줄 수 있다. HUAWEI Mate X6는 효율적인 멀티태스킹을 위한 새로운 방법인 라이브 멀티태스킹을 도입했다. 이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화면을 확장된 보기로 펼친 상태에서 세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또한 Emoji Crush, Air Hoop과 같은 새로운 잠금 화면 테마는 휴대전화를 켤 때마다 큰 즐거움을 선사한다.
이탈리아 피렌체, 스페인 바르셀로나 2024년 12월 13일 / 선도적인 국제 제약, 진단 회사인 메나리니 그룹(Menarini Group, Menarini)과 암 환자에게 혁신적인 암 치료법을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둔 메나리니 그룹 자회사인 스템라인 테라퓨틱스(Stemline Therapeutics, Stemline) 그리고 라틴 아메리카에서 가장 큰 전문 암 치료 그룹인 온코클리니카스 & 코(Oncoclinicas & Co.)와 선도적 글로벌 독립 임상 연구 기관인 메드시르(MEDSIR)가 선구적인 임상 시험 아델라(ADELA)를 진행하고 있다. 이 중요한 연구는 진행성 ER+/HER2- 유방암의 치료 저항성을 다룬다. 2024 샌안토니오 유방암 심포지엄(SABCS)에서 발표된 이 연구는 진행성 질병이 있는 환자를 위해 보다 효율적이고 개인화된 치료 옵션을 찾기 위한 탐구 과정의 중요한 전환점이다. 진행성 ER+/HER2- 유방암의 표준 1차 치료는 내분비 요법과 CDK4/6 억제제를 병용하는 것이다. ESR1 변이는 전이성 치료 중 이전의 내분비 요법에 대한 노출로 인해 발생하며 ER+/HER2- 진행성 또는 전이성 유방암의 최대 50%에서 이런 변이가 발생할 수 있다. ESR1 변이는 종양이 내분비 요법에 저항성을 가지게 만들어 암을 진행시키기 때문에 전이성 유방암(mBC)이 진행될 때마다 ESR1 변이를 검사하는 것이 중요하다. 미충족 의료 수요를 다루기 위해, 아델라 3상 연구는 차세대 경구용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분해제인 엘라세스트란트(elacestrant)와 mTORC1 저해제인 에베로리무스(everolimus)를 병용하는 새로운 요법을 연구한다. 이 병용 요법은 ESR1 변이를 가진 진행성 ER+/HER2-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표준 1차 치료 후 질병 진행을 경험한 환자에게 적용된다. 엘라세스트란트 승인 근거는 3상 EMERALD 연구의 결과였고 에베로리무스는 이 유형의 암에서 다른 저항 메커니즘을 억제하는 데 효능을 보인 바 있다. 엘라세스트란트와 에베로리무스 병용 요법은 1b/2상 ELEVATE 연구에서 관리 가능한 안전성 프로필을 보이며 초기 효능을 입증했다. 스템라인 테라퓨틱스의 최고 의학 책임자인 Nassir Habboubi, MD는 "메나리니 스템라인은 엘라세스트란트 병용 요법을 탐구하기 위한 임상 연구를 계속 진행하기 위해 메드시르와 일하게 되어 기쁘다"며 "암 환자 생존 기간을 연장하는 것을 목표로 혁신적 치료법을 전달하여 암 치료의 발전을 이끌고자 한다"라고 전했다. 이 국제적, 무작위적, 이중맹검법식 연구는 엘라세스트란트와 에베로리무스 병용 요법이 엘라세스트란트 단독 요법에 비해 질병 진행을 지연시키는 효능이 더 큰지 평가한다. 전체 생존율, 독성 프로필,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등을 포함한 다른 중요한 측면도 조사한다. 아델라 연구는 ESR1 변이가 있는 환자의 종양 저항성 문제를 극복하는 방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계로 더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법으로 나아가기 위한 목표를 가지고 있다. 메드시르의 선임 과학 리더인 안토니오 욤바르트-쿠삭(Dr. Antonio Llombart-Cussac) 박사는 "메드시르에서 우리가 이해하는 혁신은 단지 임상 결과를 달성하는 것만이 아니라 전 세계적 규모로 환자 삶을 변화시킬 수 있는 능력이다"라며 "아델라를 통해 우리는 덜 침습적이고 더 접근 가능한 치료법을 얻으려는 결정적인 걸음을 내딛고 있으며 이 질병의 가장 복잡한 형태에 맞서 싸우고 있는 환자에게 새로운 희망을 주는 게 목표다"라고 말했다. 이어서 그는 "이러한 진전은 점점 더 개인화되고 환자 중심화되는 의학을 위한 노력을 강화하고 암 치료의 미래를 형성할 중요한 토대가 된다"라고 덧붙였다. 이 3상 연구는 중요한 임상 목표를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이 병용 요법의 규제 승인의 길을 여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고 더 많은 진행성 유방암 환자에게 더 넓은 적용을 가능하게 한다. 스페인, 이탈리아, 프랑스, 오스트리아, 체코 공화국, 그리스, 독일, 영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가 참여하는 이번 연구의 국제적인 범위는 이 연구가 과학 커뮤니티에서 가지는 중요성과 관련성을 분명히 보여준다. 2024 SABCS와 같은 권위 있는 행사에서 아델라 연구를 발표한 것은 메드시르의 암 연구 분야에서 우수성을 추구하는 리더십을 강화하고 유방암 치료에서 미충족 수요를 다루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메나리니 그룹은 47억 달러의 매출과 17,000명이 넘는 직원을 보유한 선도적인 국제 제약, 진단 회사이다. 메나리니는 심장학, 종양학, 호흡기학, 소화기학, 감염병, 당뇨병학, 염증, 진통학 등 높은 미충족 치료 요구가 있는 분야에 집중한다. 18개 생산 시설과 9개 연구개발 센터를 운영하고 140개국에 제품을 제공한다. 스템라인은 메나리니 그룹의 자회사로 새로운 항암 치료제의 개발과 상용화에 중점을 둔 상업 단계의 생물제약 회사이다. 스템라인은 ER양성, HER2음성, ESR1변이가 있는 진행성 또는 전이성 유방암 환자를 위한 경구 에스트로겐 수용체 치료제인 ORSERDU®를 미국, 유럽에서 상용화한다. 이 치료제는 최소 1회 이상의 호르몬 치료(내분비 요법) 후 질병 진행이 발생한 폐경 이후 여성 혹은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한다. 스템라인은 Blastic Plasmacytoid Dendritic Cell Neoplasm(기타급성골수성백혈병, BPDCN)이라는 공격적인 혈액암을 앓고 있는 환자를 위한 CD123을 표적으로 하는 새로운 치료제 ELZONRIS®(tagraxofusp-erzs)를 미국과 유럽에서 상용화하고 있다. ELZONRIS는 현재까지 미국과 유럽에서 BPDCN 치료를 위한 유일한 승인된 치료제이다. 스템라인은 또한 유럽에서 XPO1 억제제로 다발성 골수종 치료를 위한 약물인 NEXPOVIO®(셀리넥서, selinexor)를 상용화하고 있으며, 여러 고형암 및 혈액암 치료를 위한 소분자, 생물학적 제제의 광범위한 임상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다양한 개발 단계에 있다. 2012년 설립된 메드시르는 종양학 연구에서 혁신을 이끌기 위해 전략적 파트너와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다. 스페인과 미국에서 운영되며 광범위한 글로벌 전문가 네트워크와 통합된 기술을 활용하여 프로세스를 효율적으로 간소화하고, 연구 설계부터 발표에 이르기까지 임상 시험 관리의 전 과정을 제공한다. 메드시르는 개념 증명 지원과 전략적 접근 방식을 제공하여 연구 파트너가 산업 주도 임상 시험과 연구자 주도 임상 시험의 장점을 모두 누릴 수 있도록 한다. 메드시르는 전 세계의 독립적인 연구를 촉진하기 위해 남미 지역에 탁월한 연구 잠재력을 제공하는 브라질의 선도적 종양학 그룹인 온코클리니카스와 전략적 제휴를 맺었다. 온코클리니카스는 라틴 아메리카에서 암 치료에 전념하는 가장 큰 그룹이다. 2,700명 이상의 종양학 전문 의사로 구성된 암 치료에 집중하는 의료팀을 통해 운영 효율성, 인간화된 치료, 높은 전문성을 결합한 전문적, 혁신적 모델을 통해 암 치료 여정 전체를 지원한다. 이들은 암 치료의 민주화를 목표로 외래 클리닉과 고난도 암 센터를 통합한 포괄적인 시스템을 제공한다. 온코클리니카스는 브라질의 39개 도시에 걸쳐 145개 시설을 운영하며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지역에서 세계적 수준에 맞춘 고품질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기술, 정밀 의학, 유전체학에 중점을 두고 2023년에는 약 635,000건의 치료를 수행했다. 하버드 의대와 제휴한 세계 최고의 암 연구, 치료 센터인 Dana Farber Cancer Institute의 브라질 독점 파트너이다. 온코클리니카스는 미국 캠브리지에 본사를 둔 생물정보학 전문 기업인 Boston Lighthouse Innovation을 소유하고, 스페인 바르셀로나에 본사를 두고 독립적인 암 연구를 위한 임상 시험 개발, 관리에 전념하는 회사인 메드시르 지분을 보유한다. 최근 온코클리니카스는 Al Faisaliah Group과 합작 투자를 통해 암 퇴치라는 사명을 새로운 대륙으로 확장하기 위해 사우디아라비아에 진출했다. 종양학적 초전문화와 혁신적인 치료 접근성을 결합하여 전 세계적 규모로 선진적인 암 치료를 제공하고 있다. 온코클리니카스는 B3에서 시작한 성별, 인종 다양성에 헌신하는 기업을 강조하는 IDIVERSA 지수에도 포함되어 있다.
추저우, 중국 2024년 12월 12일 / 선도적인 태양 전지, 모듈 업체인 솔라 N 플러스 신에너지 기술 유한회사(Solar N Plus New Energy Technology Co., Ltd., 이하 '솔라 N 플러스')가 500MW 고효율 N형 태양광 제품을 해외 시장에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이 획기적인 계약으로 글로벌 확장에도 속도가 붙으면서 솔라 N 플러스는 재생에너지 산업에서 입지를 더욱 강화할 전망이다. 솔라 N 플러스는 자체 개발한 N형 태양 전지와 모듈을 통해 ▲높은 변환 효율 ▲낮은 온도 계수 ▲LID와 PID에 대한 우수한 저항성 ▲캡슐화 과정에서의 손실 감소 등의 이점을 제공하는 N형 기술을 전문으로 하는 회사다. 이러한 이점은 장기적인 신뢰성과 향상된 에너지 수율을 보장하여 현지 태양광 산업의 성장을 촉진하고 청정 에너지로 전환을 가속화하는 효과를 낳는다. 애슐리 왕 솔라 N 플러스 부사장은 "기술 발전을 가속화하는 최첨단 태양광 제품을 제공하기 위해 뛰어난 현지 협력업체와 파트너십을 맺게 되어 기쁘다"며 "태양광 기술의 선두 주자인 솔라 N 플러스는 제품 품질, 효율성, 생산 규모, 연구개발(R&D) 역량에서 탁월한 능력을 인정 받아 전 세계적으로 호평받고 있다"고 자평했다. 솔라 N 플러스는 기술적 전문성과 혁신에 대한 헌신을 바탕으로 급속하게 발전하는 글로벌 시장의 요구를 충족하는 신뢰할 수 있고 지속 가능한 태양광 솔루션을 제공하면서 재생 에너지 분야를 이끌어 나가고 있다. 솔라 N 플러스는 N형 기술을 전문으로 하는 수직 통합 태양광 제조업체로, ▲태양 전지 ▲모듈 ▲발전소 개발 기술 ▲스마트 에너지 솔루션을 제공한다. 40여 개 국가와 지역에서 강력한 시장 입지를 확보하였고 재생 에너지 분야에서 혁신과 고객 만족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SK텔레콤(CEO 유영상)이 13일, 글로벌 AI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는 AI 영상 분석 스타트업 '트웰브 랩스(Twelve Labs)'에 300만 달러를 투자한다고 밝혔다. 트웰브 랩스는 영상을 이해하고 검색할 수 있는 멀티 모달 AI 모델을 개발하는 스타트업으로, 2021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설립됐다. 올해 6월 엔비디아의 자회사 엔벤처스(NVentures)와 뉴엔터프라이즈어소시에이트(NEA) 등에서 투자금으로 약 5000만 달러를 유치하여 화제가 되었다. 트웰브 랩스는 우수한 AI 영상 이해 모델을 통해 영상 속에 다양한 사람과 사물을 식별하고 행동까지 파악한다. 이를 기반으로 영상 검색 솔루션 '마렝고(Marengo)'와 영상에서 질의 응답할 수 있는 솔루션 '페가수스(Pegasus)'를 제공하고 있다. 트웰브 랩스는 글로벌 리서치 기관 CB인사이트가 발표한 글로벌 100대 AI 스타트업 'AI 100'에 2022년부터 2024년까지 3년 연속 선정될 정도로 글로벌 시장에서 주목 받는다. SKT와 트웰브 랩스는 양사가 보유한 AI 역량을 결합해 'AI 에이전트'와 같은 서비스 고도화를 통해 고객에게 더욱 혁신적인 AI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고 기대한다. 가령 수만 개 영상 중에서 '아기가 첫 걸음마 떼는 영상 찾아줘', "손흥민 선수와 김민재 선수가 패스하는 영상을 분류해서 보여줘'라던가 '이 영상에서 벌어지는 일을 텍스트로 정리해줘' 등 검색을 하면, 원하는 장면을 정확하게 찾고 영상 내용을 텍스트로 정리해 준다. 이 외에도 양사는 AI 관제 시스템과 같은 보안과 공공 안전 분야에 멀티모달 AI 적용을 위한 관련 기술 개발과 고도화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AI 관제 시스템의 경우 기존에는 실무자가 장시간 수많은 CCTV를 모니터링 해야 했던 것과 달리 트웰브 랩스의 멀티모달 AI 모델을 적용하면 그 날 있었던 주요 사건, 움직임, 인물 등을 빠르게 검색, 요약할 수 있다. CCTV 통합 관제 센터는 악천후나 상대적으로 조건이 열악한 도로변, 어두운 골목길 등에 높은 수준의 실시간 탐지, 검색 등 관제 업무 효율성 니즈가 커지고 있어 멀티모달 AI 활용 기회는 무궁무진할 것으로 기대한다. 트웰브 랩스는 SKT가 주도하는 'K-AI 얼라이언스'에도 합류해 멤버사와 다양한 시너지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등 AI 생태계 활성화에도 힘을 모으기로 했다. 글로벌 AI 기업은 텍스트를 넘어 영상, 음성, 이미지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분석하고 생성할 수 있는 이른바 멀티모달(Multimodal) 기술에 투자와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실제 글로벌 시장 조사 업체 '모도 인텔리전스'는 AI 영상 분석 시장 규모가 2028년 753억 50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트웰브 랩스 이재성 대표는 "SK텔레콤과 협력으로 트웰브 랩스의 영상 이해 기술이 많은 산업 현장에 혁신적인 영상 이해 AI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SKT의 이재신 AI 성장 전략 본부장은 "양사 협력을 통해 멀티 모달 AI 분야에서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며 "고객이 실질적으로 AI 혁신을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와 사업 범위를 넓혀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