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전, 중국 2024년 12월 20일 / 선도적 소비자 가전 브랜드이자 세계 2대 TV 브랜드인 TCL 일렉트로닉스(TCL Electronics)가 오늘 1월에 열리는 2025년 소비자 가전 전시회(Consumer Electronics Show: CES 2025)에 참가한다. 지난 31년 동안 CES에 참가한 TCL은 그동안 전 세계 방문객에게 혁신적인 최신 디스플레이 기술과 다양한 스마트 홈 제품을 지속적으로 선보였다. TCL은 쇼케이스 하이라이트로서 비할 데 없는 시각적 경험을 제공하는 혁신적인 QD-Mini LED 기술과 제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또한 TCL은 전문가용 모니터부터 차량용 디스플레이, 휴대폰, 태블릿, 스마트 시계, 스마트 프로젝터, RayNeo AR 안경에 이르는 거의 모든 폼 팩터를 포괄하는 디스플레이 혁신으로 전문가와 홈 엔터테인먼트 애호가의 기대를 부풀리고 있다. TCL은 수상 경력에 빛나는 NXTPAPER 기술도 전시하는 한편 공식 석상에서 처음으로 혁신적인 NXTPAPER 4.0을 공개할 예정이다. AI 분야에서의 혁신을 강조하는 TCL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기술 브랜드와 파트너십을 맺고 새로운 제품 카테고리에서 최신 AI 발전을 선보인다. 에어컨, 빌트인 냉장고, 세탁기, 스마트 잠금장치, 모바일 라우터 등 에너지 효율성도 높이고 풍부한 사용자 경험을 보장할 목적으로 설계된 지능형 솔루션과 스마트 홈 에코시스템의 통합을 공개할 예정이다. 슈퍼볼 LIX를 앞두고 미국 내셔널 풋볼 리그(NFL)와 맺은 공식 TV 파트너십과 함께 유명 글로벌 업체와 파트너십도 이번 전시회의 하이라이트가 될 예정이다. 이 파트너십을 통해 TCL은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일상에서 위대함을 고취하는 것을 목표로 삼아, 다양한 인터랙티브 현장 활동과 온라인 캠페인으로 시청자 경험을 향상하고 팬 참여를 유도하는 최첨단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TCL은 선도적인 소비자 가전 브랜드이자 TV 업계의 글로벌 리더다. 전 세계 160개 이상의 시장에서 사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TV, 오디오, 가전, 모바일 기기, 스마트 안경, 상업용 디스플레이 등 소비자 가전 제품의 연구, 개발, 제조를 전문으로 한다.
뉴욕 2024년 12월 20일 / 선도적인 차액결제거래(CFD) 서비스 제공업체인 울티마 마켓(Ultima Markets)이 유엔 글로벌 콤팩트(United Nations Global Compact) 이니셔티브에 가입했다. CFD 브로커 중에서 이 이니셔티브에 가입한 건 울티마 마켓이 최초이다. 세계 최대의 기업 지속 가능성 이니셔티브인 유엔 글로벌 콤팩트 이니셔티브는 기업이 유엔 지속 가능한 발전 목표(SDGs)에 맞춰 전략과 운영 방식을 조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유엔 글로벌 콤팩트 이니셔티브는 정해진 10가지 원칙에 맞춰 비즈니스 관행을 조정하여 지속 가능성을 이루기 위한 노력을 지원한다. 금융 서비스 분야에서 환경적 책임, 사회적 형평성, 강력한 거버넌스를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유엔 글로벌 콤팩트 이니셔티브 참여는 보다 포용적이면서 지속 가능한 글로벌 경제를 구축하기 위한 울티마 마켓의 노력에 중요한 이정표로 기록될 전망이다. 이제 167개 국 2만 5000개 이상의 조직으로 구성된 네트워크의 일원이 되어 울티마 마켓은 국제적인 리더와 협력하여 기후 변화에 대처하고, 평등을 촉진하며, 경제적 번영을 장려하는 데 적극 참여할 수 있다. 장 필립 울티마 마켓 기업 지배구조 및 지속가능성 담당 자문 위원은 "유엔 글로벌 콤팩트 이니셔티브 가입으로 윤리적 금융 서비스를 발전시키고 지속 가능한 미래에 기여한다"며 "지속 가능성은 우리의 핵심 사명의 중요한 일부가 되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금융과 기술 산업의 핵심 주체로서 우리는 우리의 운영 방식과 비즈니스 관행을 글로벌 목표에 맞추는 데 주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핀테크 기업으로서 울티마 마켓은 직원과 지역 사회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금융 지식과 학습을 장려하고, SDG 4(양질의 교육) 목표 달성을 지원하는 교육 문화 조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SDG 9(산업, 혁신, 인프라) 목표에 대한 큰 관심은 금융 서비스에 접근성을 향상하는 혁신적인 기술을 활용하겠다는 약속을 의미한다. 다중 자산 거래 플랫폼으로서 울티마 마켓은 SDG 13(기후 행동) 목표 달성을 위한 환경 영향을 줄이기 위해 친환경적인 사무실 관행을 채택할 것을 약속한다. SDG 17(목표 달성을 위한 파트너십)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 유엔 글로벌 콤팩트, 다른 글로벌 파트너를 계속 지원할 계획이다. 울티마 마켓은 250개 이상의 금융 상품 거래를 돕는 공인 브로커다. 15개 글로벌 지사에 2000명이 넘는 전문가로 구성된 팀과 함께 172개 이상의 국가에 있는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벵갈루루, 인도 2024년 12월 21일 / 디지털 전환 분야의 리더 마이크로랜드(Microland)가 ISG 프로바이더 렌즈(Provider Lens™) 연구의 '멀티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 미국 2024'에서 미드마켓 분야 관리형 서비스 리더로 선정되었다. 이 연구 보고서는 하이퍼스케일 환경(AWS, 애저, 구글 클라우드)에서 활동하는 관리형 서비스 제공 업체를 조사하여 데브옵스 기반 전략, SRE 전문성과 첨단 서비스를 부각한다. 여기에는 자동화 컴플라이언스, IoT 통합, 에너지 효율적인 인프라, AI 기반 사이버 보안, 셀프 서비스 자동화 등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미국 미드마켓 분야의 운영 효율과 보안이 향상된다. 마이크로랜드는 자동화 기반 운영을 통해 자신을 차별화하며, 인텔리게니(Intelligeni®) 클라우드옵스(CloudOps) 플랫폼을 활용하여 미국 기업의 클라우드 인프라 관리를 강화한다. 이 플랫폼은 모니터링, 경고 해결, 원격 계측, 최적화를 자동화하여 비용 절감, 시스템 성능 향상, 서비스 품질 향상을 촉진한다. 마이크로랜드의 독자적인 클라우드 비용 관리 프레임워크(Cloud Cost Management Framework) (CCMF)™는 클라우드 자원 사용을 최적화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다운타임을 최소화한다. 미국 중소기업에 집중하는 마이크로랜드는 기업 특유의 니즈를 충족하는 확장 가능하고 비용 효율적인 맞춤형 클라우드 솔루션을 제공한다. 당사의 플랫폼과 비즈니스 중심 솔루션은 ISG에서 이러한 인정을 받는 데 핵심 역할을 해왔다. 마이크로랜드 수석 부사장 겸 글로벌 클라이언트 솔루션 리더 수닐 사라트(Sunil Sarat)는 이러한 인정에 대해 "2024 ISG 프로바이더 렌즈™ 관리형 서비스에 대한 멀티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미드마켓 리더로 인정 받게 되어 기쁘다"며 "ISG의 이러한 인정은 혁신, 최적화와 운영 효율 향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우리에게 보내는 신뢰이다. 고품질 솔루션을 제공하고 신뢰할 수 있는 업계 파트너로서 위상 유지에 전념하고 있다"고 말했다. 마이크로랜드 샘 매튜(Sam Mathew) 사장은 "2024 ISG 프로바이더 렌즈™ 리더로 인정 받은 것은 미국 기업이 멀티 클라우드 환경의 힘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마이크로랜드의 전략적 초점을 강조하는 것"이라며 "인텔리게니® 클라우드옵스 및 CCMF™와 같은 우리의 혁신적인 플랫폼은 효율과 회복력을 견인하여 우리를 비용 효율적이며 확장 가능한 혁신 클라우드 솔루션을 찾는 기업이 선택하는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말했다. ISG 수석 애널리스트 샤샹크 라즈마네(Shashank Rajmane)는 "마이크로랜드는 동사의 고객 중심 방식과 자동화 클라우드 관리 툴세트를 통해 고품질 클라우드 운영 서비스를 제공할 뿐 아니라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고객이 비용을 절감하고 CX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말했다. 마이크로랜드는 인도 벵갈루루에 본사를 둔 선도적인 IT 인프라 서비스, 컨설팅 회사로 35년 동안 가시적인 비즈니스 성과를 입증한 실적을 가지고 있다. 오늘날 기업은 네트워크가 현대 디지털 시스템의 기능과 효율성을 뒷받침하고 혁신을 지원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당사는 AI, 운영 자동화와 플랫폼 기반 솔루션과 같은 차세대 기술을 제공하여 전 세계 조직의 운영 우수성, 민첩성, 생산성을 향상하고 있다. 4,600명이 넘는 전문가로 구성된 팀은 아시아, 호주, 유럽, 중동, 북미 등 100여 개 국가에서 네트워크,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 사이버 보안, 서비스 관리, 애플리케이션과 자동화 분야의 최첨단 솔루션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수의 업계 분석가에게 혁신 전략으로 인정 받은 마이크로랜드는 강력한 거버넌스, 환경 지속가능성, 다양한 인재가 넘쳐나는 포용적인 직장을 육성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 기업이 마이크로랜드와 협력하면 최고의 인재, 기술, 솔루션과 연결되어 높은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ISG(인포메이션 서비스 그룹)는 세계적인 기술 연구, 자문 회사이다. 전 세계 상위 100개 기업 중 75개 이상을 포함하여 800개 이상의 고객사에게 신뢰 받는 비즈니스 파트너이다. 자동화, 클라우드, 데이터 분석 등의 디지털 전환 서비스와 거버넌스, 리스크 관리 서비스를 포함하여 네트워크 캐리어 서비스, 전략, 운영 설계, 변화 관리, 시장 정보, 기술 연구와 분석을 전문으로 한다.
베이징 2024년 12월 21일 / 베이징 칭화대학교를 졸업한 레이젠(Lei Zhen)씨는 2024년 마카오 특별행정구(SAR)에 정착하기로 결심했다. 그는 중국 남부 광둥성 주하이에서 나노 실버 와이어가 들어간 신소재를 혁신적으로 응용한 제품을 핵심 제품으로 삼아 사업을 시작하기로 했다. 중국 정부가 2021년 헝친에 '광둥-마카오 심층 협력 지대(Guangdong-Macao In-depth Cooperation Zone)'를 설립했을 때 레이씨는 회사를 그곳으로 옮긴 뒤 마카오와 헝친의 자본, 인재, 세금 혜택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생산 규모를 확대했다. 그는 "헝친은 광대한 산업 공간과 양호한 지원 환경을 갖추고 있어 마카오의 첨단 기술과 다양한 산업 발전에 필요한 넓은 무대가 되어줄 수 있다"고 호평했다. 현재 이 협력 지대는 마카오에 투자한 약 6500개 기업을 유치하고, 신산업을 위한 플랫폼 역할을 하면서 혁신과 기업가 정신의 허브로 자리매김했다. 시진핑 중국 주석은 3일간의 마카오 방문 일환으로 19일(목) '광둥-마카오 심층 협력 지대'를 시찰하는 동안 "마카오와 헝친은 '일국양제'의 실천을 강화하는 새로운 본보기이자, 웨강아오 대만구(Guangdong-Hong Kong-Macao Greater Bay Area) 지역의 건설을 촉진하는 새로운 고지이다. 중국의 수준 높은 개방을 실현하는 새로운 플랫폼이다"라고 말했다. 헝친은 주하이 남쪽 끝 쪽에 자리하고 있으며, 마카오와는 좁은 수로로 분리되어 있다. 설립 이후 이 협력 지대는 마카오의 적절한 경제 다각화를 촉진하는 중요한 플랫폼 역할을 해왔다. 이곳은 마카오가 하이엔드 제조업, 전통 중국 의학, 금융 서비스, 문화 관광 등의 산업을 발전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 오늘날 협력 지대에는 국가와 지방 수준의 기술 혁신 플랫폼 30곳, 국가 첨단 기술 기업 268곳, 지방 수준의 전문적이고 정교한 기업 41곳이 둥지를 틀고 있다. 현재 협력 지대는 '마카오-헝친 청년 창업 밸리(Macao-Hengqin Youth Entrepreneurship Valley)' 같은 혁신 플랫폼을 구축했고, 마카오대학과 첨단 기술 기업과 인재의 산학연 기반 같은 여러 혁신 자원을 유치했다. 시 주석은 협력 지대의 발전을 높이 평가하며 "헝친과 마카오 간 통합 수준이 점차 향상되고 있으며, 마카오의 적절한 경제 다각화를 지원하는 역할이 두드러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최근 몇 년 동안 마카오는 주요 과학기술 프로젝트와 중요한 혁신 플랫폼의 현지 구현을 촉진하여 글로벌 혁신을 위한 새로운 기술 플랫폼이자 인재 집결지로 부상했다. '마카오 사이언스(Macao Science) 1호'는 중국 본토와 마카오가 공동으로 개발한 최초의 우주 과학 위성 프로그램이다. 중국에서 가장 높은 정확도의 지자기 탐지 기능을 갖춘 이 위성은 중국의 우주 자기 조사 수준을 크게 개선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시 주석은 19일 마카오과학기술대학교(MUST)를 방문한 자리에서 "마카오 사이언스 위성은 마카오와 중국 본토 간 첨단 기술 협력을 강화한 대표 사례"라면서 마카오가 보유한 과학기술 분야의 뛰어난 혁신과 창의적 역량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마카오는 개방적인 비즈니스 환경과 협력 지대가 제공하는 다양한 기회 덕분에 기업가에게 이상적인 장소로 주목받고 있다. 현재 헝친에는 마카오대학교와 마카오과학기술대학교의 산학연 시범 기지가 설립되었으며, 마카오의 4개 핵심 국가 연구소가 이곳에 지사를 설립해 대학의 과학 기술 성과를 산업화하고 있다. 2024년 11월 현재 헝친이 홍콩과 마카오의 젊은이를 위해 육성한 898개 창업 프로젝트 가운데 815개가 마카오에서 육성한 프로젝트다. 시 주석은 헝친에 거주하는 마카오 주민과 이 협력 지대에서 창업한 마카오의 젊은 기업가를 만난 자리에서 "헝친이 발전하면서 마카오 젊은이에게는 야망을 이룰 좋은 기회가 제공되고 있다"고 강조하는 한편 "마카오 젊은이가 주목할 만한 경력을 더 많이 쌓을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입쿠아이펑(Ip Kuai Peng) 마카오 시립대학교 부총장은 "협력 지대 건설로 마카오 젊은이는 지역에 대한 개념과 경력 계획을 새롭게 바꾸고 있다"며 "젊은 세대가 중국 본토의 거대한 시장이 가진 발전 잠재력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시 주석은 마카오 과학기술대학교를 방문하는 동안 "전략적 관점에서 교육을 중시하고, 학문 분야를 체계적으로 정비하고, 국가와 마카오의 발전에 필요한 우수한 인재를 양성하는 노력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우후, 중국 2024년 12월 20일 / 12월 19일, 체리 그룹 중동 지역 예비 부품 유통 센터(Chery Group Middle East Regional Spare Parts Distribution Center)가 공식으로 개장하면서, 체리 자동차는 이 지역에서 가장 큰 예비 부품 창고를 설립한 중국 자동차 브랜드로 기록됐다. 이는 중동 시장에서 체리의 서비스 역량과 대응력이 크게 향상되었음을 의미한다. 또한 전 세계 고객에게 고품질 차량과 탁월한 서비스 경험을 제공하고자 하는 '고객 만족' 사명에 대한 체리의 약속을 강조한다. 중동 지역 예비 부품 유통 센터 설립은 체리 세계화 전략의 핵심이며, 이 지역 시장 수요에 대한 회사의 깊은 이해를 반영한다. 제벨 알리항(Jebel Ali Port)과 알 막툼 국제공항(Al Maktoum International Airport) 인근에 전략적으로 위치한 이 센터는 효율적이고 시기 적절한 예비 부품 유통을 통해 시장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 예비 부품 유통 센터는 2만 가지가 넘는, 중동에서 구매 가능한 다양한 체리 모델의 예비 부품을 보유하고 있어 적시에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다. 중동 지역 예비 부품 유통 센터는 최첨단 물류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업계 표준을 능가하는 다국어 전문가로 구성돼 있다. 14개의 발송 포트를 갖춘 이 센터는 화물 처리량이 크게 향상됐다. 고급 물류 관리 시스템과 최적화된 창고 구조 설계를 도입하여 배송 효율성을 크게 개선했다. 배송 주기를 획기적으로 단축하고 고객에게 더 빠르고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비 부품 센터 출범은 중동에서 체리 브랜드 구축, 시장 확대를 촉진하여 장기 발전을 위한 탄탄한 기반을 마련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같은 날, 체리는 아랍에미리트와 쿠웨이트에서 TIGGO 9의 동시 출시라는 또 다른 중요한 순간을 축하했다. '한 걸음 앞서 간다(One Step Ahead)'는 콘셉트를 바탕으로 한 TIGGO 9 모델은 우수한 품질과 최첨단 혁신을 결합했고 '안전은 최고 럭셔리'라는 철학을 담고 있다. 이 고급 SUV는 중동에서 체리 제품군을 확장하고 프리미엄 차량 수요를 충족한다.
선전, 중국 2024년 12월 19일 / 첸하이 선전-홍콩 현대 서비스 산업 협력구(Qianhai Shenzhen-Hong Kong Modern Service Industry Cooperation Zone, 이하 '첸하이 계획') 종합 개발 계획을 발표한 지 1주년을 맞이했다. 지난 1년 동안 중국 광둥성 선전에 소재한 특별 경제 구역인 첸하이는 ▲포괄적인 개혁과 혁신을 위한 시범 플랫폼 ▲국제 개방을 위한 수준 높은 포털 ▲선전과 홍콩 간 심층적 통합을 위한 선도 지역 ▲역동적인 성장 동력을 토대로 현대 서비스 산업의 고품질 발전을 위한 허브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였다. 개혁 심화와 개방 확대는 첸하이가 가진 특별한 장점이자 첸하이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명이다. 첸하이 선전-홍콩 현대 서비스 산업 협력구에 따르면, 첸하이는 3년 연속 중국 자유 무역 시범구 '제도 혁신 지수 부문(institutional innovation index)'에서 1위를 차지했다. 첸하이는 연초부터 47건의 제도 혁신을 새롭게 추진해 혁신 수량을 총 882건으로 늘렸다. 케빈 치안(Kevin Qian) 하로우 선전 국제학교 중국인 교장은 제도적 혁신과 관련해 "영국 유명 명문 학교인 하로우 국제 학교의 첸하이 분교가 설립된 이후 토지 사용 승인, 하드웨어 시설 이용, 등록 학생 수 허가와 관련해 다양한 지원 정책의 혜택을 누렸다"며 "이러한 정책 덕분에 우수한 인재 가족의 교육 수요를 더 잘 충족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다양한 우대 정책과 편리한 서비스 덕분에 학교는 더 우수한 외국인 관리자와 교사를 유치했다"고 덧붙였다. 첸하이는 새로운 시대에 중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면서 가장 개방적인 지역으로 자리매김했다. 2024년 1~10월 사이 중국 광둥 자유 무역 시험구(China (Guangdong) Pilot Free Trade Zone) 첸하이-서커우 지역의 수출입액은 전년 대비 58.3% 증가한 4481억 위안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첸하이 계획은 첸하이에 '선전과 홍콩의 심층적 통합을 위한 선도 지역'이라는 새로운 전략적 역할을 부여했다. 하늘에서 내려다본 첸하이 선전-홍콩 청년 혁신 및 기업가 허브(Qianhai Shenzhen-Hong Kong Youth Innovation and Entrepreneur Hub) 건물은 전통적인 중국 문자 '꿈' 자를 닮았다. 이러한 모양은 선전과 홍콩과 같은 곳에서 꿈을 좇는 청년 여정을 상징한다. 2024년 12월 초 현재 허브는 홍콩과 마카오, 해외에서 온 955개 팀을 포함해 총 1374개 스타트업 팀을 육성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현재 9000곳 이상의 홍콩 투자 기업이 이곳에 등록되어 있다. 동아시아 첸하이 증권사(East Asia Qianhai Securities Co., Ltd.) 임원은 "선전 개혁의 최전선에 서 있는 첸하이는 선전과 홍콩 간 금융 협력을 강화하고 홍콩이 국제 금융 중심지라는 지위를 공고히 하는 데 기여하는 기회의 땅"이라고 강조했다. 홀먼 펜윅 윌란(Holman Fenwick Willan LLP) 선전 대표 사무소의 선진준(Sun Jinjun) 수석 대표는 사무소 설립 당시 받았던 전문 서비스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그는 "종종 다른 나라 동료, 중국인, 외국 고객이 첸하이 사무소에서 열리는 회의에 참석했다가 사무실 환경을 보고 칭찬하곤 한다"고 밝혔다. 그는 또한 "많은 동료가 홍콩과 첸하이를 같은 날 오가는데, 출퇴근이 꽤 편리하다"며 점점 편리해지는 교통도 호평했다. 첸하이는 현대 서비스 산업의 고품질 발전 허브가 되기 위한 전략적 포지셔닝을 강화하고 있다. 이는 첸하이가 가진 경쟁력의 원천이다.
로잔, 스위스 2024년 12월 19일 / 신발과 패션 분야의 글로벌 선두 주자인 바타(Bata)는 19일, 미겔 에스키데(Miguel Esquide)를 최고 디자인 책임자로 임명했다. 이번 주요 인사 사항은 바타가 혁신과 창의성을 통해 현대 전 세계의 고객과 소통하려는 여정을 이어가겠다는 의지를 보여준다. 20년에 걸쳐 유명 브랜드와 함께한 미겔의 경험은 바타의 창의적 방향성을 설정하고 브랜드 정체성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미겔의 주요 경력 사항에는 대담한 미학으로 보그지(Vogue)에 소개되고 마일리 사이러스(Miley Cyrus), 로살리아(Rosalai) 같은 문화 아이콘에게 찬사 받은 럭셔리 브랜드 1콘셉트(1CONCEPT)의 공동 창립과 인디텍스(INDITEX)에서 레프티스(Lefties), 자라(Zara), 풀앤베어(Pull&Bear)와 같은 주요 레이블의 신발 디자인과 전략을 포함된다. 소비자 공감을 불러 일으키고 영향력 있는 캠페인을 전개하는 컬렉션을 제작하는 그의 능력은 바타 비전인 '모두를 위한 스타일리시한 신발'을 만드는 것과 완벽하게 일치한다. 최고 디자인 책임자로서 미겔은 바타 브랜드와 확장 라인인 바타 레드라벨(Bata RedLabel), 바타 컴핏(Bata Comfit)을 총괄한다. 이탈리아 파도바에 본사를 두고 미겔은 재능 있는 디자이너 팀을 이끌며, 바타의 유산과 현대적 디자인 요소를 결합하여 브랜드가 오늘날 소비자에게 영감을 주고 관련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바타 CEO인 산디프 카타리아(Sandeep Kataria)는 "바타가 경영진에 최고 디자인 책임자를 임명하여 디자인 혁신 의지를 강화"한다며 "이 중요한 과정은 브랜드 진화의 핵심을 디자인에 두겠다는 비전을 반영하며, 브랜드의 장인 정신과 스타일에 대한 헌신을 구현하고 신선하고 매력적인 컬렉션을 위한 무대를 마련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서 그는 "미겔은 독특하면서도 상업적으로 강력한 디자인을 만드는 입증된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밝히며 "그의 현대적인 접근 방식은 바타 브랜드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전 세계 소비자와 깊은 관계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1894년 설립된 바타는 56개국 이상에 진출한 남녀노소를 위한 고품질의 스타일리시하고 편안한 신발 분야 글로벌 주자이다.
리야드, 사우디아라비아 2024년 12월 19일 / 19일 리야드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사우디아라비아 광업부 차관 칼리드 알-무다이퍼(Khalid Al-Mudaifer)가 FMF25 어젠다를 공개했다. 칼리드 알 무다이퍼 차관은 "지난 3년 동안 미래 광물 포럼은 광물 분야의 과제와 기회 해결을 위한 이 분야 최고의 모임이자 연중 활동으로 자리잡았다"면서 "포럼은 이를 달성하기 위해 리야드 중심에 최고위급 정부 대표, 업계 리더, 투자자, 연구소와 미디어를 모이게 하여 광업 미래를 만들어 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제 4년째이자 '영향의 해'라는 주제로 열리는 FMF25는 급변하는 이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를 해결하고 광물 미래를 재정의한다. 정부가 주도하는 고위급 회의인 FMF 장관 원탁 회의는 이 프로그램을 역동적이고 영향력 있는 플랫폼으로 자리잡게 한다. 정부와 CEO가 FMF에 계속 참가하는 주요 이유는 포럼이 정부와 기업 고위 경영진 차원에서 전 세계 광물 공급이 직면한 실제 문제를 다루기 때문이다. 무다이퍼 차관은 포럼이 광업 분야가 안고 있는 지역적 문제와 국제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 세계 최고의 플랫폼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FMF가 핵심 광물 공급을 강화하고 전 세계가 청정 에너지로 전환하는 데 중추적 역할을 부각했다. 그는 "FMF는 아이디어를 교환하고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시하며 국제 협력을 강화하여 광업의 지속 가능성을 달성하는 동시에 경제와 사회 발전을 촉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고 덧붙였다. 포럼 첫날에는 국제 전시회와 인터랙티브한 지식 교류 세션을 하여 업계 리더가 전 세계 광물 공급 전망, 기술 발전, 지속 가능성 프레임워크에 대한 인사이트를 발표한다. 오디언스는 Q&A 형식을 통해 전문가와 직접 대화할 수 있다. 다운스트림 분야의 새로운 목소리가 현지의 지역 사회와 경제를 광물 가치 사슬에 통합하는 혁신적 방법을 제시하고, 참석자에게 새로운 기술의 미래 응용에 직접 경험한 인사이트를 제공하며, 기술과 지속 가능성이 만나는 교차점에서 가능성을 쇼케이스한다. 둘째 날과 셋째 날에는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와 중앙아시아를 위한 지역 리더십 원탁 회의 등을 하며, 신흥 공급 지역 간 무역과 투자 기회에 초점을 맞춘다. 각 세션에는 장관, CEO와 업계 전문가가 참가하여 전 세계 광물 공급을 활성화하고 위험을 줄이기 위한 방안을 논의한다. FMF 2025는 도미닉 바튼(Dominic Barton) 리오 틴토 회장, 맥시모 파체코(Maximo Pacheco) 코델코 회장, 던컨 완블라드(Duncan Wanblad) 앵글로 아메리카 CEO, 마크 브리스토우(Mark Bristow) 배릭 골드 CEO, 톰 파머(Tom Palmer) 뉴몬트 사장 겸 CEO 등 광물과 산업 분야에서 중요한 발자취를 남긴 거물이 대거 참석한다. 이 유명인은 업스트림, 미드스트림, 다운스트림 분야에 높은 전문성을 갖고 있다. 이들은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전체 광물 생태계를 아우르는 솔루션 기반 토론을 이끌어 갈 것이다. 미래 광물 포럼(FMF)은 전 세계 최고의 광물 플랫폼이다. FMF는 각국 정부, 국제 기구와 이해 관계자가 모여 광물의 미래를 공동으로 만들어 가는 전 세계 산업 연결의 최전선에 서 있다. 75명의 정부 대표를 포함하여 178개국에서 14,000명이 참가하는 FMF는 전 세계 협력의 촉매제 역할을 한다. 장관급 원탁 회의, 컨퍼런스와 전시회, 전문 광물 기술, 탐사 구역을 통해 광물에 대한 전 세계 대화를 중심으로 지속 가능한 미래를 향한 혁신과 협력을 견인한다.
홍콩 2024년 12월 19일 / 화웨이와 홍콩대학교(HKU)가 12일, '홍콩대학교 & 화웨이 글로벌 스마트 캠퍼스 네트워크 쇼케이스(The University of Hong Kong & Huawei Global Smart Campus Network Showcase)' 출범식을 개최하며 스마트 캠퍼스 네트워크 연결성과 인프라 개발을 위한 새로운 협력의 이정표를 세웠다. 양측은 홍콩대학교의 디지털, 지능형 전환을 가속화하는 동시에 전 세계 많은 대학에 훌륭한 참고 자료와 영감을 제공하는 스마트 캠퍼스 네트워크 혁신에 도움을 주는 글로벌 쇼케이스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 행사에는 ▲플로라 응 홍콩대학교 최고정보책임자(CIO)이자 대학 사서 ▲윌슨 쿼크 홍콩대학교 부소장(CIO 겸 사서) ▲제이슨 허 화웨이 글로벌 기업 데이터 커뮤니케이션 마케팅 & 솔루션 판매 부서장 ▲짐 비 화웨이 홍콩 ICT 마케팅 & 솔루션 판매 부서장 ▲유리 인 화웨이 데이터 통신 제품 라인 부사장 ▲재키 유 화웨이 기업 비즈니스 브랜딩 & 마케팅 실행 부서장 등 양측 리더가 참석했다. 플로라 응 CIO는 환영사에서 "세계적인 대학인 홍콩대학교는 글로벌 학술 인재에게 최고의 교육과 연구 환경을 제공하고 교육과 기술의 통합을 촉진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면서 "올해로 112주년을 맞이한 홍콩대학교 도서관은 지난 100년 동안 글로벌 학술 연구의 중요한 플랫폼 역할을 해왔다"고 말했다. 그녀는 이어 "교육 요구가 점점 다양해지고 디지털 전환 속도가 빨라지면서 고품질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캠퍼스 구축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계속해서 그녀는 "화웨이와 와이파이 7을 기반으로 하는 고품질 10Gbps 캠퍼스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도서관, 본관(로크 유 홀(Loke Yew Hall)), 강의실, 홍콩대학교 역 등 여러 장소에 배치했다"며 "이는 스마트 교실, 도서관, 스터디룸, 강당에서 교육용 애플리케이션 이용을 위한 안정적이고 원활한 네트워크 연결을 보장하면서 홍콩대학교 스마트 캠퍼스의 견고한 기반을 마련해줬다"고 평가했다. 응 CIO는 "양측은 스마트 네트워크에 대해 긴밀하게 협력하고, 네트워크 보안, 지능형 운영, 유지 보수(O&M), 스마트 캠퍼스 사물인터넷(IoT)과 같은 시나리오를 심층 연구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미래에 더 안전하고 효율적이면서 지능적인 교육 환경을 구축하여 교육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제이슨 허 화웨이 글로벌 기업 데이터 커뮤니케이션 마케팅 & 솔루션 판매 부서장은 "현재 교육이 디지털 기술과 빠르게 통합되고 있는 가운데 화웨이는 ICT 분야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전문성과 강점을 최대한 살려 홍콩대학교의 과학 연구, 교육 업무, 관리 프로세스 혁신을 지원한다"며 "와이파이 7을 기반으로 하는 화웨이의 고품질 10Gbps 캠퍼스 네트워크 솔루션은 홍콩대학교에 무선 경험 업그레이드, 애플리케이션 경험 업그레이드, O&M 경험 업그레이드란 세 유형의 업그레이드 경험을 선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이 솔루션은 다양한 캠퍼스 요구를 충족하는 동시에 데이터 보안을 보장하여 궁극적으로 새로운 네트워크 경험을 맛보게 해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술 혁신은 다양한 네트워크의 요구를 충족시켜 캠퍼스 네트워크 경험을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올린다. 디지털 시대가 도래하면서 온라인 시험, 라이브 수업, 강의, 행사 등은 현대 캠퍼스 네트워크에 더 높은 성능을 요구하고 있다. 스마트 교실 시나리오에서 핵심 순위는 교실에서 항상 최적의 교육 경험을 보장하는 것이다. 화웨이의 고품질 10Gbps 캠퍼스 네트워크 솔루션은 이러한 요구를 충족할 수 있다. 이 솔루션은 최첨단 와이파이 7 기술을 통해 스마트 교실에서 4K/8K HD 대화형 교육에 필요한 네트워크 대역폭을 크게 증가시킨다. 주요 교육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식별하고 우선 순위를 정하는 애플리케이션 보증(application assurance)뿐 아니라 애플리케이션 품질 가시성, 기타 강력한 기능을 제공하여 교육 애플리케이션에서 우수한 경험을 보장한다. 역사적 랜드마크이자 중요한 활동 센터인 로크 유 홀과 도서관과 스터디룸에 배치된 화웨이의 최신 와이파이 7 AP는 중앙 집중화된 온라인 시험과 축하 행사 피크 시간 동안 네트워크를 원활하게 연결한다. 이번 협력은 미래의 더 스마트한 교육과 더 스마트한 캠퍼스 연결로 향하는 데 중요한 이정표이자 실천 계획이다. 제이슨 허 부서장은 "화웨이는 앞으로 홍콩대학교와 파트너십을 이어가며 고품질 교육 환경을 조성하고, 홍콩대학교가 글로벌 고등 교육 분야에서 선도적 위치를 확고히 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며 "이번 협력은 홍콩의 다른 대학이 디지털 교육 여정을 시작하는 데 훌륭한 본보기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베이징 2024년 12월 19일 / 2024 베이징 공공 민원 신속 처리 포럼(2024 Beijing Forum on Swift Response to Public Complaints)이 18일, 베이징 국가컨벤션 센터에서 개막했다. 포럼 상시 주제는 '시민의 도시, 더 나은 미래(People's City, Better Future)'이며, 2024년 연간 주제는 '시민 중심의 도시 거버넌스 현대화(Modernizing for People-centered Urban Governance)'이다. 포럼은 개회식을 시작으로 메인 포럼, 6개의 병렬 세션, 다큐멘터리 'Approaching 12345' 상영, 다양한 부대 행사를 거행한다. 개막식에서는 베이징 공공 민원 신속 처리 연구 보고서(2024), 도시 거버넌스 혁신 사례집(2024), 전 세계 도시 핫라인 서비스 및 거버넌스 효과 평가 보고서(2024) 등 포럼의 주요 연구 성과를 공개했다. 포럼은 중국 사회과학원(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 중국 미디어 그룹(CMG), 중국공산당 베이징시 위원회(CPC Beijing Municipal Committee), 베이징시 인민정부(People's Government of Beijing Municipality) 후원으로 개최한다. 국제 학술 저널인 '비교 정책 분석 저널: 연구와 실천(JCPA)'이 공동 주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