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부다비, 아랍에미리트 2024년 12월 20일 / 아부다비의 선도적인 국제 금융 센터이자 자산, 웰스 매니지먼트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인정 받는 허브인 ADGM이 ADFW 제3회 행사에서 글로벌 금융 기관의 주요 발표 사항 19개를 공개했다. 이 발표는 약 6,350억 달러 규모의 관리 자산(Assets Under Management, AUM)를 나타내며, ADGM에 진출한 세계 최대 자산 관리사인 블랙록(BlackRock), PGIM, 누빈(Nuveen)의 4분기 발표에 이어 나왔다. 1년 만에 4,500억 달러에서 6,350억 달러로 규모가 눈에 띄게 증가하면서 ADGM은 지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자산 관리 허브이자 세계에서 가장 역동적인 자산 관리 관할권으로 명성을 강화했다. 이러한 성장은 영국의 사업가 아시프 아지즈(Asif Aziz), 저명한 자선가이자 금융 전략자인 와픽 세이드(Wafic Said), 싱가포르의 기업가이자 부동산 리더인 키신 RK(Kishin RK) 등 억만장자가 이끄는 패밀리 오피스의 설립으로 강화되었다. 이는 ADGM이 글로벌 자산 관리 허브로서 매력을 확고히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아부다비의 ADGM의 지속적인 발전에 대해 아부다비 행정위원회 의원이자 경제개발부(Abu Dhabi Department of Economic Development, ADDED) 장관인 아흐메드 자심 알 자아비(H.E. Ahmed Jasim Al Zaabi)는 "이러한 주요 성과는 아부다비를 특별하게 만드는 진전, 파트너십, 가능성에 대한 공유 비전이라는 핵심을 반영한다"며 "ADGM을 선택하는 글로벌 금융 리더와 혁신가 수 증가는 우리의 인프라, 견고한 규제, 우수성에 대한 헌신 그리고 아부다비가 자산 관리 분야에서 세계에서 가장 안전하고 역동적인 관할권이라는 명성을 증명한다"고 말했다. 이어서 그는 "이러한 새로운 파트너십을 환영하며 '팰컨 경제(Falcon Economy)'의 성장과 다각화를 추진하고 산업과 국경을 초월하는 기회를 창출하는 데 전념할 것"이라며 "이는 아부다비 ADGM과 이 특별한 여정의 일원이 된 모든 이에게 기쁜 순간"이라고 전했다. 블랙록의 회장 겸 CEO인 래리 핑크(Larry Fink)는 "아부다비가 경제로서 어떻게 성장해왔는지 지켜보는 것은 긴 여정이었다"라며 "경제와 리더십 측면에서 현재 보고 있는 것은 아부다비의 지속적 혁신"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한 "아부다비는 앞으로 20년간 리더로 자리매김할 준비를 마쳤다"며 "그들의 사고 방식은 달랐고 이제는 기회 중심지로서 꽃을 피우고 있다. 이런 강점을 바탕으로 혁신 토대가 되어가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ADFW 이틀째에 제너럴 아틀란틱(General Atlantic)의 CEO 겸 회장인 빌 포드(Bill Ford)는 "이 지역에서 진정한 기업가 정신이 성장하고 있으며, 중동이 차세대 기업가의 중심지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라며 "전에도 이런 일이 일어나는 것을 지켜본 적이 있으며 항상 기업가 정신 측면에서 떠오르는 분야에 주목해왔다"라고 말했다. 마샬 웨이스 (Marshall Wace)의 회장 겸 최고투자책임자인 폴 마샬(Sir Paul Marshall)은 "아부다비는 멋진 곳이고 임무를 완벽하게 해내고 있다"고 전했다. ADFW에서 ADGM 진출을 공식적으로 발표한 주요 기업은 사모펀드 회사인 제너럴 아틀란틱, 론 스타 펀드(Lone Star Funds), 인베스틴더스트리얼(Investindustrial)을 비롯해 사모 신용 대출의 거대 기업인 골럽 캐피탈(Golub Capital)과 폴렌 캐피탈(Polen Capital), 보험 관리 기업 엘드리지(Eldridge), 글로벌 주식 관리 회사 카르타(Carta), 헤지펀드 마샬 웨이스 등이다. 최근 글로벌 금융 기관의 진출은 세계 최고의 투자 회사를 유치하는 데 ADGM이 발휘하는 리더십을 보여준다. 이러한 신뢰와 성장을 반영하여 억만장자가 이끄는 패밀리 오피스도 ADGM에 매력을 느끼며 자산 관리와 성장의 신뢰할 수 있는 허브로 인식하고 있다. 크라이테리언 캐피탈 (Criterion Capital)의 창립자 겸 CEO인 아시프 아지즈는 "아부다비의 글로벌 금융 강국으로 변모한 것은 운영하는 데 바람직한 기반을 제공한다"라며 "세계적인 수준의 ADGM 인프라와 전략적 위치는 아랍에미리트 전역과 그 외 지역에서 성장 목표에 부합하는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좋은 기회를 제공한다"고 말했다. 글로벌 투자자와 자산 관리자의 주요 목적지로서 역할을 기반으로 ADGM은 디지털 생태계를 발전하여 금융 혁신을 재정의하고 있다. 최초의 국제 증권 시장이자 사모 증권 생태계인 핀스트리트(Finstreet)의 출범으로, ADGM은 최첨단 디지털 솔루션과 탄탄한 금융 인프라를 통합하려는 의지를 보여준다. ADFW에서는 테미스(Themis)에 대한 새로운 펀딩 라운드와 함께 국제 디지털 선도 기업인 조디아 마켓(Zodia Markets), 폴리곤 랩스(Polygon Labs), FJ 랩스(FJ Labs), 압토스 디지털(Aptos Digital), 체인링크(Chainlinks), 아스트라 테크(Astra Tech), 테미스(Themis)의 진출이 이어지며 아랍에미리트가 가진 글로벌 혁신 허브로서 명성이 공고해졌다. 핀테크(FinTech) 기업 아스트라 테크의 퀀틱스(Quantix)는 자사의 캐시나우(CashNow) 소비자 대출 플랫폼 확장을 위한 자금으로 활용하기 위해 현재까지 아랍에미리트 핀테크 기업에 제공된 자금 중 가장 큰 규모인 시티그룹(Citigroup)에서 5억 달러 규모의 자금 조달을 발표했다. 금융 범죄 예방 기술로 잘 알려진 테미스는 글로벌 리더와 파트너십 성공을 바탕으로 9,750만 달러 이상의 확장 자금을 확보했다. 특히, ADGM과 협력을 통해 금융 범죄 예방과 혁신적인 규제 환경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강조하며 ADGM의 금융 기술 차세대 허브로서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이번 시장 발표는 '자본 수도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Welcome to the Capital of Capital)'이라는 주제로 열린 세 번째 ADFW에서 나왔다. 이 행사에는 총 자산 관리 규모 42조 달러 이상에 달하는 금융 서비스 업계의 리더와 임원 2만 명 이상이 참석했다.
뉴욕 2024년 12월 21일 / 차드는 전 세계 최빈국이다. 전체 인구의 3분의 1 이상이 인도주의 지원이 필요하다. 이웃 나라 수단의 전쟁, 공동체 분쟁, 기후 변화와 기타 문제로 강제 이주가 다수 발생하고 수백만 명에 이르는 학생이 교육을 받지 못한다. 심화되는 이런 위기에 대응하여 '교육은 기다릴 수 없다(Education Can't Wait, ECW)'와 파트너는 21일, 차드 다년 회복 프로그램을 확대하여 피해를 본 약 66,000명의 아동과 청소년에게 2천만 달러의 원조를 발표했다. 이 원조 자금은 차드 정부와 다수의 국내외 파트너 협력을 통해 유니세프가 전달한다. 차드에 대한 ECW 지원금은 이제 6천 1백만 달러를 넘어섰으며, 양질의 교육만이 제공할 수 있는 안전, 희망, 기회와 함께 88만 명 이상의 아동에게 전달되었다. ECW의 촉진 원조 자금은 교육 분야에 2,820만 달러를 요구하는 차드 인도주의 대응 계획에 크게 기여한다. 전체적으로 이 인도주의 요구의 50%는 여전히 미충족 상태이다. 긴급 상황과 장기적인 위기에 처한 교육을 위한 유엔 산하 기금인 '교육은 기다릴 수 없다'의 이그제큐티브 디렉터 야스민 셰리프(Yasmine Sherif)는 "차드는 난민에게 국경을 개방했으며 난민 아동을 교육 시스템에 받아 들이고 있다"면서 "이는 난민 보호에 대한 빛나는 사례이다. 현재 필요한 자원은 쓸 수 있는 자원보다 훨씬 많다. 우리는 차드가 난민과 연대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서 그는 "더 많은 재정 자원이 필요하며, 공공과 민간 분야는 각자 몫을 기여해야 한다"며 "상당한 추가 자금을 통해 차드에서 난민 아동과 청소년은 물론 교사에게 안전하고 질 좋은 학습 환경에 접근할 수 있다. 이는 난민 교육에 필수적인 투자이자 글로벌 난민 포럼(Global Refugee Forum)에서 우리가 한 약속을 실현하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차드의 국가 교육 및 시민 발전부 마마도우 가나 보우카르(Mamadou Gana Boukar) 장관은 "교육 분야가 전반적으로 직면한 과제는 심각하다"며 "본 다년 회복 프로그램의 지원은 차드의 긴급한 교육 니즈를 충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서 "이러한 지원은 눈 앞에 닥친 교육 위기를 해결할 뿐 아니라 영향을 받은 지방의 사회 경제 발전에도 간접 기여한다"며 "차드의 긴급한 교육 상황을 지원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는 '교육은 기다릴 수 없다'에 감사하며, 긴급한 교육 니즈를 해결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지원해줄 것을 요청한다"고 덧붙였다. 차드는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난민을 받아 들이는 나라이다. 차드에는 총 170만 명 이상의 강제 이주자가 있으며, 이 중 120만 명은 난민이다. 강제 이주, 식량과 영양 불안정, 열악한 보건 상태, 기후 위험의 영향을 받고 있다. 이는 전쟁을 피해 탈출한 수단 난민과 중앙아프리카공화국과 카메룬에서 돌아온 난민의 대규모 유입과 함께 차드에 부담을 주고, 보편 교육을 보장하기 위한 진전을 막는다. 약 320만 명의 아동과 청소년이 학교에 가지 못하고 있다. 학교 교육의 질이 뒤 처지는 경우가 많고, 아동은 학비가 비싸 학교에 다니지 못하며, 기후 변화로 악천후가 더욱 심화하면서 통학이 어렵게 되는 경우가 많다. 유니세프 차드 대표 대행 마르셀 우아타라(Marcel Ouattara) 박사는 "유니세프는 차드의 복합적인 위기로 피해를 본 학령기 아동을 변함없이 지원해 준 '교육은 기다릴 수 없다'에 감사하다"며 "본 다년 회복 프로그램 두 번째 단계 목표는 포용적이고 질 높은 교육에 접근을 보장하는 일이다"라고 밝혔다. 이어서 그는 "이 프로그램은 향후 몇 년 간 오우아다이와 로고네 오리엔탈 주에서 생기는 문제에 직면한 교육 시스템의 회복력을 강화한다"며 "우리가 힘을 합치면 차드 아동의 삶을 변화시키고 밝은 미래를 구축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촉진 투자의 대상인 66,600명의 아동 중에 40% 이상은 난민이다. 이 프로그램은 1,500명 이상의 교사를 대상으로 갈등과 위험 축소, 정신 건강과 심리사회적 지원, 교육학 강의를 할 예정이다. 이 프로그램은 아동에게 시민 등록증 교부, 취약 소녀 지원, 장애 아동을 위한 맞춤형 교육 경로 제공 등에서도 중요한 진전을 이루었다. '교육은 기다릴 수 없다(ECW)'는 긴급 상황과 장기적인 위기에 처한 교육을 위한 유엔 산하의 전 세계 기금이다. 아무도 뒤처지지 않도록 난민, 국내 강제 이주자와 기타 위기로 피해를 본 소년 소녀에게 양질의 교육을 한다. ECW는 다자간 시스템을 통해 위기 상황에 대응하는 속도를 높이고 다년 프로그램을 통해 즉각적인 구호와 장기적인 개입을 연결할 수 있도록 노력한다. ECW는 정부, 공공과 민간 기부자, 유엔 기관, 시민 사회 단체와 기타 인도주의, 개발 구호 행동가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효율을 높이고 단독 대응 방식을 끝내기 위해 노력한다.
포트 루이스, 모리셔스 2024년 12월 21일 / 엘리트 와이즈(모리셔스) 산하 혁신적 금융 서비스 기업 핀프라임(FinPrime)이 최근 2024 국제 비즈니스 매거진 어워드(International Business Magazine Awards)에서 최고 유동성 제공업체(Best Liquidity Provider), 최고 리스크 관리(Best Risk Management), 최고 유동성 솔루션 제공업체(Best Liquidity Solutions Provider), 최고 기술 파트너(Best Technology Partner) 상을 수상했다. 핀프라임은 글로벌 기관 고객에 탁월한 프라임 브로커리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한 결과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번 수상으로 핀프라임은 서비스 우수성을 보여줬을 뿐 아니라 치열한 경쟁 속에서 끊임없이 더 나은 서비스를 개발하고 혁신하려는 회사 노력을 증명했다. 모리셔스 금융서비스위원회(FSC)의 규제를 받는 투자 딜러인 핀프라임은 글로벌 금융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하며 신뢰받는 선두 기업이 되었다. 핀프라임이 받은 최우수 유동성 공급자상은 풍부한 유동성을 통해 원활한 거래 환경을 제공하고, 고객이 큰 신뢰를 바탕으로 투자 전략을 실행할 수 있도록 헌신한 결과다. 이는 기관 투자자를 위한 견고한 거래 환경 구축에 힘써온 핀프라임의 노력의 결실이기도 하다. 금융 부문 최고 리스크 관리 부문 수상은 핀프라임이 고객 자산 보호를 위해 애쓰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핀프라임은 혁신적인 리스크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여 고객이 복잡한 금융 시장에서 위험에 최대한 노출되지 않고 안정적인 투자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최고의 유동성 솔루션 제공업체로 인정 받은 핀프라임은 기관 투자자의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요구에 따라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거래 실행을 최적화하고 고객 맞춤형 유동성 조건을 제공해 고객이 경쟁이 심화되는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최고의 기술 파트너로 선정된 것은 핀프라임이 첨단 기술을 활용해 고객 경험을 극대화하는 데 집중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핀프라임은 최첨단 거래 플랫폼과 혁신적인 도구로 고객이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번 수상은 핀프라임의 성장 과정에서 중요한 이정표가 됐으며, 지속적인 개선과 혁신을 향한 노력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줬다. 핀프라임은 이러한 성과를 발판 삼아 기관 고객을 위한 서비스를 더욱 확대할 계획이다. 핀프라임 최고경영자(CEO)는 "국제 비즈니스 매거진에서 수상하게 돼 매우 영광스럽다. 프라임 브로커리지 서비스 분야에서 최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해 온 결과라고 생각한다. 이번 수상은 우리가 혁신을 거듭하고 기관 투자자의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더 큰 동기를 부여한다. 함께 노력한다면 끊임없이 변화하는 시장에서 큰 성공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핀프라임은 글로벌 프라임 브로커로서 기관 투자자가 역동적인 금융 시장에서 성공적으로 활약하는 데 필요한 도구와 전문성을 제공한다. 탁월한 유동성, 최첨단 트레이딩 플랫폼, 정교한 리스크 관리 솔루션을 포함한 종합적인 서비스는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고객 요구를 충족하도록 설계되었다.
샤먼, 중국 2024년 12월 21일 / 디지털 지능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솔루션 전문 기업인 안타이솔라(Antaisolar)가 첫 번째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보고서를 공식 발표했다. 지속 가능한 발전 약속을 이행하기 위한 중대한 발걸음으로 평가되는 이 보고서에는 최근 발표한 지속 가능한 개발 전략인 '레이즈(RAISE)'를 중심으로 안타이솔라의 ESG 비전과 성과와 목표를 정리했다. 회사가 표방하는 슬로건인 '친환경 세상을 만들다(RAISE a Green World)'와 맥을 같이하는 레이즈 전략은 ▲견고성(Robustness) ▲발전(Advancement) ▲포용성(Inclusiveness) ▲공생(Symbiosis) ▲참여(Engagement)라는 다섯 가지 핵심 축을 중심으로 구축됐다. 안타이솔라는 ▲탄소 배출 ▲재활용 재료 ▲중금속 ▲재생수 ▲재활용 가능한 포장재 ▲공장 운영에 사용되는 전기차 등과 관련해 향후 5년 간 명확한 환경 목표를 설정했다. 안타이솔라는 2025년까지 운영 분야의 탄소 중립을 100% 달성하고, 2028년까지 생산 분야의 탄소 중립을 80% 이뤄낼 계획이다. 이러한 야심 찬 목표에는 지속 가능한 개발을 향한 안타이솔라의 강력한 의지를 반영한다. 안타이솔라는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해 상당한 노력을 기울인 결과 그만큼 ESG 차원에서 유의미한 진전을 이뤄냈다. 안타이솔라는 모든 운영 과정에서 자원 효율성과 재활용을 향상하기 위해 순환 경제 원칙을 준수한다. 이를 위해 ISO 14001 환경 관리 시스템을 100% 구현했으며, 글로벌 폐수와 배기 가스 배출 기준을 준수하고 있다. 또한 공장 옥상에 태양광 발전 시설을 구축해 478.74MWh의 전기를 생산하고 있으며, 알루미늄과 탄소강 같은 고형 폐기물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재활용하고 있다. 안타이솔라는 연구개발(R&D)에 3830만 위안을 투자했으며, 99명의 R&D 전문가를 확보하고 있다. 회사 매출의 3.35%를 제품 재료, 구조, 지능형 알고리즘 혁신에 투자하고 있다. 직원의 다양성을 중시한 결과 여성 직원 비율은 47%에 달하며, 43만 위안을 투자해 직원 한 명 당 평균 28시간의 기술 개발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안타이솔라는 환경과 윤리적 관행을 지키기 위한 강력한 의지를 바탕으로 제품 개발과 품질 보증을 중시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 덕분에 2023년 ECOVADIS 브론즈 어워드를 수상하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리더십을 인정 받았다. 자스민 황(Jasmine Huang) 안타이솔라 CEO는 "지속 가능한 발전은 단순히 하나의 목표가 아니라 미래 세대에 대한 책임이자 약속"이라고 말했다. 안타이솔라 ESG 보고서는 비즈니스 성공을 환경 관리, 사회적 책임, 지배구조와 연계하려는 노력 끝에 탄생했다. 이러한 노력을 바탕으로 안타이솔라는 재생 에너지 분야에서 리더십을 유지할 수 있는 강력한 기반을 마련했다.
청두, 중국 2024년 12월 21일 / 2024년 12월 17일부터 22일까지 청두 우허우구에서 중국 문학 예술계 연합회(China Federation of Literary and Art Circles, CFLAC)의 후원으로 쓰촨성 문학 예술계 연합회(Sichuan Provincial Federation of Literary and Art Circles)와 청두 문학 예술계 연합회(Chengdu Federation of Literary and Art Circles)가 주최하는 '새로운 문학 및 예술, 새로운 관점(New Literature & Art o New Perspectives)' 전시회가 열렸다. 이 행사에서는 중국 문학 예술계 연합회 '문학과 예술의 두 새로운 힘('Two New Forces in Literature and Art)' 클러스터 지역 실습 기지의 서예, 회화, 사진 작품을 전시한 초대전이 눈길을 끌었다. 이 전시회는 전국 23개의 예술 워크숍과 스튜디오에서 출품된 200점의 뛰어난 작품을 선보였으며, 선정된 각 작품은 '문학과 예술의 두 새로운 힘' 창작물의 역동성과 다양성을 강조했다. 전시는 각 아티스트의 개성 있는 작품을 한 점씩 선보이며 창의성과 표현의 다양성을 그대로 드러내 보이도록 세심하게 큐레이팅했다. 서예, 회화, 사진 작품 부문으로 나뉘어 진행됐다. 특히 제14회 중국 사진 황금 이미지상(China Photography Golden Image Award)을 수상한 저장성 출신의 쉬슈카이(Xu Shukai)의 작품 두 점이 전시됐다. 쓰촨성 민족 문화 시각 예술 협회(Sichuan Ethnic Cultures Visual Art Association) 회원인 추이종시(Cui Zongxi)는 2024년 3월 28일 메이산시 타이허진 융펑촌 마을 주민이 논에 모판을 깔고 있는 모습을 담은 인상적인 사진을 전시했다. 아침 햇살 아래 황금빛 벽돌처럼 반짝이는 모판을 담은 이 사진은 민족 문화, 농촌 활성화, 생태 의식을 주제로 한 협회의 우수 작품 10선 중 하나다. 이번 전시회에는 1950년대 출생자부터 Z세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연령대의 예술가가 참여해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재능을 폭넓게 선보였다. 전시된 작품은 예술계 내에서 새로운 목소리와 관점의 출현을 부각하며 현대 미술의 활발한 세대 간 교류를 강조했다. 지난 10년 동안 '문학과 예술의 두 새로운 힘'은 중국 문학과 예술 지형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들의 독특한 관점과 혁신적인 표현은 전통 예술 형식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었다. 서예, 회화, 사진으로 구성된 이번 초대전은 중국 전역에서 이러한 역동적인 힘을 개발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다.
하노이, 베트남 2024년 12월 21일 / 12월 20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비엣텔 하이테크(Viettel High Tech, VHT)가 아랍에미리트의 하이 클라우드 테크놀로지스(High Cloud Technologies, HCT)와 중동 시장에 5G 시스템을 공급하는 100만 달러 이상의 계약을 체결했다. 이 계약은 비엣텔 하이테크와 중동 지역의 선도 기업이자 5G 상용 네트워크를 개척하고 있는 하이 클라우드 테크놀로지스 간 전략적 파트너십을 의미한다. HCT는 MTN, MCI, Du, STC, Etisalat 등 최고 수준의 통신 사업자가 신뢰하는 파트너이다. 이 계약에 따라 비엣텔 하이테크는 NSA(비독립형, Non-Standalone) 기술을 사용하는 4G와 5G 기지국을 하이 클라우드 테크놀로지스에 제공한다. 비엣텔 하이테크는 클라우드 기반 핵심 네트워크 인프라도 공급할 예정이다. 이러한 성과는 코어 네트워크부터 액세스 네트워크에 이르는 엔드 투 엔드 기술에 대한 VHT의 높은 전문성 덕분에 가능했다. 하이 클라우드 테크놀로지스는 비엣텔 하이테크가 개발, 제조한 통신 솔루션과 장비를 구현하여 중동의 주요 통신 사업자와 상용 계약을 이행하고 5G 시험을 수행할 예정이다. 목표는 VHT 제품의 신뢰성과 효율성을 입증하는 것이다. 비엣텔 하이테크 제품은 다른 공급업체보다 뛰어난 품질과 비용 효율로 인정 받고 있다. 이를 통해 하이 클라우드 테크놀로지스는 UAE와 중동의 다른 지역, 특히 교외, 농촌 지역에서 통신 범위를 확장할 수 있게 됐다. 이번 협력은 이러한 지역의 교육과 사회 생활 수준을 향상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이 파트너십을 통해 HCT는 리더십 입지를 강화하고 잠재 고객과 협력 기회를 확보하여 중동 지역 통신 산업을 개척할 계획이다. 비엣텔 하이테크는 2017년부터 4G 기술 연구, 개발에 매진해 왔다. 2019년에는 5G 개발에 착수했으며, 2024년까지 핵심 네트워크부터 5G 기지국에 이르기까지 5G 기술을 상용화할 준비를 마쳤다. UAE 계약은 비엣텔의 중동 지역 첫 번째 주요 통신 프로젝트다. 응우옌 부 하(Nguyen Vu Ha) 비엣텔 하이테크 최고경영자(CEO)는 "비엣텔의 4G와 5G 제품은 국제 표준을 준수한다"며 "맞춤형 기능이나 주파수 조정이 필요한 시장의 경우, 코어 네트워크부터 액세스 네트워크에 이르는 기술에 대한 완전한 소유권을 통해 이러한 요구를 쉽게 충족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서명식에서 살라 알리(Salah Ali) 하이 클라우드 테크놀로지스 최고경영자(CEO)는 "비엣텔 하이테크 제품의 가장 큰 특징은 개방성과 유연성"이라며 "이를 통해 통신 사업자와 파트너십을 촉진하고 새로운 시장에 접근할 수 있는 능력을 확장할 수 있다. HCT는 비엣텔 하이테크와 협력을 통해 시장 리더십을 강화하고 새로운 고객과 기회를 모색하며, 중동의 통신 미래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홍콩 2024년 12월 21일 / 홍콩 영화 배우 저우룬파(주윤발)는 뛰어난 연기력과 스크린에서 강렬한 존재감뿐 아니라 사진에 대한 열정으로 유명하다. 저우룬파가 이번에는 카메라 뒤에서 사진 작가로서 스포트라이트를 받으며, 홍콩에 깊은 애정이 담긴 매력적인 자선 전시회 '홍콩 모닝(Hong KongㆍMorning)'을 개최한다. 일시와 장소는 2024년 12월 18일부터 2025년 1월 2일까지 하버시티 오션 터미널(Ocean Terminal) 메인홀이다. 전시회에선 도시의 아침 햇살 속에서 저우룬파가 촬영한 사진 작품 30점이 전시한다. 중심 작품인 '무제(Untitled)'는 카메라 렌즈를 통해 멋진 조명 아래 아름다운 빅토리아 항구의 모습을 그려내며 매혹적인 풍경에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전시회는 '홍콩', '광저우', '아침' 세 개 섹션으로 세심하게 나뉘어 개최된다. 꽃 사진, 거리 풍경, 독특한 '셀피' 시리즈라는 뚜렷한 테마를 특징으로 하는 각 섹션은 삶의 미묘한 디테일에 대한 저우룬파의 예리한 시각을 공유할 수 있도록 관람객을 초대한다. 저우룬파의 홍콩에 대한 깊은 애정은 그의 헌신적인 자선 활동을 통해서도 드러난다. 전시 작품의 한정판 인쇄본 판매 수익금은 필수 비용을 제외하고 모두 지역 자선 단체에 기부한다. 개막식에서 저우룬파가 직접 참가해 자신이 영감을 받은 콘셉트와 그 뒤에 숨겨진 이야기를 관객과 공유했다. 하버시티 에스테이트 유한회사(Harbour City Estates Limited)는 저우룬파의 지원에 진심 어린 감사를 표하고, 자선 활동에 더 많은 사람의 참여를 장려하기 위해 '무제'를 30만 홍콩 달러에 구입했다.
샌프란시스코 2024년 12월 22일 / 임풀스(Empuls, 구 조조데이- Xoxoday)가 직원 목소리(VoE) 솔루션 분야 2024 가트너 마켓 가이드에 2년 연속 수록되었다. 가트너는 "우리는 이번 수록이 이 플랫폼의 글로벌 위상 확대, AI 기반 직원 참여 솔루션의 발전, 기업이 직면한 복합적인 참여 문제 해결을 부각했다고 생각한다"며 "직원 감정을 측정하고 직원 경험의 개선 조치를 취하는 것은 많은 기업에게 어려운 과제이다. 직원이 참여하는 설문 조사와 기타 지속적인 청취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인사 책임자는 이 가이드를 활용하여 새로운 트렌드(생성형 AI 이용 사례 포함)와 가용 솔루션을 추적할 수 있다"고 말했다. 임풀스는 AI를 동사 플랫폼의 핵심 기능으로 통합했으며. 정교한 자연어 처리(NLP)와 머신 러닝 기술을 활용해 왔다. 이 플랫폼은 첨단 데이터 요약, 스토리텔링과 추천 생성을 위해 생성형 AI를 적용하여 직원 경험을 관리하는 새로운 표준을 설정한다. 조조데이 CMO 쿠샬 아그라왈(Kushal Agrawal)은 "가트너 인정을 받아 AI 기반 직원 참여에 대한 우리의 접근 방식과 북미 시장으로의 확장이 검증되었다"며 "전 세계 조직이 직원 경험을 측정하고 개선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임풀스는 직원 피드백과 인식의 간격을 해소하고 미국 기업의 복합적인 참여 니즈를 해결하는 최첨단 기술과 전문 서비스의 독특한 조합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임풀스는 조조데이 제품이다. 조조데이는 '보상, 인센티브와 로열티' 프로그램을 디지털화하기 위해 설계된 종합 제품군을 공급하는 선도적인 SaaS 제공업체이다. 이 맞춤형 솔루션은 고객, 인플루언서, 업계 파트너, 영업팀, 직원, 임시 종업원, 애프터서비스 직원 등을 대상으로 한다. 스타트업에서부터 포춘 500대 기업에 이르기까지 4개 대륙 5천개 이상의 기업에서 신뢰를 받는 조조데이는 전 세계에 9개의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고 매달 100개 이상의 신규 고객을 확보하고 있다.
충북도는 20일, 증평 벨포레 리조트에서 '2024년 충청북도 광역 이동 지원 센터 성과 보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성과 보고회에는 충청북도 특별 교통 수단 종사자와 관계 공무원 등 30여 명이 참석했으며 2024년 광역 이동 지원 센터 운영 성과와 2025년부터 새롭게 달라지는 제도와 시스템을 안내 받고 특별 교통 수단 운영 개선을 위한 건의 사항 등을 청취하는 순으로 진행했다. 충청북도 광역 이동 지원 센터는 지난 5월 출범 후 이용자가 10,367명 증가했으며, 특별 교통 수단 차량을 총 467,482회 이용했으며 배차 신청 후 승차까지 평균 17.6분이 들어 전년 대비 3분 정도 단축되었다고 보고했다. 충북도 관계자는 '25년에는 운전원 추가 확보 지원을 통해 승차 대기 시간을 단축하고 특별 교통 수단 종사자(운전원, 상담원, 관계자) 교육을 통해 인식을 개선하고 전문성을 강화하여, 이용자 만족도를 제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충북도에서 위탁 받아 운영 중인 충청북도 광역 이동 지원 센터는 금년 5월부터 11개 시·군 특별 교통 수단 차량에 배차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으며, 통합 콜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런던 2024년 12월 20일 / 지속 가능한 농업 솔루션의 세계적인 공급 업체 UPL Ltd. (NSE: UPL)는 2024년 다우존스 지속가능성 지수(DJSI)에서 2년 연속 최고의 농화학 회사로 선정되었다. 점수는 화학 업계에서는 네 번째로 높다. 이는 UPL이 2년 연속 DJSI 월드와 이머징 마켓 지수에 포함되어 지속 가능 성과가 업계 최고 수준임을 증명한다. UPL이 DJSI에서 인정 받은 것은 S&P 글로벌 2024 기업 지속가능성 평가에서 농화학 부문 최고 점수를 획득한 성적이 바탕이 되었다. DJSI는 기업의 환경, 사회, 거버넌스(ESG) 성과를 평가하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벤치마크이다. DJSI 월드 인덱스는 각 산업 분야에서 세계 최고 기업 중에 상위 10%를 부각하여 지속 가능한 발전을 촉진하려는 기업 노력을 반영한다. DJSI 이머징 마켓 지수는 신흥 시장에서 가장 큰 800개 회사 중 ESG를 우수하게 실천한 상위 10%를 선정한다. UPL 그룹의 회장 겸 그룹 CEO인 제이 슈로프(Jai Shroff)는 "UPL은 농업이 전 세계 지속가능성 활동의 핵심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DJSI에서 우리 부문을 2년 연속으로 선도하여 자랑스럽다"면서 "이번 선정은 농업이 농민을 지원하고, 식량 안보를 강화하며, 지속 가능한 발전을 촉진하고, 모두를 위한 밝은 미래를 만드는 선한 힘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줘 지속 가능성을 재상상한다는 다짐을 재확인해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UPL은 이번에 우수한 지속가능성 등급을 획득하여 전 세계 최고의 성과를 올린 기업으로 자리잡았다. 이번 선정은 UPL이 전 세계 사업 운영을 통해 지속가능성 실천을 선도하고 장기적인 주주 가치를 우선으로 하는 투자자를 위해 동종 최고의 벤치마크에 부합하겠다는 노력의 증거이다. UPL Ltd.는 전체 농식품 가치 사슬을 아우르는 지속 가능한 농산물과 솔루션 전 세계 최고의 공급 업체이다. 연간 매출이 50억 달러를 초과하며 130개 국 이상의 재배 농민에게 서비스하는 전 세계 최대의 농업 회사이다. UPL 그룹은 UPL 코퍼레이션(UPL Corporation Ltd.), UPL 서스테이너블 애그리 솔루션즈(UPL Sustainable Agri Solutions Ltd.), 어드밴타 엔터프라이지스(Advanta Enterprises Ltd.), 슈퍼폼 케미스트리스(Superform Chemistries Ltd.) 등 네 개 전업 플랫폼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플랫폼은 모두 혁신적 오픈애그(OpenAg®) 방식을 통해 식품 시스템의 지속가능성을 재상상하고 발전을 촉진하는 데 기여한다. UPL 코퍼레이션은 지속 가능한 농업과 재배 농민을 우선으로 미래를 정의하는 세계적인 작물 보호, 바이오 솔루션 회사이다. 견고한 종합 솔루션 포트폴리오를 갖춘 UPL 코퍼레이션은 농사 커뮤니티와 농업, 지구를 위하여 공동 성장과 번영을 이루는 것을 목표로 한다. UPL 그룹의 전업 플랫폼 중에 최대인 UPL 코퍼레이션은 연 매출 약 40억 달러를 기록하고 있으며 작물의 건강과 생산성을 제고하는 첨단 기술 개발을 위해 오픈애그®를 통한 협력을 촉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