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저우, 중국 2024년 11월 1일 / 제52회 중국 광저우 국제가구박람회(이하 CIFF 광저우)가 2025년 3월, 광저우 캔톤 페어 콤플렉스와 PTWC 엑스포에서 열린다. 가구 산업을 위한 최고의 글로벌 플랫폼으로 명성이 자자한 CIFF 광저우는 전문가에게 최신 디자인과 혁신과 비즈니스 기회를 모색할 수 있는 전략적 무대를 제공한다. 국제 전시업체와 방문객의 기록적인 참여로 큰 성공을 거둔 2024년 박람회를 기반으로 2025년 박람회는 글로벌 시장에 더 많은 성장 기회와 새로운 관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디자인 트렌드, 글로벌 무역, 전체 공급망(Design trend, global trade, full supply chain)'을 모토로 열리는 제 52회 CIFF 광저우에서는 일류 기업이 모여, 진화하는 시장 요구에 맞는 혁신적 제품과 솔루션을 선보일 예정이다. 8일 간 열리는 이번 행사는 디자인 쇼케이스, 기업 간(B2B) 미팅, 매치메이킹 활동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이니셔티브는 연중 내내 온라인에서도 계속 펼쳐진다. 2025년 CIFF 광저우는 2단계에 걸쳐 가구 산업 전반을 아우르는 행사이다. 2025년 3월 18일부터 21일까지 예정된
윤석열 대통령은 30일, 경북 울진 신한울 원전 부지에서 원전 산업 관계자와 지역민, 원자력 전공 학생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신한울 원전 1·2호기 종합준공 및 3·4호기 착공식’에 참석해 관계자를 격려했다. 윤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인 2021년 12월 신한울 원전 건설 현장을 방문해 탈원전 정책에서 벗어나 원전 정책을 정상화할 것을 선언했다. 신한울 1·2호기는 이후 첫 번째 종합 준공하는 원전이며, 3·4호기는 첫 번째 착공하는 원전이다. 신한울 1·2호기는 경상북도가 1년간 사용하는 전력의 약 절반에 해당하는 고품질 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세계 최고 수준의 원전이다. 이번 1·2호기 준공으로 한울원자력본부는 총 8기의 원전을 운영하는 국내 최대 발전 단지가 되었다. 신한울 3·4호기는 발전 사업 허가까지 받은 상황에서, 지난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2017년부터 5년 간 건설이 중단되었다. 윤 대통령은 대선 당시 이곳을 찾아 당선되면 신한울 3·4호기 건설을 즉시 재개하겠다고 약속했다. 윤 정부 출범 이후 원전 업계, 정부, 지자체가 다 같이 힘을 모아 완벽하게 준비를 한 덕분에 각종 인허가와 건설 허가를 신속하게 마치고, 오늘 착공식을 개최
상하이 2024년 10월 31일 / 세계적 가전 브랜드 하이센스가 FIFA 클럽 월드컵™의 새 공식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발표는 상하이 타워에서 오늘 열린 특별 행사에서 진행됐으며, FIFA 회장 지아니 인판티노, FIFA 사무 총장 마티아스 그라프스트롬, 하이센스 그룹 회장 지아 샤오치안이 참석했다. FIFA 회장 지아니 인판티노는 파트너십 출범 연설에서 "세계적 가전 브랜드 하이센스를 FIFA 클럽 월드컵 2025™의 공식 파트너로 맞이하게 되어 무척 기쁘다. 혁신과 기술에 대한 하이센스 헌신은 이번 경기에 대한 FIFA의 비전과 결을 같이 한다. 전 세계 32개의 최정예 팀이 한 자리에 모이는 이번 월드컵은 클럽 축구에 혁명을 일으킬 잊지 못할 경기가 될 것"이라며 "이번 파트너십은 축구팬에게 경기장 안팎에서 경기에 참여할 수 있는 고유한 방법을 제시하고 FIFA 클럽 월드컵™이 번영할 수 있는 기술 혁신 주도형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새로 출범한 FIFA 클럽 월드컵 2025™는 앞으로 4년마다 세계 최고의 32개 클럽을 선정한다. 클럽 월드컵 첫 경기에 대한 이번 파트너십은 하이센스가 세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축구 클럽
멜버른, 호주 2024년 10월 31일 / 세계적인 상용차 제조사인 위통버스가 최근 호주에서 1회 완충으로 555km를 달리는 배터리 내구성과 주행 거리 챌린지를 완수했다. 위통버스는 대중 교통을 혁신할 첨단 솔루션으로 친환경 모빌리티를 촉진하고 있다. 위통 C12E는 멜버른 교외, 프레스톤에서 키아마까지 285km에 달하는 거리를 배터리 잔량 50%, 전력 소비량 0.63kWh/km로 2년 반 동안 왕복 주행한 순수 전기 버스다. 시내 도로, 고속도로, 산길 등 다양한 도로를 달려왔다. 위통 아시아 태평양 지부 CEO 켄트 창은 "순수 전기 버스를 개발하는 대중 교통의 전기화 트랜스포메이션에서는 주행거리 한계, 배터리 안전성, 충전 효율성, 작동 안전성, 비용 효율성 등 갖가지 문제점과 병목 현상을 해결해야 한다. 위통버스는 '환경을 생각하는 친환경 이동 수단'이라는 열망을 바탕으로 기술과 제품 혁신을 통해 친환경 모빌리티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한다"고 밝혔다. C12E는 전개, 확장이 가능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통합하는 업계 최초의 EV 전용 플랫폼으로 올해 9월 아시아 태평양 시장에 출시되었던 위통 전기 아키텍쳐(Yutong Electric A
서울, 대한민국 2024년 10월 31일 / 글로벌 건설 시장의 리더로 혁신 공구, 기술,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제공해온 힐티(Hilti)가 구조적 디자인 설계부터 시공까지 전반을 어우르는 통합 솔루션 'Spect2Site'를 공개했다. 최근 건설 업계의 엔지니어와 시공자는 현장에서 생기는 다양한 문제점을 고민하며, 관련 법규에 맞추어 생산성과 안전성을 도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힐티는 최신, 통합 솔루션인 'Spec2Site'가 이러한 고민을 해결하고 정해진 일정과 스펙에 맞게 고품질의 앵커 설치와 시공 전반을 구현할 수 있도록 돕는다고 밝혔다. 건설 산업은 생산성과 운영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대한 도전에 직면해 있다. 맥킨지 & 컴퍼니의 보고서 "The Next Normal in Construction"에 따르면, 건설 사업은 세계 GDP의 13%를 차지하지만 빈번하게 초과되는 공사 기간과 비용 때문에 지난 20년 동안 매년 1%라는 부진한 생산성 성장을 겪고 있다. 현장에서는 안전, 지속적 가능성, 생산성 향상에 대한 요구가 계속 나오고 있으며, 탄소 절감 압력도 커지는 추세라, 일부 국가는 건축 법규를 표준화하거나 개별 조립식 제품을 규
서울, 한국 2024년 11월 1일 / 주한 영국 대사관 투자팀은 10월 31일 대사관 내 브로튼스 클럽에서 영국 투자 네트워킹 행사를 개최했다. 페르노리카 코리아와 함께한 이번 행사에는 40여 명의 한국 기업 담당자가 참석하여, 다양한 분야의 영국 투자 기회를 논의하고 아벨라워 싱글 몰트 스카치 위스키를 시음하는 시간을 가졌다. 주한 영국 대사관 투자팀은 자본 투자, 친환경 에너지, 전기차와 배터리, 기술 등 영국 주요 분야에 대한 깊이 있는 정보와 지원을 제공한다. 팀은 투자 사이클 전반에 걸쳐 투자자를 지원할 수 있는 전문가로 구성되어 있다. 크리스 헤이 주한 영국 대사관 산업통상부 투자팀 헤드는 "이번 행사에서 영국에 관심 있는 투자자가 투자 기회에 대해 더 많이 알 수 있었고, 스코틀랜드 스페이사이드 지역의 아벨라워 스카치 위스키의 풍미도 즐길 수 있었다"라며, "한국 투자자에게 영국을 투자처로 알리기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이며, 영국 투자에 대해 더 알고 싶은 기업은 언제든지 우리 팀에 연락하면 된다"라고 밝혔다. 영국은 사업 확장과 성장을 촉진하는 안정적이고 비즈니스 친화적인 환경을 제공한다. 개방적이고 자유로운 경제, 높은 수준의 인재, 기업 친
서울, 대한민국 2024년 11월 1일 /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무선 솔루션과 무선 통신 모듈의 글로벌 선도기업 Fibocom이 한국 최고의 IoT 전문 행사인 AIoT 국제전시회(AIoT Korea)에서 최첨단 무선 모듈과 솔루션을 선보였다. 한국에서 첫 선을 보인 Fibocom은 고정형 무선 액세스(FWA), 산업용 IoT(IIoT), 스마트 에너지, 스마트 리테일 등 주요 부문에 종합적인 역량을 강조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한국은 인구의 90% 이상이 5G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네트워크 인프라의 선두 주자다. 한국의 IoT 시장은 스마트시티 혁신과 산업 자동화에 힘입어 2025년까지 26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한다(정보통신정책연구원). Fibocom은 탁월한 통신 경험을 제공하도록 설계한 FG370, FG360, FG190, FG180, FG131, FG332 등 5G 무선 모듈 시리즈를 선보인다. 이러한 모듈은 특히 CPE, ODU, 모바일 핫스팟, 동글과 같은 FWA 애플리케이션에 초고속의 안정적 연결을 제공한다. 이러한 솔루션은 한국 가정과 기업에 초고속 인터넷을 제공하여 원활한 원격 작업, 화
타이베이 2024년 11월 1일 / 대만대외무역발전협회(Taiwan External Trade Development Council·TAITRA)가 대만 식품 제조사가 까다로운 안전 기준을 준수하면서 영양, 지속 가능성, 맛 균형을 이룬 새로운 즉석식품을 개발하기 위해 어떻게 혁신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여러 사례를 공개했다.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에 따르면 소비자 10명 중 6명 이상인 65%가 더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습관을 기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근로 시간 연장으로 근로자의 건강과 웰빙이 영향을 받고 있고, 일본 에서는 인구 고령화와 국가 의료비 증가로 건강 기능 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가운데 식품 안전에 대한 높은 국민적 관심 속에서 양국 모두 맞벌이 가구의 증가로 즉석 식품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소비자 트렌드의 변화 속에서 최근 버블티와 파인애플 케이크 같은 대만의 별미에 대한 호감도가 올라가자 대만 식품 제조사가 혜택을 입고 있다. 대만의 식품 혁신은 소비자와 지역 식품 업계 파트너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글로벌 영향력을 확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대만 식품 제
SPC그룹이 방한 중인 말레이시아 조호르(Johor) 주(州) 대표단과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SPC그룹 허진수 사장은 지난 10월 28일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온 하피즈 가지(Onn Hafiz Ghazi) 조호르 주지사를 비롯한 대표단 일행과 만나 전략회의를 가졌다. 10월 31일에는 주지사와 대표단이 SPC그룹 플래그십 스토어 '패션5(서울 한남동)'에 방문해 제품을 시식하고 허진수 사장과 환담을 나눴다. 이번 만남은 SPC그룹이 조호르 주의 주도인 조호르바루에 건립 중인 할랄(HALAL) 제빵 공장 완공을 앞두고 긴밀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협력 확대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SPC그룹과 조호르 주는 할랄 공장 건립과 운영 외에도 말레이시아 현지 원재료 소싱과 일자리 창출 등 다방면에서 투자와 협력을 하기로 했다. SPC그룹 허영인 회장은 미국, 중국과 함께 동남아 시장을 제3의 글로벌 성장축으로 보고 그 중요성을 강조해왔다. 허영인 회장은 베트남과 싱가포르에 파리바게뜨가 진출할 때 직접 현지에서 개척을 진두 지휘했다. 싱가포르 창이 공항의 복합상업단지 주얼창이에 매장을 열 때도 현장을 챙기는 등 동남아 시장 사업 확대를 적극적으로 이끌어왔다.
리야드, 사우디아라비아 2024년 11월 1일 / 리야드에서 열린 제8회 미래 투자 회의(Future Investment Initiative, FII) 둘째 날, 세계 각국의 지도자가 모여 신흥 기술과 투자 전략이 가지는 변혁적 잠재력을 논의하고 베트남의 팜민찐 (H.E. Minh Chinh Pham) 총리가 특별 연설하였다. FII 연구소 CEO인 리차드 아티아스(Richard Attias)는 "FII8에서 우리는 혁신과 자본이 단순히 산업을 형성하는 것뿐만 아니라 모두를 위한 지속 가능하고 포용적인 미래를 창조하는 새로운 시대를 목격하고 있다"라며 "오늘의 논의에서는 특히 무한한 가능성과 기회의 세계로의 여정이 강조되었다"라고 말했다. 클라우레 그룹(Claure Group) 창립자 겸 CEO이자 쉬인(SHEIN) 그룹 부회장인 마르셀로 클라우레(Marcelo Claure), 소프트뱅크 비전 펀드(SoftBank Vision Funds) 공동 CEO 알렉스 클라벨(Alex Clavel), 사나빌 투자(Sanabil Investment) CIO 하니 에나야(Hani Enaya), 발로르 에쿼티 파트너스(Valor Equity Partners) 창립자 겸 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