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 2025년 2월 22일 / 히티움(Hithium)이 2월 19일부터 21일까지 열리는 스마트 에너지 위크 2025(Smart Energy Week 2025)에 처음으로 참가해 최신 기술 혁신을 선보였다. 도쿄에는 새로운 일본 지사를 공식 개설했다. 이러한 전략적 움직임은 글로벌 청사진 움직임을 가속하고 아시아ㆍ태평양 지역에서 장기적인 파트너십을 강화하려는 히티움 의지를 보여준다. 아시아ㆍ태평양 지역 최고의 재생 에너지 행사인 도쿄 에너지 위크 2025에서 히티움은 제품과 인사이트를 통해 기술적 리더십을 입증했다. 레비 리우(Levi Liu) APAC&MEA 애플리케이션 엔지니어링 이사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노이즈 감소 전략과 사례'라는 제목으로 기조 연설을 했다. 그는 "히티움의 노이즈 감소 전략은 단순히 방음벽을 추가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이는 소음 원인 제어에서 전파 차단, 경량 통합에 이기는 시스템 혁신이다. 일본 운송 표준을 준수하는 제품을 제공해 현지 고객의 부합하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목표는 아시아ㆍ태평양 지역 파트너와 협력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이며 친환경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다"고 말했다. 전시회와 동시에 개최된 히티움 일본
애틀랜타 2025년 2월 22일 / 리퀴드 웹(Liquid Web)이 캘리포니아 산호세, 버지니아 애슈번, 호주 시드니, 영국 런던 등 4곳에 새로운 베어메탈 서버 지점을 개설했다. 리퀴드 웹은 전용 서버, WordPress, VPS, GPU, 클라우드 호스팅 솔루션 분야의 선도 기업이다. 이번 확장을 통해 수요가 많은 이 지역에서 지연 시간을 줄이고 네트워크 성능을 개선하며 더 빠른 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 비즈니스가 확장함에 따라 고속의 안정적인 호스팅은 원활한 디지털 환경을 제공하는 데 필수적이다. 이번 신규 서버 개설을 통해 리퀴드 웹은 기존 데이터 센터인 미시간주 랜싱, 애리조나주 피닉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을 넘어 사용자와 더욱 가까운 위치에서 보다 안전하고 고성능의 호스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주요 이점은 네트워크 지연 시간 감소로 웹사이트, 애플리케이션 속도와 미션 크리티컬 워크로드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하고 주요 글로벌 시장과의 원활한 연결성을 확보하며 성장 기업을 위한 지리적 확장 기회를 제공한다. 장애 조치와 비즈니스 연속성 개선으로 운영 중단을 방지하고 안전하고 탄력적인 운영을 위한 철저한 재해 복구 준비다. 리퀴드 웹의 라이언
부다페스트, 헝가리 2025년 2월 22일 / 줌라이언(Zoomlion)이 헝가리에 고소작업대 생산용 현대식 스마트 공장을 설립한다고, 21일 발표했다. 지난 20일 체결된 협정을 통해 공식화된 이 프로젝트는 헝가리 외교통상부 장관이 주최한 기자회견을 통해 자세히 소개됐다. 타타바냐(Tatab?nya)에 있는 주요 고속 도로망의 교차점에 위치할 이 공장은 동유럽과 서유럽의 주요 물류 경로를 연결하는 중요한 허브 역할을 할 예정이다. 공장이 가동되기 시작하면 유럽 고소작업대 부문에서 줌라이언 입지가 크게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총면적이 16만 7천 제곱미터에 달하는 이 공장은 줌라이언과 CTP 그룹(CTP Group)이 공동으로 개발한다. 이 시설은 첨단 지능형, 디지털, 지속가능한 생산 기술을 갖추고 다양한 고성능 프리미엄 저탄소 고소작업대를 생산할 예정이다. 최첨단 생산 공정과 장비를 활용해 현지 시장과 유럽 시장 모두에 더 잘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이 프로젝트가 시작되면 현지에 800개의 일자리가 창출되어 역내 경제 성장과 고용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한다. 현지 공급망 파트너와 협력을 강화하고 현지 기업과 시너지를 높이며 긴밀하게 통합된 상호 이익적
칭다오, 중국 2025년 2월 20일 / 글로벌 소비자 가전 브랜드를 선도하는 기업인 하이센스(Hisense)가 레이저 TV 부문에서 전 세계 1위를 차지하며 다시 독보적인 위치를 입증했다. 국제 시장조사기관 옴디아(Omdia)의 데이터에 따르면, 하이센스 레이저 TV는 2024년 세계 시장 점유율 65.8%를 달성했다. 이는 판매된 레이저 TV 3대 중 2대가 하이센스 제품임을 의미한다. 이로써 하이센스는 6년 연속 전 세계 레이저 TV 출하량 1위를 유지하게 됐다. 레이저 디스플레이 시장에 가장 먼저 뛰어든 기업 중 하나인 하이센스는 단색에서 3색 레이저 시스템으로, 4K에서 8K 해상도로, 롤러블에서 폴더블 스크린으로 제품을 발전시키며 초대형 스크린 TV 부문에서 선두를 지키고 있다. 2024년 하이센스는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폴란드 등 주요 시장에서 전년 대비 세 자릿수 성장을 기록했으며, 프랑스, 호주, 독일에서도 70% 이상 성장률을 달성했다. Hisense PX3-PRO TriChroma 레이저 프로젝터가 2024년 프레스티지 프로젝터 쇼다운(Prestigious Projector Showdown)에서 최고 자리를 차지하며 레이저 디스플레이
노바스코샤주, 다트머스 2025년 2월 20일 / 아카디안 플랜트 헬스는 현재 공급되는 생물 자극제의 한계를 넘어가도록 업계를 이끄는 흥미로운 기술 발전인 비생물학적 스트레스 관리(ASM) 포트폴리오를 발표한다. 식품 성장과 스트레스 내성을 확실히 향상한다고 입증한 ASM 포트폴리오는 작물이 수확량 감소의 주요 원인인 비생물학적 스트레스와 싸우도록 돕는다. 미국 농무부에 따르면 90%의 작물 손실이 극단적인 날씨와 관련되며1 1700억 달러의 경제적 손해를 초래하면서 농부의 연간 소득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예상한다. 농부는 심각한 날씨 홍수, 가뭄과 싸울 때 생물 자극제 ASM 포트폴리오 기술은 높아지는 위험을 관리하고 작물이 번창하도록 보장하는 강력한 솔루션이다. 아카디안 플랜트 헬스의 사장, 넬슨 깁슨(Nelson Gibson)은 "비생물학적 스트레스는 종종 그 영향이 과소 평가되었지만 당사의 비생물학적 스트레스 관리 포트폴리오는 그러한 인식을 변화시켰다"라며 "비교할 수 없는 신뢰성과 효율성을 구비한 이 포트폴리오는 생물 자극제의 새로운 벤치마크를 설정하고 있다"고 공개했다. ASM은 주요한 작물 스트레스 요인을 대상으로 삼고 그에 대응하도록 특별하게 조
서울, 한국 2025년 2월 20일 / 주한영국대사관 산업통상부는 2월 20일 아스톤홀에서 딥테크(Deep Tech) 분야의 혁신적인 영국 기업이 참여하여 '딥테크 기업 세미나'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인공지능(AI)과 반도체를 포함한 첨단 기술 분야에서 영국 기업의 혁신적인 솔루션을 소개하고, 한국과 협력 기회를 모색하는 자리로 마련했다. 세미나는 영국의 대표 반도체 기업 ARM과 한국 AI 안전연구소의 기조 연설로 시작됐다. 이어서 AI 맞춤형 가속기 아키텍처, 차세대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전략적 모델링과 시뮬레이션, 테라헤르츠 광기술, 엔지니어링, 테스트 프로세스 혁신 AI, 첨단 메모리 기술, 웨이퍼 핸들링, 검사 시스템 등 다양한 딥테크 분야에서 영국 혁신 기업이 솔루션을 발표했다. 이번 세미나에 참가한 영국 기업은 다음과 같다. - Heronic Technologies: AI용 최첨단 맞춤형 가속기 아키텍처 제공 - Smartkem: 차세대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술 개발 - Skyral: 전략적 모델링과 시뮬레이션 기술 혁신 - TeraView: 테라헤르츠 광기술 제공 - Monolith AI: 맞춤형 자체 학습 AI 모델을 활용한
워번, 매사추세츠 2025년 2월 19일 / 글로벌 폰트, 서체 기술 전문 기업 모노타입(Monotype)이 2025년 서체 트렌드 보고서를 공식 발표했다. 이번 보고서는 서체가 디자인과 브랜드 경험의 중심 요소로 자리 잡고 있음을 강조하며, 보다 심도 있는 통찰과 전략적 방향성을 제시한다. 이전 트렌드 보고서와 비교하여 정교하고 깊이 있는 분석 방식을 도입했다. 단순한 시각적 스타일 트렌드에 그치지 않고, 타이포그래피가 인공지능, 사회적 변화, 환경, 정치, 멀티미디어와 어떻게 교차하는지 분석했다. 모노타입의 서체 트렌드 보고서는 매년 디자이너와 브랜드 마케터에게 필수적인 자료로 자리 잡아 왔다. 디자인 커뮤니티에서도 큰 인기를 끌며, 주요 브랜드, 크리에이티브 전문가가 참고하는 주요 리소스로 활용되고 있다. 올해 보고서는 한글 번역본이 영어 원문과 동시에 공개되어 한국의 디자인, 브랜드 전문가에게도 보다 신속하고 깊이 있는 인사이트를 제공할 예정이다. 인공지능은 디자인 산업의 흐름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키고 있으며, 이번 보고서는 AI가 서체를 생성하고 최적화하는 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AI는 서체 디자인을 자동화하면서도 창의적인 가능성을 넓히고 있으며
포트루이스, 모리셔스 공화국 2025년 2월 19일 / 모리셔스 상업은행(Mauritius Commercial Bank Ltd?MCB)이 아시아 지역에 초점을 맞춘 첫 번째 듀얼 트랜치(Daul Tranche) 신디케이트론 조달에 성공했다. 조달 규모는 3억 5000만 달러로, 당초 목표였던 3억 달러를 상회했다. 총 20개 은행이 참여에 높은 관심을 보이면서 2배가 넘는 초과 청약을 기록하여, MCB는 신디케이트론 규모를 3억 5000만 달러로 증액했다. 대출 수익금은 MCB가 일반적인 기업 목적으로 사용할 예정이다. MCB가 아시아 금융 기관을 대상으로 단독 출시한 첫 5년 만기 신디케이트론이 포함된 이번 거래가 이처럼 높은 관심 속에 마무리되어 국제 금융 기관이 MCB의 신용도와 전략을 신뢰하고 있음을 입증했다. 이번 신디케이트론은 서울, 홍콩, 베이징, 상하이, 타이베이에서 개최한 로드쇼를 통해 진행됐고, 인도를 포함해 모든 국가 금융 기관이 상당한 관심을 보였다. 이 은행 중 다수는 MCB에 처음으로 대출했다. MCB는 이제 아시아 금융 기관으로 대출 기관 풀을 다양화하여 차입 비용을 대폭 줄이는 데도 성공했다. 안바르 조와히르(Anbar Jowah
함양군은 19일, 백전면 서부권 농기계 임대 사업소에서 백삼종 함양군 부군수를 비롯한 수출 관계자 등이 참석하여, 함양 농식품을 미국 동부에 수출하는 선적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이번 수출 선적은 함양군 백전면에 소재한 운림농원(대표 손영현)에서 생산한 매실차 8톤, 3,200만 원 상당으로, ㈜글로벌무역을 통해 뉴욕 한성식품으로 유통될 예정이다. 운림농원은 지리산골 함양의 깨끗한 환경에서 재배되는 농임산물을 직접 수매해 에이비씨(ABC) 주스, 매실차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국내 소비자에게도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운림농원은 이번 수출 이후에도 에이비씨(ABC) 주스 60박스를 경남무역을 통해 캐나다로 수출할 예정이다 백삼종 함양군 부군수는 "운림농원의 매실차가 미국 시장에 널리 알려져 최근 4년간 꾸준히 수출되며 인지도를 높이고 있다"며, "해외 경쟁력을 갖춘 관내 농식품 업체의 성과가 지속될 수 있도록 행정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두바이, 아랍에미리트 2025년 2월 18일 / 물류 업계 전문가의 62% 이상이 인플레이션, 임박한 무역 관세, 세계 경기 침체 가능성 등 여러 주요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 자사 공급망을 정비했다고 밝혔다. 글로벌 종합물류기업인 어질리티(Agility)가 신흥시장 물류 경쟁력을 평가한 '2025 어질리티 신흥시장 물류지수(2025 Agility Emerging Markets Logistics Index)' 산출을 위해 567명의 물류 전문 임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2025년으로 접어들면서 물류 업계는 미국의 관세 인상과 중국산 수출품 급증으로 촉발될 수 있는 무역 전쟁을 대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약 55% 글로벌 경기침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거나 확실히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다. 82%는 관세 등 무역 보호주의가 공급망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답했으며, 72%는 지난 1년 동안 신흥 시장에서 여러 가지 위험이 커졌다고 말했다. 타렉 슐탄(Tarek Sultan) 어질리티 부회장은 "비용 증가, 무역량 감소, 공급망 변화를 야기하는 지정학적 요인 때문에 선박업체, 운송업체, 포워더 등 사이에서 경계감과 불확실성이 커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