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은 27일, 성태윤 정책실장,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 공동 주재로 안보·경제 상황 점검 회의를 개최하여 이스라엘의 이란 공격 상황과 관련해서 안보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하고 대응 방향을 논의했다.
회의 참석자는 이스라엘의 이란 공격에 따른 중동 지역 정세를 평가하고, 재외국민, 우리 기업, 재외공관 안전을 점검하는 한편, 향후 상황 악화 가능성에 대비한 우리 국민의 안전 보호와 대피 방안을 논의했다.
정부는 중동 지역의 안정이 조속히 회복되도록 국제 사회와 긴밀히 협력해 나가면서, 향후 전개 상황에 따라 부처별로 필요한 조치를 선제적으로 취해 나가기로 했다.
이스라엘의 이란 공격이 주말에 이루어져 국내 금융 시장에는 아직 영향이 없었으나, 추후 사태의 진전에 따라 금융 시장과 유가·원유 시장에 미칠 영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적극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
현재로서는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리스크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이나, 중동 지역 정세 급변 가능성에 대비해 24시간 모니터링 체계를 지속 유지하고 필요하면 대응 매뉴얼에 따라 단계별 조치를 즉각 시행할 계획이다.
원유의 경우 이란에서 직접 수입하는 물량이 없는 만큼, 국내 원유 수급과 가격에 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측하지만, 글로벌 원유 시장의 영향으로 만약 큰 폭의 변동성이 나타날 경우 유류세 추가 인하 등 다양한 안정 조치를 통해 대응하기로 했다.
현재 원유 비축 물량은 200일 분 이상으로 충분한 수준이며, 원유·가스의 수급과 운송에도 이상이 없음을 확인했다. 아울러, 국내 기업뿐 아니라 중동에 진출한 우리 기업 피해와 파급 영향도 지속적으로 점검하기로 했다.
회의에는 성태윤 정책실장,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 김범석 기획재정부 1차관, 김홍균 외교부 1차관, 김선호 국방부 차관, 최남호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 송명달 해양수산부 차관,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황원진 국가정보원 2차장, 인성환 국가안보실 2차장, 왕윤종 국가안보실 3차장, 이도운 홍보수석 등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