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로 2024년 11월 8일 / 청정에너지 저장 솔루션 분야의 글로벌 리더인 블루에티(BLUETT)가 11월 4일부터 8일까지, 카이로에서 개최되는 제12회 세계도시포럼(World Urban Forum, WUF12)에서 유엔 해비타트(United Nations Human Settlements Programme, UN-Habitat)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 전략적 파트너십은 아프리카의 청정에너지 채택과 지속 가능한 개발을 가속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모든 것은 가정에서 시작: 지속 가능한 도시와 지역 사회를 위한 현지 활동(It All Starts at Home: Local actions for sustainable cities and communities)'을 주제로 한 WUF12는 저렴한 주택, 기후 변화, 생활비 상승, 기본 서비스 부족 등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급한 현지 활동을 강조한다. 이 주제는 지속 가능한 에너지를 통해 더 나은 세상을 만들고자 하는 블루에티의 사명과 일치한다. 현지 활동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수백만 명이 여전히 안정적인 전기를 공급받지 못하는 아프리카에서 특히 중요하다. 제한된 전력 접근성은 일상생활에 제
싱가포르 2024년 11월 7일 / 엑스탈파이(XtalPi)가 인도네시아의 거대 기업 시나르 마스 그룹(Sinar Mas Group)의 주요 사업 축인 시나르 마스 멀티아르타(Sinar Mas Multiartha)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 협력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인공 지능(AI)과 로봇 공학의 미래를 변화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제휴를 통해 야심 찬 합작 투자 회사를 설립하여 엑스탈파이의 최첨단 AI, 로봇 연구 역량과 시나르 마스 그룹의 광범위한 산업 범위를 통합하여 상업, 기술 혁명의 발판을 마련할 예정이다.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영향력 있고 다각화된 대기업 중 하나인 시나르 마스 그룹은 의료, 광업, 재생 에너지, 물류, 소비재, 화학, 금융 서비스 부문에서 독보적인 입지를 구축하고 있다. 아시아 태평양 전역에 걸쳐 탄탄한 공급망과 깊은 시장 침투력을 갖춘 시나르 마스 그룹은 첨단 AI 솔루션을 통해 산업 혁신을 주도하고 이 지역의 경제 지형을 재편할 수 있는 유리한 위치에 있다. 엑스탈파이는 생명 과학, 첨단 소재 R&D에 AI와 로봇 공학을 통합하는 글로벌 리더로서, 전 세계 300개 이상의 일류 기업, 연구 기관과 협력하고
베이징 2024년 11월 5일 / 긱플러스(Geek+)가 인텔(Intel)과 공동으로 Intel Visual Navigation Module을 탑재한 세계 최초의 Vision Only Robot Solution을 출시하고, 최첨단 기술로 물류 산업의 디지털, 지능형 혁신을 주도한다. Intel Visual Navigation Module을 탑재한 세계 최초의 비전 온리 로봇 솔루션인 Geek+ Vision Only Robot Solution은 인텔 RealSense 카메라로 구현되는 깊이 비전 인식(depth vision perception)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V-SLAM 포지셔닝, 복합 감지 네트워크, 로봇 추종(Robot Following)에 대한 심층적인 알고리즘 혁신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고도로 정확한 포지셔닝, 탐색 및 장애물 회피가 가능하므로 기업이 다양하고 복잡한 물류 시나리오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동시에 효율성과 정확성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다. Geek+ Vision Only Robot 솔루션에는 Intel RealSense 카메라를 통합한 Intel Visual Navigation Module을 장착했다. 이 카메라는 모든 깊이
상하이 2024년 11월 5일 / 최근 시장 조사 기관 IDC는 중국 상업용 서비스 로봇 수출에서 케이터링 배달 로봇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키논 로보틱스(KEENON Robotics,이하 키논)는 케이터링 배달 로봇 수출 시장에서 44.8%의 점유율로 세계 1위를 차지했다. 이는 급성장하는 산업 분야에서 리더십을 더욱 강화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중국의 서비스 로봇 전문 기업인 키논은 전 세계의 레스토랑, 호텔, 병원, 소매업, 공장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10만 대 이상의 서비스 로봇을 출하하며 성과를 이어가고 있다. 이러한 성장은 키논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음을 보여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된다. 키논은 지난 2022년 해외 사업부를 신설한 이후 한국, 미국, 독일, 일본 등 주요 해외 거점을 포함해 60여 개 국가와 지역에서 600개 이상의 도시로 빠르게 글로벌 입지를 확장하고 있다. IDC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키논은 한국에서 100%, 일본에서 240%, 유럽 전역에서 50% 이상의 매출 성장을 기록했다. 이러한 성과는 해외 시장에서 키논의 영향력이 계속해서 확대되고 있음을 잘 보여준다. 키논
상하이 2024년 11월 5일 / 트리나솔라가 세계적인 테스트ㆍ검사ㆍ인증 서비스 제공업체인 뷰로 베리타스(Bureau Veritas)가 수여하는 '그린 공급망 리더십 어워드(Green Supply Chain Leadership Award)'를 수상했다. 태양광 트래커 사업 공급망 관리 전반에 걸쳐 친환경 원칙을 통합한 점을 인정받은 결과다. 트리나솔라는 자재 소싱부터 최종 제품 납품까지 업스트림, 다운스트림 기업의 친환경 전환을 촉진하는 한편 혁신적인 기술을 활용해 자원 효율성을 개선하고 환경 오염을 최소화하여 지속가능한 관행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뷰로 베리타스는 유엔 청정개발체제(United Nations Clean Development Mechanism)와 유럽 탄소배출권거래제(European Carbon Emissions Trading System)의 공인 검증 기관이다. 따라서 이번 수상으로 트리나솔라는 포괄적인 저탄소 전략을 실행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정받았다고 할 수 있다. 트리나솔라는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최선을 다하면서 모든 운영과 가치 사슬 제품에서 '탄소 제로 시스템'을 구축했다. 2030년까지 전 세계 사업장에서 탄소 중립을 달성하겠다는
이스탄불 2024년 11월 6일 / '글로벌 모바일 브로드밴드 포럼 2024(MBBF 2024)'가 10월 30일 터키 이스탄불에서 개막했다. 개막식 날 '지능화가 비즈니스를 재편한다(Intelligence Reshapes Business)'를 주제로 '코어 네트워크 산업 살롱(Core Network Industry Salon)'도 같이 열린 가운데 판 구이신 차이나유니콤 광둥의 최고혁신책임자(CIO)는 살롱 연설을 통해 모바일 코어 네트워크 분야의 지속적인 혁신과 사용자 경험 개선 성공 사례를 소개했다. 판 CIO에 따르면 차이나유니콤 광둥은 모바일 사용자가 가정과 기업 인트라넷에 원격으로 접속할 수 있게 하는 'U 모바일 인트라넷(U Mobile Intranet)' 솔루션을 출시했다. 기존에는 모바일 사용자가 가정이나 기업 인트라넷에 원격으로 접속할 때 그들의 데이터가 인터넷의 중계 에이전트를 거쳐야 했다. 즉, 데이터 전송 속도와 지연 시간이 인터넷의 공용 리소스에 따라 차이를 보인 것이다. U 모바일 인트라넷 솔루션은 모든 데이터 연결을 고객 인트라넷 내에서 이루어져 엔드투엔드(end-to-end) 네트워크 기능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면서 사용자에게
싱가포르 2024년 11월 6일 / 노보 AI(Novo AI)가 선도적인 임베디드 보험 플랫폼인 디스커버마켓(discovermarket)과 손을 잡고 디지털 보험의 미래를 혁신하기 위해 나섰다. 이 새로운 파트너십은 임베디드 보험 상품의 효율성과 접근성 향상을 목표로 한다. 임베디드 보험은 보험 상품을 비보험 상품의 구매 과정에 실시간으로 직접 통합하여 소비자가 구매 과정에서 원활하게 보호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상품이다. 이를 통해 기존 상품에 비해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 특정 니즈에 맞는 보험을 이용할 수 있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임베디드 보험은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저가 항목을 보험에 가입할 수 있게 하고 보험 환경을 민주화하고 있다. 이번 협업은 보험 산업을 변화시킬 준비가 된 두 혁신적인 기업의 만남이다. 많은 수의 임베디드 보험 상품과 저렴한 가격을 감안할 때 운영을 간소화하고 프로세스를 자동화하며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노보 AI는 생성형 AI를 사용해 이전보다 100배 더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됐다. 주요 중점 분야로는 보험금 청구 처리 자동화, 체계적인 대규모 사기 탐지 구현, 고객 지원 강화가 포함된다. 노보 AI와
이스탄불, 터키 2024년 11월 5일 / 터키 이스탄불에서 열린 '2024 울트라 브로드밴드 포럼(Ultra-Broadband Forum)' 기간 중인 4일에, Net5.5G 지능형 IP 네트워크 서밋(Net5.5G Intelligent IP Network Summit)이 개최됐다. 'Net5.5G 가속화, 지능화를 향한 질주(Accelerating Net5.5G, Striding to Intelligence)'를 주제로 열린 이번 서밋에는 세계 유수의 통신사, 업계 조직, 정부 기관, 디바이스 공급업체가 모여 Net5.5G IP 네트워크 진화와 업계의 선구적인 디지털 혁신 활용 사례를 공유했다. 또한 글로벌 'Net5.5G 파이어니어 프로그램(Net5.5G Pioneer Program)'가 출범하면서 업계 관계자에게 Net5.5G의 상용 구축을 가속할 고정 네트워크 산업의 번영을 촉진하도록 장려했다. 마틴 크리너(Martin Creaner) WBBA 사무총장은 서밋에서 인공지능(AI) 시대에 글로벌 네트워크 개발 동향에 대한 인사이트를 공유하고 다양한 향후 발전안을 제시했다. 크리너 사무총장은 AI 시대에 AIGC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의 대역폭 요구 사항과
KT(대표이사 김영섭)가 데이터브릭스와 데이터·AI 분야의 긴밀한 협력과 국내 AX(AI Transformation) 확산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지난 5일 밝혔다. 양사는 협약에 따라 ▲ KT Secure Public Cloud 기반 데이터·AI 플랫폼 개발 ▲산업별 데이터 PaaS 기반 AI서비스 확대 ▲데이터·AI 전문 기술 역량 강화 분야에 협력한다. 협약식에는 KT 오승필 기술혁신부문장(CTO)과 데이터브릭스 아르살란 타바콜리(Arsalan Tavakoli) 공동 창립자 겸 총괄 수석 부사장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국내외 솔루션과 MS 협력 기반으로 KT가 개발하는 한국형 Cloud·AI 모델의 첫 번째 협업 사례다. 그동안 규제와 보안 리스크로 퍼블릭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AI 서비스를 사용하지 못 한 고객도 KT Secure Public Cloud 기반 데이터브릭스 플랫폼를 활용하면 안전하고 신속하게 AI 혁신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양사는 데이터·AI 전문 역량 강화를 위한 기술 교류와 협업을 추진한다. 데이터 현대화와 교육을 추진해 KT 임직원의 데이터 분석·활용 역량을 강화한다. 특히 데이터 플랫폼 엔지니어, 데이터 분석가
SK텔레콤(대표이사 CEO 유영상)은 소방청(청장 허석곤)과 한국안전인증원, 한국소방산업기술원, 한국소방안전원이 개최한 '제23회 대한민국 안전 대상'에서 국무총리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SKT는 전국 사옥에 설치된 AI CCTV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AI CCTV는 CCTV에 첨단 AI 기술을 적용하여 외부인 침입, 작업자 낙상, 공장 화재 등 사고를 즉시 파악하고 관리자에게 전달, 초동 조치를 위한 골든 타임을 확보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다. SKT는 안전 관리 시스템을 모바일 앱으로 제작해 현장에서 근무하는 협력사 편의를 돕는 한편, 영상 인식 AI(Vision AI)와 지능형 안전 기술(Intelligent Safety) 분야의 기술을 개발하는 등 산업 현장에도 AI 기반 안전 장치와 솔루션을 적극 도입하고 있다. SKT는 '중대 재해 제로'를 목표로 2021년 최고 안전보건경영책임자(CSPO, Chief Serious accident Prevention Officer)를 선임하고 안전 보건 관리 체계 세부 이행 지침을 사규에 포함시키는 등 중대 재해 예방을 위해 노력해 왔다. SKT는 2023년에는 대전에 안전체험 교육관을 신설했고, 구성원과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