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악구(구청장 박준희)가 증가하는 1인 가구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고, 안정적인 생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제2기 1인 가구 기본 계획(2025∼2029)'을 수립했다. 구는 1인 가구가 전체 가구의 62.6%를 차지하고, 서울시 자치구 중 1인 가구 비율이 가장 높다. 이번 계획은 이러한 구의 특성을 반영해 실질적인 정책 지원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구가 실시한 '2022∼2024년 정기 여론 조사'에 따르면, 1인 가구를 위한 가장 중요한 정책으로 3년 연속 주거 복지와 일자리 제공이 꼽혔다. 구는 이러한 요구를 반영해 수요에 맞는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세심한 정책을 마련했다. 이번 기본 계획은 "1인도 소외되지 않는 행복한 포용 도시 관악"을 비전으로 8대 추진 전략과 18개 실천 과제, 10대 중점 사업을 포함한 총 48개 세부 사업으로 구성되었다. 8대 추진 전략은 ▲튼튼한 기반 ▲포근한 주거 ▲희망찬 일자리 ▲든든한 안전 ▲세심한 돌봄 ▲활기찬 건강 ▲다정한 관계 ▲발전된 생태계 등이다. 이번 계획에는 구뿐 아니라 동 주민센터, 민간 기관과 협치를 강화했다. 먼저 21개 동 주민센터에서 동 특성을 반영한 1동 1인가구 1사업을
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는 관내 중소·중견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2025년 청년 고용 우수 기업 근로 환경 개선 사업'에 참여할 기업을 3월 13일부터 4월 11일까지 모집한다고 밝혔다. 청년과 중소기업 간 일자리 부정합(미스-매칭)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기업 내 시설 노후화와 열악한 근무 환경 등은 청년이 중소기업을 기피하는 주요 요인이다. 인천시는 청년이 쾌적한 환경에서 일할 수 있도록, 청년 신규 채용 실적이 있는 중소·중견 제조업체에 근로 환경 개선비를 지원한다. 참여를 원하는 기업은 3월 13일부터 인천 비즈오케이를 통해 공고를 확인하고 신청할 수 있다. 올해는 약 30개 기업에 근로 환경 개선비를 지원할 계획이며, 예산 소진 시까지 신청이 가능하다. 지원 대상은 상시 근로자 5명 이상의 인천지역 중소·중견 제조업체로, 최근 1년 이내에 중소기업은 2명 이상, 중견기업은 8명 이상 청년을 채용한 이력이 있어야 한다. 선정된 기업은 청년 신규 채용 인원수에 따라 최대 2,800만 원까지 화장실, 휴게실, 샤워실 등의 시설 개보수 비용과 냉난방기, 세탁기 등의 환경 개선 물품 구매 비용을 받을 수 있다. 이규석 시 청년정책 담당관은 "인천 청년
마닐라, 필리핀 2025년 3월 13일 / 필리핀 최고 통신사인 글로브 텔레콤(Globe Telecom, Inc.) 고위 경영진이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obile World Congress, MWC) 2025에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대한 글로벌 담론을 적극적으로 이끌었다. 다양한 고위급 토론에 참여한 글로브 경영진은 필리핀과 같은 신흥 시장이 직면한 과제를 해결할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시했다. 지난주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된 MWC는 세계 최고의 ICT 행사로, 비즈니스와 사회 발전을 위한 산업의 통합적 논의가 이루어지는 자리다. 어니스트 쿠(Ernest Cu) 글로브 최고경영자(CEO)는 칼 크루즈(Carl Cruz) 부사장을 비롯한 다른 고위 경영진과 함께 바쁜 일정을 소화하며, 글로벌 통신 리더와 업계 당면 과제를 논의했다. 쿠 최고경영자는 GSMA의 오픈 게이트웨이(Open Gateway) 이니셔티브의 일환으로, 필리핀 내 여러 통신사와 연합 CAMARA API 구축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CAMARA API를 통해 글로브는 사기 방지를 위한 보안 조치를 강화할 수 있다. 이러한 표준화된 API는 통신 네트워크 전반에
바르셀로나, 스페인 2025년 3월 13일 / 화웨이 eKit(HUAWEI eKit)가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obile World Congress·MWC) 2025에서 '함께 새로운 지평 탐험, 더 나은 미래 창조(Explore New Horizons and Create a Better Future Together)'를 주제로 특별한 제품 출시 행사를 개최했다. 행사에서는 사무실, 호스피탈리티, 교육 등 9개 핵심 부문을 위해 설계된 20개 이상의 유통 제품을 선보여 큰 주목을 받았다. 화웨이 eKit는 효율적인 성장 전략 육성을 목표로 중소기업(SME)을 위한 지속적인 제품 혁신을 통해 디지털 및 지능형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화웨이 eKit는 계속 증가하는 고성능 지능형 제품에 대한 중소기업의 니즈를 충족하기 위해 다양한 영역에 걸쳐 20개 이상의 신제품을 출시했다. 데이터 통신 분야에서는 교실과 대형 회의실 모두에 고밀도 Wi-Fi 7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eKitEngine AP572와 AP673E를 출시했다. 학교나 비즈니스 호텔 같은 중간 규모 캠퍼스 환경에 적합한 2.5 Gbit/s 속도, 전 포트 PoE 지원, 올옵티컬 액세스를 지원하는 48포
타이베이 2025년 3월 13일 /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세계 최대 이동통신 전시회인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obile World Congress·MWC)가 6일, 막을 내렸다. AI 기술 스타트업 AICE는 이번 MWC에서 알리바바 클라우드(Alibaba Cloud)의 초청으로 유명 스타트업을 발굴해 교류의 장을 마련하고 창업을 돕는 4YFN(4 Years From Now) 행사에서 전시할 기회를 얻었다. AICE는 스타트업이나 기업이 투자자에게 자신의 아이디어나 비즈니스 모델을 소개하는 '피치2피치(Pitch2Pitch)' 경연에서 심사위원장 극찬을 받으며 수백 개 글로벌 스타트업을 제치고 AI 마케팅 혁신 기업 중에서 유일하게 최종 4개 팀에 선정됐다. AICE는 결국 와일드카드로 출전했음에도 최종적으로 세계 2위를 차지했다. 전시회에서 AICE는 전문 마케팅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맞춤 제작된 세계 최초의 '마케팅 심층 동적 AI 에이전트(Marketing Deep Dynamic AI Agent)' 시스템인 ADGo를 선보였다. 국내외 기업의 신속한 해외 마케팅 전략과 계획 수립을 돕기 위해 5대 아시아 시장의 데이터 소스와 함께 중국어 번체
추웠던 날씨가 조금씩 풀려가면서 벚꽃을 포함한 봄꽃 개화시기에 맞춰 여행을 가려는 상춘객들의 즐거움도 늘어나고 있다. 올해 봄꽃을 쫓아 여행을 떠나는 한국 여행객들은 어떤 지역을 가장 주목했을까? 글로벌 원스톱 여행 플랫폼 트립닷컴은 봄꽃 개화 기간(3월 25일부터 4월 30일까지), 국내 여행객들의 여행 추이를 공개했다. 이 기간 중 국내 여행객들이 가장 많이 찾는 국내 여행지는 단연 제주도였다. 지난해 서귀포시와 제주시가 나란히 1, 2위를 차지한데 이어 올해는 제주시와 서귀포시가 순위를 바꿔 1, 2위에 올랐다. 제주시의 신산공원과 서귀포시의 서광리 벚꽃길 등이 SNS를 통해 입소문을 타며 봄꽃 명소로 급부상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봄의 제주도는 화사한 꽃잎으로 뒤덮인 '꽃의 섬'으로 변모한다. 특히 올해는 벚꽃을 비롯해 유채꽃, 산수유, 진달래 등이 계절별로 피어나며 장기간 봄꽃 관광 수요를 흡수하고 있다. 다음으로는 서울(3위)과 부산(4위)이 뒤를 이었다. 서울은 봄이면 도심 곳곳에서 벚꽃을 만날 수 있는 도시로 유명하다. 특히 여의도 벚꽃길은 서울에서 가장 대표적인 벚꽃 명소 중 하나로, 여의도 한강공원을 따라 약 1.5km에 걸쳐 벚나무가 늘어서
선전, 중국 2025년 3월 4일 / 아시아 최대 규모의 LED 디스플레이, 통합 오디오 비주얼 시스템 전시회인 ISLE 2025가 7일 ,선전 세계 전시컨벤션센터(SHENZHEN WORLD)에서 개막한다. 총 8만㎡ 규모로 개최되는 ISLE 2025는 디스플레이 기술, 전체 LED 산업 체인, 오디오 비주얼 통합, 음향·조명·영상의 융합, 응용 분야의 최신 기술과 혁신적인 솔루션을 공개한다. ISLE 2025에서는 아래 제품을 포함한 신제품 수 백 품목이 첫선을 보일 것으로 기대한다. 앱센(Absen)의 저탄소 에너지 절약형 대형 스크린 A25 시리즈는 ㎡당 하루 1kWh 미만의 전력을 소비한다. 300㎡ 규모의 디스플레이를 운영할 경우 5년 간 최대 미화 15만 달러의 전기료를 절감할 수 있다. AOTO의 새로운 리테일 솔루션은 AI 기반 스마트 오더링과 XR, 가상 프로덕션을 위한 RM 시리즈 LED를 갖추고 7680Hz 이상의 주사율과 15000:1 이상의 명암비를 특징으로 한다. 유니루민(Unilumin)의 Unatural Texture Screen은 선구적인 새로운 LED 장식 소재를 사용하여 공간에 신선한 활력을 불어넣는다. 레드맨(Ledman)
바르셀로나, 스페인 2025년 3월 4일 / MWC 바르셀로나 2025에서 열린 화웨이 제품, 솔루션 출시 행사에서 양 차오빈(Yang Chaobin) 화웨이 이사 겸 ICT 비즈니스 그룹 CEO가 AI 중심 네트워크 솔루션을 공개했다. 양 CEO는 고품질, 저비용, 오픈 소스 AI 모델의 출현으로 애플리케이션 분야에서 혁신이 다양하게 일어나고 지능형 세상이 더 일찍 도래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AI 발전으로 사회가 세 측면에서 변할 것이라며, 소비자는 완벽히 자신에게 맞춰진 경험을 할 수 있고 조직에서는 지능형 협업이 가능하며, 모두를 포용하는 인공지능 토대가 마련될 것이라고 하였다. ICT 산업에서는 기술 발전과 애플리케이션 다각화로 전례 없는 성장 동력이 마련되는 한편 네트워크 인프라에 대한 기준도 높아질 것이라고 하였다. 그러면서 통신사가 이 기회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대역폭과 지연 시간, 커버리지, O&M 분야에서 획기적 발전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양 CEO는 "화웨이의 AI 중심 네트워크 솔루션은 이 같은 니즈에 충실한 제품"이라며 "네트워크 기능을 혁신해 전 도메인 연결이 가능하게 하였다. 애플리케이션 중심 O&M으
대한민국 서울, 영국 런던 2025년 2월 28일 / 대한민국 해양 엔지니어링, 해상 컨설팅 전문 기업 말콘(MARCON LC)과 영국 해양 엔지니어링 기업 씨랜드 프로젝트(Sealand Projects Co., Ltd)가 한국 해상풍력 시장에 최적화된 In-Field Charging Buoy System을 공동 개발하기 위해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번 협력을 통해 양사는 친환경 해상풍력 운영 기술을 선도하고, 지속 가능한 해상 충전 인프라 구축을 목표로 한다. 양사는 지속 가능한 해상풍력 솔루션 개발을 가속화하고, 해상풍력 단지의 운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협력할 예정이다. 말콘은 한국 최초의 하이브리드, 전기 추진 해상풍력 서비스 선박(CTV) 개발하여, 친환경 선박 설계, 조선 기술에 강점을 가지고 있다. 씨랜드 프로젝트는 해상풍력 지원과 해상 전력 공급 솔루션 분야에서 오랜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Oasis Power Buoy 프로젝트를 통해 풍력 터빈과 직접 연결된 해상 전기 선박 충전 시스템 개발을 지원했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말콘과 씨랜드프로젝트는 한국 해상풍력 시장을 위한 독자적인 In-Field Charging Buoy sys
상하이 2025년 2월 28일 / 상하이 국립전시컨벤션센터(NECC)에서 5월 19일부터 22일까지 개최될 예정인 제27회 베이커리 차이나(Bakery China)가 다시 한번 업계에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기 위한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30개 국가와 지역에서 수천 개 브랜드를 보유한 2200곳이 넘는 전시 업체가 참가할 예정인 이 행사는 33만 제곱미터의 확장된 전시 공간에서 열린다. 130여 개 국가에서 40만 명 이상의 방문객을 끌어모을 것으로 예상한다. 1997년부터 시작된 베이커리 차이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제과 전시회로, 중국과 아시아 시장에 진출하려는 브랜드를 위한 선도적인 플랫폼 역할을 해 왔다. 올해 행사에서도 수천 개의 신제품을 포함한 다양한 제품이 전시될 예정이다. 전시 업체의 20% 이상이 서유럽, 북미, 아시아 등 다른 지역의 국제 브랜드이다. 베이커리 차이나는 거대한 규모만큼 제빵 업계의 다양한 측면을 종합적으로 보여준다. 1000명 이상의 업계 리더들이 참여한 가운데 혁신과 시장을 주제로 한 각종 대회와 포럼, 기타 매치메이킹 행사가 열린다. 베이커리 차이나는 5차례의 테마별 대회, 수십 회의 포럼, 여러 산업 클러스터 전시존